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3 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전남 문화유산 변경지정 예고, 강진 윤복신도비와 영모당, 곡성 유팽로 정열각, 진도 칠전리 학계 철비와 노암재 외, 2024.10.0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전남 문화유산 변경지정 예고, 강진 윤복신도비와 영모당, 곡성 유팽로 정열각, 진도 칠전리 학계 철비와 노암재 외, 2024.10.04.연번종별당초종별변경명칭주소지정면적(㎡)명칭주소지정면적(㎡)지적지정지적면적1기념물강진 윤복신도비용흥리산 23-2377,005300기념물강진 윤복 신도비와 영모당계11,68011,680용흥리 산23-2310,67810,678용흥리1611,0021,0022기념물진도 칠전리학계철비의신면칠전길 28-52645645기념물진도 칠전리학계철비와노암재의신면칠전길 28-526456453기념물용산재 및 덕양사계2,3442,344기념물곡성 신숭겸유적계3,4272,344목사동면 구룡리 180443443목사동면 구룡리 180443443오곡면덕산리 361,9011,901오곡면..

새국가유산 2024.10.13

인지의 즐거움367 - 김종직의 <금성곡>과 임상덕의 <금성잡곡>-가을 무 뿌리가 큰 것은 옹기보다 크고-

인지의 즐거움367  김종직의 과 임상덕의 -가을 무 뿌리가 큰 것은 옹기보다 크고- 김희태 「금성곡(錦城曲)」은 모두 12수인데 고려 시기의 사적과 나주의 풍물 경관 특산 등에 대해서 읊은 기속시(紀俗詩)이다.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1487년(성종 18) 전라도 관찰사 시절 순행차 나주에 왔다. 이무렵 지은 것으로 보고 있다. 김종직의 연작 기속시는 후삼국 분열기의 왕건의 사적으로부터 시작을 한다. “염백의 누선이 변한 지방을 지나가니 환호성이 이미 금성산을 진동하였네[鹽白樓舡過卞韓 歡聲已振錦城山]”라 하였는데, 염백의 누선은 왕건 휘하 수군의 위용을 말한다. 당시에 전후 상황을 파악한 금성 고을 사람들은 왕건 부대를 환대하였는데, 그 환호성이 금성산을 뒤흔든다고 하였다.  이어 “교활..

카테고리 없음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