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 25

향토학통신 - 순천 임청대비 보물 승격을 위한 학술대회, 2024.11.01., 순천 청소년수련관

향토학통신 순천 임청대 보물 승격을 위한 학술대회, 2024.11.01., 순천 청소년수련관 일시 : 2024.11.01. 금요일 15:00~17:30장소 : 순천시 청소년수련관(금곡길 20(행동 65-7))주최 : 순천시주관 : 청암대학교 14:30 등록15:00 개회(사회 성주현, 청암대)15:10 발표16:50 토론(사회 김희태) 〇 순천 사족세력의 변화와 임청대·옥천서원- 발표 이욱(순천대) 토론(최연숙(한국국학진흥원)〇 순천 임청대 비문의 의미와 예술적 가치- 발표 : 정현숙(원광대) 토론 : 조미영(화엄사성보박물관)〇 사례를 통해 본 임청대비 보물 지정 추진 방향과 활용 방안- 발표 : 이수경(지역유산연구원장) 토론 : 성대철(전남문화유산연구원)

향토학통신 2024.10.31

향토학통신 - 나주 동학사죄비 건립 1주년 기념과 나카츠카 아키라 교수 추모-제19회 한일 동학기행 시민교류회-, 2024.10.28.~29.

향토학통신 나주 동학사죄비 건립 1주년 기념과 나카츠카 아키라 교수 추모 제19회 한일 동학기행 시민교류회, 2024.10.28.~29. 일시 : 2024.10.28.(월요일) 17:30~10.29.(화요일) 08:30 장소 : 나빌레라문화센터 소극장, 탯자리곰탕 / 사죄비(죽림동) 현장 주관 : 사죄비건립추진위원회·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후원 : 나주시·(사)나주학회 내용 10.28 1부 만남 17;30~18:30 나빌레라문화센터 소극장 -개회, 소개, 환영사, 답사 -나주 동학 사죄비 건립회고(영상) -나카츠카선생 1주기 추모사(박맹수 전 원광대총장) -추모시 낭독(나천수 사죄비추진위원회 공동대표) -나카츠카교수와 ‘전라남도’의 인연(김희태) -기념품 증정, 기념 촬영 10.28 2부 만찬 18:30~2..

향토학통신 2024.10.27

인지의 즐거움370 - 재사당 이원선생의 입명비(立命碑)와 적거유허비(謫居遺墟碑), 나주 복암

인지의 즐거움370 재사당 이원선생의 입명비(立命碑)와 적거유허비(謫居遺墟碑), 나주 복암 김희태 나주 노안면 학산리 복암 근처 야트막한 산 기슭에 3기의 빗돌이 있다. 재사당(再思堂) 이원(李黿, 1471?~1504)선생의 입명비(立命碑)와 적거유허비(謫居遺墟碑), 그리고 ‘재사당 이선생 유허중수비’(병진년)이다. 이원이 무오사화 때 나주로 유배되어 귀양살이를 했던 터에 세운 것이다. 이원은 봉상시에 재직하면서 김종직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 이로 인하여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곽산으로 유배되었다가 1500년(연산군 6) 다시 나주로 이배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로 죄가 더해져 참화를 당하였다. 입명비를 보자. 우복룡(禹伏龍, 1547~1613)이 나주목사 재임 때에..

인지의 즐거움 2024.10.23

향토학통신 - 한국학호남진흥원 제10회 기증·기탁인의 날, 2024.10.18., 광주 라마다플라자 충장

향토학통신 옛 자료를 통해 새로운 문화의 꽃을 피우겠습니다 – 한국학호남진흥원 제10회 기증·기탁인의 날, 2024.10.18., 광주 라마다플라자 충장.- 일시 : 2024.10.18. 금요일 10:30 장소 : 라마다플라자 충장 12층 로주마리홍(광주 천변우로 369) 주최/주관 : 한국학호남진흥원 후원 : 광주광역시·전라남도 * 2028~2024 기증 기탁 자료 82,647점(기증 4,563점, 105개처) * 2024 수집 자료 12,155점

향토학통신 2024.10.18

인지의 즐거움369 - 희경루를 찾은 이들과 그들이 남긴 자취

인지의 즐거움369 ( 《온빛》 제2호) 희경루를 찾은 이들과 그들이 남긴 자취 -외형 복원된 희경루, 관련 기록과 깃든 정신 찾고 이어가는 일이 과제- 김희태 희경루, 외형의 건조물도 중요하지만 그 속에 깃든 정신과 문화도 읽어 내고 이어가야 한다. 희경루를 찾은 사람들을 살펴본다. 보한재 신숙주(1417~1475)의 희경루기. 1451년 12월의 기록이다. 그해 여름, 향인(鄕人)이 모여 1430년(세종 12)에 무진군으로 강등된 읍격을 광주목으로 복호하여 오랜 억울함을 풀어 보자는 논의를 한다. 순성군 이개(?~1462), 전 중추 이맹진(1374∼1456), 전흥(1376~1457), 우참찬 안숭선(1392년~1452), 이조판서 권맹손(1390~1456), 인순부윤 김청(?~1462), 전 동지..

인지의 즐거움 2024.10.16

향토학 통신 -지역문화유산의 보존 강좌, 2024.10.16., 장흥 신활력센터

향토학 통신 지역문화유산의 보존 강좌, 2024.10.16., 장흥 신활력센터 강사 : 김희태일시 : 2024.10.16. 수요일 16:00~17:50장소 : 장흥 신활력센터(군청 앞) *장흥향토문화유산보존연구회*배움공동체활성화사업 교재 차례1. “문화재”와 “국가유산”, 제도의 전환 2. 장흥군 관내의 지정 국가유산(문화재)3. 최근 지정된 장흥의 국가유산(2018~2024)4. 전통시대 통신체계, 제5로 직봉 전일산 봉수 유적5. 안중근 의사 배향 최초 유일 사우, 해동사(海東祠)6. 고언주의 정담(靜潭), 문사들의 교류처, 무계원(霧溪苑)7 장흥부사도 시를 남긴 향촌서재 열호재(悅乎齋)

향토학통신 2024.10.16

새국가유산(무형유산) - 김 양식 어업,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공고, 2024.08.29.

새국가유산(무형유산) - 김 양식 어업,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공고, 2024.08.29.  1) 공고내용 ○ 지정명칭 : 김 양식 어업 ○ 구 분 : 공동체 종목 ※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종목으로 지정함 2) 지정사유 ○ 김 양식은 가장 오래된 해조류 수산양식으로 「동국여지승람」등 고문헌 기록으로 역사성과 전통성이 확인됨 ○ 전남은 최초 김양식이 시작된 김 시식지(광양, 전라남도 기념물, ‘87.6 지정)이며, 전국 최대 생산지로서 역사문화자원 보유함 ○ 17세기 후반 ~ 18세기, 전라도 광양을 중심으로 김 양식의 기술이 성립되었고, 지금 까지도 지속 발전되고 있음 ○ 김 양식의 역사가 오래되었고, 관련 의례가 행해지고 있으며 양식기술이 투영된 의례가 지금까지도 공동..

새국가유산 2024.10.15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고흥 봉암사 이여재,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예고, 2024.10.0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고흥 봉암사 이여재,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예고, 2024.10.04.  □ 문화재명 : 고흥 봉암사 이여재(高興 鳳巖祠 二如齋)  ○ 지정종별 :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 소 재 지 : 고흥군 과역면 석봉리 114 ○ 구조/형태 : 재실(정면 5칸, 측면 2칸, 팔작지붕) / 262㎡ ○ 시 대 : 조선시대 ○ 소 유 자 : 김녕김씨 영돈령공파종중 ○ 관 리 자 : 김녕김씨 영돈령공파종중 ○ 지정 예고 사유 - 이여재는 조선시대 선현 제향 공간인 사우의 강당 겸 재실로서 현 건물은 1905년 상량하였으며, 민간중심의 향촌 사회사 및 공동체(문중) 조직과 운영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민속생활사 유산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 부재의 재사용을 통한 공간의 성격 및 구조를..

새국가유산 2024.10.1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강진 월남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권 제16,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4.10.0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강진 월남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권 제16,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4.10.04. □ 문화재명 : 강진 월남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권 제16 (康津 月南寺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藥事 卷 第十六)  ○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 소 재 지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1길 100 ○ 수 량 : 1점 ○ 시 대 : 12~13세기(추정) ○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월남사 ○ 지정 예고 사유 - 초조대장경을 저본으로 12~13세기 경 보현사에 사경한 불교 경전 - 보존상태가 좋고 관련 정보를 통해 고려 중기 불교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산임*크기 : 세로 29.0㎝, 가로 718.8㎝

새국가유산 2024.10.1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강진 ‘大平’명 양각해석류화문 청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4.10.0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강진 ‘大平’명 양각해석류화문 청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4.10.04. □ 문화재명 : 강진 ‘大平’명 양각해석류화문 청자(康津 ‘大平’銘 陽刻海石榴華文 靑磁) ○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소 재 지 : 전남 강진군 사당리 127○ 수 량 : 1점○ 시 대 : 고려시대○ 소 유 자 : 국유○ 관 리 자 : 강진고려청자박물관 ○ 지정 예고 사유 - 고려 전기 청자 주요 제작소인 강진 사당리 요지 발굴품으로 ‘大平’명 명문을 통해 제작시기(12세기) 알 수 있어 고려청자 연구에 중요한 유산임 - 잔존상태가 양호하고 해석류화문(동백꽃무늬) 새겨져 있어 그 조형이 매우 우수함

새국가유산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