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학통신 482

향토학통신 - 대동문화재단 설립 30주년 기념 ; 다시 보는 30년 전 추억의 첫 답사, 2025.04.03.

향토학통신 대동문화재단 설립 30주년 기념/다시 보는 30년 전 추억의 첫 답사, 2025.04.03.전통문화지킴이 대동문화재단은 “우리 역사와 전통문화를 바로 알고 지키자"는 뜻으로 1995년 5월 16일에 설립한 시민문화단체이다. 1995년 6월 6일. 단체 설립기념으로 첫 문화유산답사를 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담양 가사문화권, 순천 문화권으로 실시하였다.이제 금년 5월은 대동문화재단 설립 3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이다. 30년 전 문화답사에 참여했던 회원 20여 명을 초청, 당시의 첫 답사지를 찾아, 그때를 회고해 보는 추억의 답사를 실시한다.○ 답사일시 : 2025.04.03.(목요일) 09:30~○ 답사할곳 : 담양 송강정 ~ 면앙정 ~ 소쇄원 등○ 길라잡이 : 조상열 대동문화재단 대표, 김..

향토학통신 08:20:47

향토학통신 - “강진의 사찰문화유산 이야기”, “우리나라 사찰의 三種病人 이해” 남불회 학술발표회, 2025.03.08., 광주 차생원

향토학통신 “강진의 사찰문화유산 이야기”, “우리나라 사찰의 三種病人 이해” 남불회 학술발표회, 2025.03.08., 광주 차생원 일시 : 2025.03.08. 15:00 토요일장소 : 차생원 2층(광주 동구 의재로 100/소태동 765) 주최 : 남도불교문화연구회(회장 양승문) 주제 1. 우리나라 사찰에 나타난 玄沙師備의 三種病人에 대한 이해 양상의 한 단면. (최성렬 조선대 명예교수)2. 강진 사찰문화유산 이야기(김희태 전 전라남도 문화재전문위원) 강진의 사찰문화유산 이야기 교재 차례24개소의 사찰과 17개소의 절터 이야기지리지와 읍지류 기록상의 강진 사찰조선시대 고지도를 통해 본 강진의 사찰백제국 강남(江南) 달나산(達拏山)과 월출산막 붓을 놓은 듯한 600년의 벽화, 무위사고려시대 팔국사를 배출..

향토학통신 2025.03.08

향토학통신 - 1798년 광주목 과거시험[道科] 강좌, 2025.03.05.

향토학통신 1798년 광주목 과거시험[道科] 강좌, 광주전남사료조사위원협의회, 2025.03.05. 일시 : 2025.03.05.(수요일) 강좌 11:30 / 답사 -송월당 유물관 13:00*정기총회 11:00 *12:10 점심식사장소 : 양산동 백년한우 회의관(북구 연양로 67번길 5) 주제 : 1798년 광주목 과거시험[道科] 강사 : 김희태 주최 : 국사편찬위원회사료조사위원광주·전남협의회(회장 박정하, 사무처장 김천식)협조 : 하동정씨 송월당공파 양지문중(고문 정환동, 회장 정윤철, 총무 정덕규) 참석 김기홍(고문), 김학근(고문), 이종일(고문)박정하(회장), 윤여정(부회장), 최성은(부회장)나홍채(감사), 김천식(사무처장), 최순희(사무차장) 김상찬(운영위원), 변동강(운영위원)김인창, 김태영,..

향토학통신 2025.03.05

향토학통신 - 담양지역 주요 ‘사족’ 관련 기록과 자료 강좌, 2025.01.21. 담양 물구십리권역활성화센터

향토학통신 담양지역 주요 ‘사족’ 관련 기록과 자료 강좌, 2025.01.21. 담양 물구십리권역활성화센터 일시 : 2025.01.21. 화요일 11:00장소 : 담양 월산 물구십리권역활성화센터주관 : 전북대학교 이재연구소강사 : 김희태  교재 차례1. 조선시대의 담양 연혁과 주요 성씨2. 담양 지역 문과 급제자와 성씨별 현황3. 담양의 주요 사족과 사림의 활동4.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 현판과 시권

향토학통신 2025.01.21

인지의 즐거움376 - 전통시대 통신체계, 제5로 직봉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인지의 즐거움376 전통시대 통신체계, 제5로 직봉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김희태  조선 후기 군사 통신시설인 봉수유적이 연속유산 형태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은 순천(여수) 방답진 돌산도~한양 목멱산(남산) 간 제5로 직봉 61개소 가운데 들어 있고, 사적 지정은 전남 10개소를 포함해 16개소이다. 직봉(直烽)은 조선 후기 변방과 한양을 연결하는 5개의 간선로 상에 위치한 봉수를 말한다.  장흥 전일산봉수는 여수[순천] 방답진 돌산도봉수(突山島烽燧)에서 초기(初起)하는 제5로 직봉노선의 일곱 번째이자, 장흥 억불산봉수(億佛山烽燧)와 보성 진흥산봉수(眞興山烽燧) 에 응하였던 제5로 간봉노선의 초기 연변봉수이다. ‘제5로 직봉 -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으로..

향토학통신 2024.12.26

향토학통신 : 신간 - 향토문화 제43집 발간, 향토문화개발협의회, 2024

향토학통신 : 신간 - 향토문화 제43집 발간, 향토문화개발협의회, 2024 1. 향토문화원형IP 킬러콘텐츠 제작 / 김연수 2. 호남 고인돌 출토유물과 부장풍습 / 이영문·강진표·최성훈 3. 일제강점기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현지 조사와 이전사 / 황호균 4. 면앙정 송순의 관직과 회방연에 대한 일고찰 / 노성태 5. 장흥 반계사 소장 필사본 『진법(陣法)』 해제 / 김희태·김병륜 6. 반곡 정경달선생 관련 조사 연구 현황 / 김희태 7. 통제사영(統制使營)과 진경문(陳景文)의 통제진(統制陣) 검토 / 이수경 8. 화순 국조전(和順 國祖殿) 조사보고 / 심홍섭·성대철·김희태 9. 영암 해주최씨 송남가 자료 소개와 주요 특징 / 조광현

향토학통신 2024.12.25

향토학통신 : 신간 - 동학농민혁명연구 제3호,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발행, 2024.

향토학통신 : 신간 -  동학농민혁명연구 제3호,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발행, 2024. 특집논문 장경호 |미국의 동학농민혁명 및 청일전쟁 관찰- 뉴욕 언론지의 동학농민혁명·청일전쟁 보도를 중심으로 -유바다 | 독일제국 외교관의 동학농민군에 대한 인식김태웅 | 조선주재 프랑스 외교관·선교사의 동학농민혁명·청일전쟁 인식과 대응한동훈 | 청일전쟁 전후 러시아의 조선 정세 인식과 삼국간섭 - 동학농민운동 인식을 중심으로 - 권의석 | 영국의 동학농민혁명 인식과 영일관계의 변화 일반논문녹두팀·박정민 | 데이터로 본 동학농민혁명 연구 동향-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史料) 아카이브 수록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엄찬호 | 『동경대전』 간행터의 기념시설 활용 및 활성화 방안남경국 | 헌법적 관점에서 본 1894년 ..

향토학통신 2024.12.25

향토학통신 : 신간 - 유족 증언을 통해 본 동학농민군의 삶, 동학농민혁명연구소 학술총서1

향토학통신 : 신간 -  유족 증언을 통해 본 동학농민군의 삶, 동학농민혁명연구소 학술총서1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발행, 2024.12. 유족 증언으로 본 전라도 정읍·고부·태인지역 동학농민군의 삶/이병규유족 증언과 자료로 본 전라도 장흥·강진지역 동학농민군의 순국/김희태충청도 내포 지역 동학농민혁명 진압과 농민군의 최후/조재곤유족 증언으로 본 충북지역 동학농민군의 삶/신영우유족 증언으로 본 강원·경기·경상도 출신 동학농민군의 활동/신진희

향토학통신 202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