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국가유산 331

새국가유산 - 전남 문화유산 변경지정 고시, 강진 윤복신도비와 영모당, 곡성 유팽로 정열각, 진도 칠전리 학계 철비와 노암재외, 2025.02.06.

새국가유산 전남 문화유산 변경지정 고시, 강진 윤복신도비와 영모당, 곡성 유팽로 정열각, 진도 칠전리 학계 철비와 노암재외, 2025.02.06. 〇강진 윤복 신도비(전라남도 기념물)-강진 윤복 신도비와 영모당(지정 내용 변경[확대] 및 명칭 변경) 〇진도 칠전리 학계철비(전라남도 기념물)-진도 칠전리 학계철비와 노암재(지정 내용 변경[확대] 및 명칭 변경) 〇용산재 및 덕양사(전라남도 기념물)-곡성 신숭겸 유적(지정 내용 변경[확대] 및 명칭 변경/용산재, 덕양사, 영적비(각), 계마석) 〇유월파 장군 정렬각(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곡성 유팽로 정열각(승격 지정 및 명칭변경)(전라남도 가념물) 〇곡성 향교(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곡성 향교(승격 지정)(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연번종별당초종별변경명칭주소지정..

새국가유산 2025.02.07

새국가유산 - 고흥 봉암사 이여재,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 고시, 2025.02.06.

새국가유산 고흥 봉암사 이여재,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 고시, 2025.02.06. 고흥 봉암사 이여재(高興 鳳巖祠 二如齋)  ○ 종 목 : 민속문화유산 제57호 ○ 소 재 지 : 고흥군 과역면 석봉리 114 ○ 구조/형태 : 재실(정면 5칸, 측면 2칸, 팔작지붕) / 262㎡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 및 관리자 : 김녕김씨 영돈령공파종중  ○ 지정사유  - 이여재는 조선시대 선현 제향 공간인 사우의 강당 겸 재실로서 현 건물은 1905년 상량하였으며, 민간중심의 향촌 사회사 및 공동체(문중) 조직과 운영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민속생활사 유산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 부재의 재사용을 통한 공간의 성격 및 구조를 변용한 뛰어난 결구기법이 확인되며, 결구기법이나 구조를 통해 관아건..

새국가유산 2025.02.07

새국가유산 - 순천 담락재와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새국가유산  순천 담락재와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순천 담락재와 현판(順天 湛樂齋와 懸板)   ○ 소 재 지 : 순천시 주암면 구산2길 3 ○ 시 대 : 조선시대 ○ 구조/형식/형태 : 목조와가 1동(59.35㎡) / 현판 51종 ○ 소유자/관리자 : 옥천조씨담헌종중  ○ 지정 예고 사유  - 순천 담락재(順天 湛樂齋)는 조진익(趙鎭翼, 1788~1858)과 조진룡(趙鎭龍, 1803~1860) 형제가 조선후기 1841년경에 건립하여 효도와 우애의 실천, 후손과 향리 자제의 강학, 문인과 선비들의 교류 공간으로서 일반적인 제향(祭享) 기능의 재실(齋室, 祭閣)과는 구별되는 공동체 문화 공간임 - 담락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에 전후좌우에 툇간을 두었고, 조선후기 교육적..

새국가유산 2025.02.06

새국가유산 - 영광 구 융문당과 융무당,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새국가유산 영광 구 융문당과 융무당,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영광 구 융문당과 융무당(靈光 舊 隆文堂과 隆武堂)  ○ 소 재 지 - 융문당 : 영광군 백수읍 길용리 15 - 융무당 : 영광군 백수읍 대신리 36 ○ 시 대 : 조선(1868년) ○ 구조/형식/형태규모 - 융문당 : 정면 5칸, 측면 4칸, 이익공, 겹처마 팔작집, 150.08㎡ - 융무당 : 정면 4칸, 측면 3칸, 무익공, 겹처마 팔작집, 78.35㎡ ○ 소유자/관리자 : (재)원불교  ○ 지정 예고 사유  - 융문당과 융무당은 고종5년(1868년)에 경복궁 신무문 밖 후원 지금의 청와대 일원에 건립하였음  -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1928. 8월 ~ 1929.5월에 건물을 헐어 당시 서울 한강통 11번..

새국가유산 2025.02.06

새국가유산 - 강진 명발당(康津 明發堂),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5.01.09.

새국가유산  강진 명발당(康津 明發堂),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5.01.09.  ○ 명 칭 : 강진 명발당(康津 明發堂) ○ 지 정 별 :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 소 재 지 : 강진군 도암면 항촌리 601 ○ 시 대 : 조선시대 ○ 구조/형식/형태규모 : 2동, 안채(91.9㎡), 명발당(39.2㎡)  ○ 지정 예고 사유 - 명발당(明發堂)은 해남윤씨(海南尹氏) 항촌파(項村派)의 고택(古宅)임. 항촌파의 세거지가 항촌으로 옮겨진 것은 19세손 윤이면(尹以冕) 때임. 이후 항촌의 구택(舊宅)이 있었지만 22세손 윤광택(尹光宅)에 이르러 명발당이라는 당호를 붙임 - 명발당은 해남윤씨 항촌파의 종가로 구택을 기준으로는 2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곳이며, 현재의 가옥으로는 100여 년..

새국가유산 2025.01.15

새국가유산 -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5.01.02

새국가유산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5.01.02- 동백나무 숲의 수려한 경관과 백련사, 정약용이 머물던 다산초당의 역사적 의미가 어우러진 명승  아름답고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이 국가지정자연유산 명승으로 지정 예고되었다.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은 백련사 초입에 위치한 만경루에서 내다보는 강진만과 가우도의 고요한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경승지로, 자연적인 차나무 자생지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백나무 숲의 붉은 동백꽃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또한, 만덕산 일대에는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역사성을 가진 옛 사찰인 백련사와 다산 정약용이 머물렀던 다산초당이 위치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과 백련사 아암 혜..

새국가유산 2025.01.02

새국가유산 - 통일신라의 탁월한 조형미 간직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승격 지정 예고, 2024.12.30

새국가유산 통일신라의 탁월한 조형미 간직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승격 지정 예고, 2024.12.30-전통 목조건축의 처마곡선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옥개석… 당대 최고 석공 시공 추정-  곡성 태안사(泰安寺)에 위치한 보물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되었다. * 태안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구례 화엄사의 말사(末寺, 본사에서 갈라져 나온 절)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742~765)때 신승(神僧)이 대안사(大安寺)라는 사명(寺名)으로 창건, 조선시대 이후 태안사(泰安寺)로 사용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은 통일신라의 동리산문(桐裏山門)을 세운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785~861)의 부도(浮圖, 승탑)이다. * ..

새국가유산 2025.01.02

새국가유산 - 순천 환선정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새국가유산 순천 환선정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 유산명 : 순천 환선정 현판(順天 喚仙亭 懸板)-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소 재 지 : 순천시 연향동 667-2(환선정)- 구조/형태 : 2점·1613년 현판(배대유) : 가로 130cm × 세로 55cm ·1886년 현판(이범진) : 가로 340cm × 세로 120cm- 시 대 : 조선시대(배대유 현판 1613년, 이범진 현판1886년)- 소 유 자 : (사)환선정- 관 리 자 : (사)환선정- 지정 예고 사유· 환선정은 조선시대(1543) 순천도호부사 심통원 휴식과 정무의 공간으로 지은 것으로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13년 중건 시 배대유, 1886년 순천 부사 이범진이 현판을 씀.· 각 편액은 각 ..

새국가유산 2024.12.24

새국가유산 - 곡성 태안사 금고(金鼓),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새국가유산 곡성 태안사 금고(金鼓),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 유산명 : 곡성 태안사 금고(谷城 泰安寺 金鼓)-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소 재 지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태안사)- 수 량 : 1점- 시 대 : 조선시대(1770년)- 소 유 자 : 대한불교조계종 태안사- 관 리 자 : 대한불교조계종 태안사 - 지정 예고 사유·금고 측면 음각 명문을 통해 제작연대, 봉안지역 사찰, 제작자를 알 수 있음.·크기가 대형이고 조형미와 문양의 표현력 매우 뛰어나 불교 공예사적 가치가 큼.

새국가유산 2024.12.24

새국가유산 - 곡성 태안사 사적기 일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새국가유산 곡성 태안사 사적기 일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 유산명 : 곡성 태안사 사적기 일괄(谷城 泰安寺 事蹟記 一括) -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소 재 지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태안사)- 수 량 : 13책- 시 대 : 조선시대~근대- 소 유 자 : 대한불교조계종 태안사- 관 리 자 : 대한불교조계종 태안사 - 지정 예고 사유·조선후기부터 근대에 이르는 필사본 문적들로 태안사에 관한 기록유산임.·태안사의 각 전각의 건립, 사찰 운영, 역대 주지와 불사등 불교문화사와 향촌사회사 측면에서 역사적ㆍ학술적 가치 높음.

새국가유산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