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357

인지의 즐거움354 - 26개소 전각이 있던 정수사, 고금도 관왕묘 수호사찰

인지의 즐거움354 26개소 전각이 있던 정수사, 고금도 관왕묘 수호사찰 김희태 정수사, 26개소의 전각, 24개소의 산내외 암자 정수사의 사적 기록으로 『정수사 여지승람』이 있다. 조선후기의 기록인데 앞에 2장의 원색 지도가 있다. 정수사 가람 배치도와 고금도 관왕묘 지도이다. 이 사적의 제목은 호남좌도 금릉현 천태산 정수사 여지승람(湖南左道金陵縣天台山淨水寺輿地勝覽)이다. 『정수사 여지승람』에 따르면 묘적사(妙寂寺)와 쌍계사(雙溪寺) 기록이 나온다. 쌍계란 사명(寺名)은 동쪽과 서쪽에서 흐르는 두 곳의 냇물이 절 앞에서 합하므로 얻게 된 이름이라 한다. 강희 연간(1622~1722)에 이르러 절 이름을 ‘쌍계사(雙溪寺)’에서 ‘정수사(淨水寺)’로 개명하였다.  『정수사 여지승람』에는 전각(殿閣)(9),..

인지의 즐거움 2024.06.07

인지의 즐거움353 -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대전화상주심경>과 남은 현봉 대종사님의 <선에서 본 반야심경>

인지의 즐거움353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과 남은 현봉 대종사님의 김희태 조계총림 송광사 방장이셨던 남은 현봉 대종사님의 서문을 읽는다. 최근 출판된 개정판 11쇄이다. 문득 눈길이 가는 대목이 있다. 전에도 읽었던 것 같은데 유난히 새롭다. 길지만 옮겨 본다. “몇 년 전 봄에 장흥長興의 탐진강耽津江 가에 있는 용호정龍湖亭에서 팔순이 넘은 어느 노유老儒를 만나, 처음으로 이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注心經)』을 얻어 보게 되었다. 그 분이 말하기를 "6·25전란이 끝난 이듬해 어느 행상이 찾아 와서 몇 권의 묵은 책을 내놓으며 '전화戰禍로 폐허가 되어버린 보림사寶林寺 부서진 불상에서 나온 책인데 사랑방의 벽지壁紙나 될까 하여 팔러 다닌다'고 하기에 아까운 생각이 들어 쌀 한 되를 주고 이 책을 구해 두었..

인지의 즐거움 2024.05.23

인지의 즐거움352 - 광주 동학농민혁명 역사자원 활용방안-민주역사 자원발굴 및 활용을 위한 정책 토론회 토론문-

인지의 즐거움352 광주 동학농민혁명 역사자원 활용방안-민주역사 자원발굴 및 활용을 위한 정책 토론회 토론문- 김희태 *광주광역시(민주보훈과)에서 주최한 민주역사 자원발굴 및 활용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 참여할 기회가 있었다. 몇 회째 진행하고 있는데 이번 주제는 ‘광주 동학농민혁명’이었다. 발제는 ‘광주 동학농민혁명의 이해 및 과제’를 노성태님(남도역사연구원장), 좌장은 신주백님(성공회대학교 교수), 토론은 김희태가 참여하였다. 당시 토론문으로 정리한 글을  소개한다. 광주 동학농민혁명 정책토론의 자리를 마련해 주신 관련 기관 단체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토론자로 참여하게 되어 영광스럽습니다. ‘광주 동학농민혁명의 이해 및 과제(노성태)’를 읽고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발표문은 광주 동학농민혁명 개..

인지의 즐거움 2024.05.10

인지의 즐거움351 - 1492년 문과급제해 시강원 보덕, 담양부사를 지낸 문신, 나주 보덕공 박이관비, 1799년

인지의 즐거움351 1492년 문과급제해 시강원 보덕, 담양부사를 지낸 문신, 나주 보덕공 박이관비, 1799년 김희태보덕공 박이관비는 나주시 남평읍 광촌리 함양박씨 종중 선산에 조성된 묘역에 있다. 조선시대 전기 문과에 급제한 역사인물로서 석비가 거북좌대와 생동감 있는 쌍용문과 화문 비머리 등 양식적으로 특징이 있으며, 비문은 당대 문신 학자 도암 이재가 짓고 제액 글씨는 유척기, 비문 글씨는 민우수가 써서 건립연대와 찬서자를 알 수 있으며 당대 서예가의 글씨로서 예술성도 지니고 있어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향촌사회사적 가치가 크다. ‘나주 보덕공 박이관비 및 석물 일괄’ 명칭으로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62호로 지정(2024.01.17.)되었다.  박이관(朴以寬, 1459~?)은 조선전기에 문과에 ..

인지의 즐거움 2024.04.22

인지의 즐거움350 -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고, 나주 남파고택 소장 유물1

인지의 즐거움350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고, 나주 남파고택 소장 유물1 김희태 국가민속문화재 나주 남파고택(羅州 南坡古宅) 소장 유물 가운데 674종 880점을  9개 분야로 나누어 목록작성을 하고 그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남파고택 소장 자료는 1만여점이 넘는다 하고, 여러 분야 조사가 진행중임으로 나주문화원(원장 윤여정)에서 조사한 내용을 "남파고택소장 유물(1)"로 제하여 해제한 글의 맺음말을 소개한다.   남파고택 당주 박경중(朴炅重, 1947년생)은 밀양박씨 청재공파이다. 청재(淸齋) 박심문(朴審問, 1408~1456) 넷째 아들 박원정(元正), 박원정의 셋째아들 박세부(世莩, 羅州公) 대에 나주에서 세거하였다. 남파고택은 박세부의 손자[청재공 박심문 현손] 박종(樅)을 종가조(宗家祖)로 하..

인지의 즐거움 2024.04.17

인지의 즐거움349 - 금성읍지(1897년)의 편찬과 내용 및 특징

인지의 즐거움349 금성읍지(1897년)의 편찬과 내용 및 특징 김희태 금성읍지의 편찬과 전래 『금성읍지(錦城邑誌)』는 전라도 나주목의 읍지로 3권 2책이며 1897년(光武 1)에 목활자로 간행하였다. 표제의 금성(錦城)은 나주의 별호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5권 나주목 군명(郡名) “발라(發羅)ㆍ통의(通義)ㆍ금산(錦山)ㆍ금성(錦城)ㆍ진해군(鎭海軍)”이 아온다. 1897년 당시 나주는 전라남도 나주군에 속했다. 『금성읍지』는 이인상(李麟相), 나도우(羅燾佑), 정구현(鄭龜鉉), 김영규(金永奎) 등이 중심이 되어 발간한 사찬읍지이다. 이승욱(李承旭)의 서문에 “사인 이인상과 나도우가 군지의 일을 부탁하였다.”고 썼다. 그리고 윤웅렬 전라남도 관찰사의 서문에는 “진사 정구현(鄭龜鉉), 감찰(監察) 김영..

인지의 즐거움 2024.03.02

인지의 즐거움348 - 나주목사 장유의 ‘읍지’ 편찬 논의와 나주목 읍지류

인지의 즐거움348 나주목사 장유의 ‘읍지’ 편찬 논의와 나주목 읍지류 김희태 『역주 금성읍지』가 간행(나주문문화원, 원장 윤여정)되었다. 1897년에 편찬된 사찬읍지이다. 앞 부분에 게재한 「금성읍지 해제」 글(김희태)을 일부 편집하여 나누어 소개한다. 읍지, 연혁‧인물‧문화‧산업의 기록 읍지(邑誌)는 조선시대에 기초적인 지방행정구역이었던 부(府)·목(牧)·군(郡)·현(縣) 등 지방 각 고을을 단위로 하여 연혁, 지리, 인물, 산업, 문화, 풍속 따위를 기록한 지리지이다. 읍지는 편찬 대상의 범위에 따라 전국읍지(全國邑誌)·도지(道誌)·군현지(郡縣誌)·면지(面誌)·촌지(村誌)·동지(洞誌)·진영지(鎭營誌)·변방지(邊方誌) 등 여러가지로 나뉘는데, 호남읍지 등 도지와 나주목읍지 등 군현지가 대다수를 이루고..

인지의 즐거움 2024.03.02

인지의 즐거움347 - 신령이시여! 비를 내려 주소서, 금성산과 남해사의 기우제

인지의 즐거움347 신령이시여! 비를 내려 주소서, 금성산과 남해사의 기우제 -기록을 통해 보는 재난(災難)6- 김희태 큰물이 져 피해가 나는 재난이 있는가 하면, 그와는 반대로 비가 오지 않아 든 재난도 있다. 비를 내려 주소서. 기우제를 올린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기우제 기록이 1,447회가 나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제로 설행되었다고 보는 것은 864회(세종 136회, 숙종 115회, 영조 101회 등), 기후재난 679회, 환경개선사업 533회로 분류한 바 있다.(유재심‧성종상 논문) 나주 목사를 지낸 장유(張維, 1587∼1638)의 금성산 기우제문과 남해사 기우제문을 소개한다. 장유는 1629년(인조 7) 9월 15일부터 1630년(인조 8) 8월 사이 나주목사에 재임한다. 장유의 본관은 덕수..

인지의 즐거움 2024.02.18

인지의 즐거움346 - 영산강 홍수의 형상화, 박화성의 소설 <洪水前後>

인지의 즐거움346 영산강 홍수의 형상화, 박화성의 소설 -기록을 통해 보는 재난(災難)5- 김희태 소설 속 영산강 홍수를 만나 보자. 박화성(朴花城, 1904~1988, 본명 景順, 아호 素影)의 , 『삼천리』 제7권 제3(1935년 03월 01일, 223~252쪽)에 실렸다. 글의 끝에 ‘(1934. 8. 8)’ 일자가 있는데 소설을 마무리한 날로 보인다. 단편집『홍수전후』(백양당, 1948)에 수록되었다. 1934년 『신동아(新東亞)』에 발표되었다는 설명(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도 있으나, 본고에서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근현대잡지자료의 『삼천리』자료를 인용한다. 1934년에 쓴 소설 속의 영산강 홍수, 이 작품은 그 무렵 호남 지방에 큰 홍수가 있었을 때 가장 심한 손해를 입은 나주 영산포에 작가가..

인지의 즐거움 2024.02.17

인지의 즐거움345 - 영산교(榮山橋) 1년에 한 번씩 수리, 행주(行舟) 석장(石檣)과 내목성, 남평 십리송

인지의 즐거움345 영산교(榮山橋) 1년에 한 번씩 수리, 행주(行舟) 석장(石檣)과 내목성, 남평 십리송 -기록을 통해 보는 재난(災難)4- 김희태 『신증동국여지승람』 나주목 교량조에 세곳의 다리 기록이 보인다.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 신증동국여지승람은 1530년 간행됨으로 조선초기의 역사 현장을 알 수 있다. 학교(鶴橋) : [나주읍]성 안에 있다. 영산교(榮山橋) : 금강진에 있는데, 1년에 한 번씩 수리한다. 고막교(古幕橋) : 고막포(古幕浦)에 있다 *橋梁 : 鶴橋 在城中 榮山橋 在錦江津 歲一修葺 古幕橋 在古幕浦(『신증동국여지승람』 제35권 全羅道 羅州牧 橋梁) 학교, 내목성, 외목성, 석장, 목장, 동수문, 수문, 여제, 광탄진(나주목 지도, 1872년, 규장각) 학교(鶴橋)는 나주읍성에서..

인지의 즐거움 202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