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393

인지의 즐거움028 - 존재 위백규선생, 강진 정수사 삼존불상 개금 시주기를 짓다

인지의 즐거움 028 존재 위백규선생, 강진 정수사 삼존 불상 개금 시주기를 짓다 -국가문화재 보물 지정의 중요한 고증 사료로 활용- 김희태 장흥 출신으로 조선후기 저명한 실학자 존재 위백규(1727~1798)선생이 지은 글이 새로 확인되어 화제다. 이 글은 강진 정수사 목조 삼존불상을 개금할..

인지의 즐거움 2016.05.13

인지의 즐거움026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백의관음도 오언율시

인지의 즐거움 02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백의관음도 오언율시 김희태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백의관음도 상단에 묵서로 된 오언율시가 있다. 이 시의 작자는 누구이며 언제 지어졌을까? 불교 경전이나 스님의 저술과 연관이 있거나 고전에서 유래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 적도 있다. 그러다가 『동문선(東文選)』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거의 같은 내용의 시를 확인하게 되었다. 그런데 두 책에 실린 시는 같은데, 지은 이가 서로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동문선』은 석익장(釋益莊),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유자량(庾資諒, 1150∼1229)이다.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백의관음도의 시와 여섯 글자가 표기가 다른데 의미는 유사한 내용이다. 이를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국역문은 4종이 있는데 끝에 있다...

인지의 즐거움 2016.05.06

인지의 즐거움024 - 사진 향토사와 <전남사진지>(1917)

인지의 즐거움 024 사진 향토지를 꿈꾸며-(1917)와 사진 향토사-   김희태 1917년 10월에 간행된 , 는 1917년 당시 전남 23개 부군(府郡)별로  편차하여 공공기관, 경관, 명소, 산업, 유산 등의 사진 4~20개를 실었다. 사진의 해설도 길게 기록하여 당시의 사회사정이나 연혁 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다.   지역별로 보면 목포부 12, 광주군 20, 담양 4, 곡성 4, 구례 6, 광양 7, 여수 4, 순천 4, 고흥 4, 보성 4, 화순 4, 장흥 11, 강진 4, 해남 7, 영암 7, 부안 12, 나주 11, 함평 4, 영광 4, 장성 4, 완도 4, 진도 4, 제주 8장 등 모두 151장이다.  이 가운데 하나의 설명문에 사진이 2개(축소 사진 포함)인 곳도 있어 낱장 사진으..

인지의 즐거움 201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