인지의 즐거움 393

인지의 즐거움340 - 사진으로 본 영암군 근현대사2 -교육, 생활, 산업, 개발, 체육, 재해-

인지의 즐거움340 사진으로 본 영암군 근현대사2 -교육, 생활, 산업, 개발, 체육, 재해- 김희태 교육 - 영암인의 심성을 기른 교육현장, 교사, 시설, 졸업, 소풍 네 번째의 교육> 분야는, 일제강점기 이래 현대까지의 각급 학교에 대한 기록 사진이다.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는 목조 건축물 교사나 각종 시설물들을 사진을 통해 볼 수 있다. 졸업식이나 교육 수료식, 건축 공사 장면이나 시가지 경관과 함께 찍은 사진 등을 볼 수 있다. 졸업 기념사진 풍경은 개인의 생활사와 관련된 자료이기는 하지만, 당시의 복장이나 의자 등 교구, 교사 건물, 학교 주변의 경관을 알 수 있어 말 그대로 향토사의 현장 기록유산 자료로서 중요하다.  첫 사진은 전통 한옥 4칸 팔작지붕의 교사에 학생들이 농악놀이하는 모습이..

인지의 즐거움 2024.01.31

인지의 즐거움339 - 사진으로 본 영암군 근현대사1 -기관, 읍면, 문화-

인지의 즐거움339 사진으로 본 영암군 근현대사1 -기관, 읍면, 문화- 김희태  사진으로 본 영암 근현대사>를 영암군에서 2021년에 발간하였다. 자문위원으로 참여하면서 분류와 감수, 해설하는데 지혜를 모은 적이 있다. 전체 개설이 필요하다 해 원고를 작성하였으나, 발간 일정상 다 싣지 못하고 첫장과 마지막장만  간추려서 편집후기 형식으로 실었다. 당시 작성한 개설 원고를 나누어 소개한다. 사진에 담긴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다 “어제도 역사가 된다”라는 말이 있다. 지나간 시절은 그 어느 것, 그 어떤 때이던 돌아보면 역사자료가 된다는 말일게다. 특히 사진은 바로 볼 수 있고, 비교할 수 있고, 회상할 수 있기에 그 “어제”의 자료로서 역사가치가 있다 크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진 한 장이 중요한 역사문..

인지의 즐거움 2024.01.31

인지의 즐거움338 - 역사 속의 행정편제와 땅이름의 유래-영암, 목포, 해남, 진도, 완도-

인지의 즐거움338 역사 속의 행정편제와 땅이름의 유래 -영암, 목포, 해남, 진도, 완도- 김희태 사람들은 늘 머무르기도 하고 옮겨 가기도 한다. 머무르는 곳에 마을이 생기고 좀 더 커지면 읍면이 되고 시군이 된다. 더 나아가 시도 단위. 옮겨 가서 정착하는 곳도 마찬가지이다. 산과 강과 들이 어울어져야 머물러 살 수 있다. 자연을 벗 삼아, 생활의 방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거기에 바다가 살이의 기반이 된 지역도 있다. 그곳이 목포시, 영암군, 해남군, 진도군, 완도군이다. 이 이름들은 언제부터 썼을까. 그전에는 무어라 불렀을까. 지금은 시장·군수, 읍·면·동장이라 하는데 전에도 그랬을까. 그 속에서 사는 사람들, 살았던 이들의 내력은 찾을 수 있을까. 영암, 고려의 낭주안남도호부, 남해신당 ‘월나(..

인지의 즐거움 2024.01.31

인지의 즐거움337 - 지나온 70년의 찬란함, 담양 문화원 70년사

인지의 즐거움337 지나온 70년의 찬란함, 담양 문화원 70년사를 읽고서 김희태 담양문화원은 1950년에 처음 설립되었다. 지방 문화원들의 처음 건립한 시기가 정확히 드러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담양은 1950년 4월 1일 정확한 설립 내력이 있다. 그리고 개원 이후 1954년의 사진이 70년사에 올라있다. 담양문화원은 물론 담양의 중요한 역사 현장이자 기록유산이다. 이같은 기록과 자료를 찾기 위한 담양문화원의 노력은 지난 70년간 계속되어 왔고, 그것이 오롯하게 『담양문화원 70년사』에 담겼다. 우리나라 지방문화원은 1950년대에 설립의 단초가 마련된 것으로 알려져 온다. 지방문화원은 지역의 문화활동을 위하여 자생적으로 생성되어 활동하기 시작한 비영리조직이다. 향토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하여 자생..

인지의 즐거움 2024.01.31

인지의 즐거움336 - 강진 용혈암지의 조사, 보호 현황과 보존 활용 방안

인지의 즐거움336 강진 용혈암지의 조사, 보호 현황과 보존 활용 방안 김희태 강진 용혈암지는 1245년(고종 32) 원묘국사 요세의 주석 등 고려시대 국사들의 주석처로서 역사 기록에 뚜렷하다. 학술조사와 발굴조사를 거쳐 성격이 규명되고 유물이 출토되면서 물적 고증자료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여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남도 지정을 추진하여 2023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용혈암지 보존과 활용을 위한 학술대회도 실시하였는데, “강진 용혈암지의 문화재적 가치와 활용방안” 주제로 발표한 내용 가운데 조사현황과 보호를 위한 노력, 보존활용의 방안을 정리해 본다.  조사 연구 현황과 보호 강진 용혈암지는 향토지는 1978년 발간된 강진향토지, 학술조사 자료는 1988년에 조사한 강진군 문화유적 학술조사..

인지의 즐거움 2024.01.30

인지의 즐거움335 - 기념물-절터(사지)의 문화재 지정과 강진 용혈암지

인지의 즐거움335 기념물-절터(사지)의 문화재 지정과 강진 용혈암지 김희태 강진 용혈암지(康津 龍穴庵址)는 2023년 전라남도 기념물이 되었다. 문화재 지정과정에서 실시한 학술대회에서 “기념물-절터(사지)-용혈암지”에 대해서 발표한 글을 나누어 소개한다.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형문화재·무형문화재·기념물·민속문화재“로 선언적으로 규정하고 있다.(「문화재보호법」 제2조(정의)) 강진 용혈암지는 “기념물” 가운데 “절터, 가마터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에 해당한다. 따라서 문화재적 가치는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강진군에..

인지의 즐거움 2024.01.30

인지의 즐거움334 - 이방언 대접주의 동학입교 전후 장흥 지역 사회 동향과 교류 관련 자료

인지의 즐거움334 이방언 대접주의 동학입교 전후 장흥 지역 사회 동향과 교류 관련 자료 김희태 이방언(1838~1895) 대접주를 중심으로 19세기 말 향촌 지식인의 활동에 대해서 살펴 본 바 있다. 단편적인 기록을 통해 시대상을 추구한다는 것이 다소 모험적인 일이기는 하다. 그러나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소개를 통하여 당대의 시대상을 이해하고 후대의 인식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가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 여긴다. 동학 대접주로 활약한 이방언(정석)의 학맥과 동문, 동학 입도 계기 등에 대해서 꾸준한 탐문을 해 오던 터에 새로운 자료를 확인하여 소개하였다. 이방언의 또 다른 이름(본명으로 보이는)인 이정석(李正錫), 사복재 송진봉((思復齋 宋鎭鳳, 1840∼1898)·학남 김우(鶴南 金우, 1833~1910)..

인지의 즐거움 2024.01.28

인지의 즐거움333 - 나대용장군에게 통정대부를 가자한 포장가자교서(1611년)

인지의 즐거움333 나대용장군에게 통정대부를 가자한 포장가자교서(1611년) 김희태 포장가자교서 현황과 전래 「나대용 포장가자교서(羅大用褒奬加資敎書)」는 나대용이 창선과 해추선 등 일종의 특수군선을 개발한 공적을 포장하면서 통정대부를 가자(加資)하는 교서이다. 교서(敎書)는 국왕이 내리는 명령서·훈유서(訓諭書)·선포문(宣布文)의 성격을 가진 문서로 즉위교서, 공신녹훈교서, 문묘종사교서, 포장(褒奬)교서 등 다양하다. 문신이 제진(製進)하여 왕의 열람(閱覽) 또는 청문(聽聞)을 거치게 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교서의 전존은 225건이며 이 가운데 포상 상가[가자]교서는 13건이 전하고 있다. 실물문서 11건, 사진유리필름 자료 2건이다. 상가 교서 내용이 문집에 실린 것은 17건이다.(노인환, 「조선시대 ..

인지의 즐거움 2024.01.28

인지의 즐거움331 - 조선 말기의 학자 송진봉(1840~1898)의 문집, 『사복재집』

인지의 즐거움331 조선 말기의 학자 송진봉(1840~1898)의 문집, 『사복재집』 김희태 『사복재집』은 조선 말기의 학자 송진봉(1840~1898)의 문집이다. 송진봉은 중암 김평묵(1819~1891)의 문인으로 위정척사파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사복재집』은 경인문화사에 영인본이 나왔고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한국문집총간 속집으로 표점영인본을 간행했고 한국고전종합DB에서 공개하고 있다. 장흥문화원에서 이병혁님의 정치한 역주를 바탕으로 정남진국역총서로 간행함으로써 연구가 본 궤도에 오를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조선말기 역사문화와 사회상, 그리고 후대의 문림골의 학맥 탐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송진봉의 자는 치승(致承), 호는 사복재(思復齋)이고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강진 평덕에서 부친 송..

인지의 즐거움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