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 24

향토학통신 - 장흥 한들문화 호남한국학 열린강좌(답사) -제와장 공방, 방촌 장승제, 호계 별신제-, 2024.0.30/2024.10.07

향토학통신 장흥 한들문화 호남한국학 열린강좌 7•8(답사) -제와장 공방, 수문 당집, 방촌 장승제, 호계 별신제 외-, 일시 : 2024.09.30(월) 10:00~17:00 2024.10.07(월) 10:00~17:00 장소 : 09.30 -- 제와장, 수문 당집, 남포 소등섬, 방촌 별신제(장승제), 운주리 당산나무 10.07 -- 탐진강 고줄전시관, 행원마을(고줄 제작지), 호계리 별신제(마을문화관, 동백정), 청룡리 당산제 당산나무 주관 : (사)한들문화(이사장 김상찬) 주최 후원 : 한국학호남진흥원

향토학통신 2024.09.28

인지의 즐거움364 - 예로부터 나한도량으로 유명한 화방사의 나한상 일괄, 국가유산 지정

인지의 즐거움364 예로부터 나한도량으로 유명한 화방사의 나한상 일괄, 국가유산 지정  김희태 강진 화방사 나한상 일괄(康津 華芳寺 羅漢像一括)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2023.08.31.)되었다. 조선후기 17세 후반에 조성한 존상으로 미술사적, 조형적 가치가 매우 크며, 조선 후기 조각사 연구를 살필 수 있는 자료로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모두 17구이다. 현황과 특징을 살펴본다. 화방사는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금천로 328-103(화산리 544)에 소재하며 대한불교조계종 해남 대흥사 소속이다. 화방사 경내 입구에 있는 「천불산 화엄사 사적비에 따르면, 1211년(고려 희종 7)에 원묘국 사가 백련사(白蓮社)를 중수할 때 주변 여러 산에 산재하였던 암자 가운데 하나로 화방암을 들고 ..

인지의 즐거움 2024.09.26

인지의 즐거움363 - 보성 선비들의 시회, 오봉산 용추동 암각문

인지의 즐거움363 보성 선비들의 시회, 오봉산 용추동 암각문 김희태 보성 오봉산 용추동 석벽에 새겨진 암각문을 들러 볼 기회(2024.04.17.)가 있었다. 용추폭포 동쪽으로 바로 곁에 서향의 석벽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보성군 득량면 해평리 산143번지 일원이다. 암각문1은 1924년, 암각문2는 1935년의 연기가 새겨져 있어 1924년~1935년 사이 보성 선비들의 유산 풍류 시회 현장 금석문 자료이다. 석벽면의 형태를 따라 두 군데 새겨져 있다.  1924년 봄, 용추동의 보성 선비 16인 암각문1에는 윗단에 초서체로 ‘용추(龍湫)’와 갑자모춘(甲子暮春)의 연기, 아랫단에는 안규용(安圭容)선생(이하 인명 경칭 생략) 등 16명의 인명이 오른쪽에서 왼쪽을 순서로 새겨져 있다. 끝의 3인은 한 ..

인지의 즐거움 2024.09.26

새국가유산(자연유산) - 여수 영취산 흥국사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4.09.09

새국가유산(자연유산) 여수 영취산 흥국사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4.09.09 여수 영취산 흥국사 일원은 영취산의 기암괴석과 진달래 군락지가 어우러져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도 벚나무 군락지와 남해안 다도해 해상 풍경 및 여수반도 전체가 조망 되어 높은 생태적 경관적, 가치를 지님. 영취산 기슭에 위치한 흥국사(興國寺)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흥국의 염원을 담고 있는 호국불교의 상징적 장소로 보물 「여수 흥국사 대웅전」, 「여수 흥국사 홍교」 등 다수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취산의 지형경관과 어우러져 자연식생군락이 잘 보존되어 있어 높은 역사문화적 가치와 학술적 가치를 갖춘 곳임. ※ 근거기준 「자연유산법 시행령」 별표2 -명승 지정기준 제1호 가목1) 종교, 사상, 전설, ..

새국가유산 2024.09.11

인지의 즐거움362 - 정수사 사적기 1983년 확인, 한글자 한글자 베껴쓰다-청광 양광식 선생과 〈정수사 여지승람〉, 대웅전 지정 고증자료

인지의 즐거움362 정수사 사적기 1983년 확인, 한글자 한글자 베껴쓰다 -청광 양광식 선생과 〈정수사 여지승람〉, 대웅전 지정 고증자료 활용- 김희태 정수사의 사적 기록인 〈정수사 여지승람〉에는 26개소의 전각과 24개소의 산내 암자가 기록되어 있다. 조선후기 정수사의 사세를 알 수 있다. ‘호남좌도 금릉현 천태산 정수사 여지승람(湖南左道金陵縣天台山淨水寺輿地勝覽)’(이하 으로 표기)이라는 제목의 정수사 사적기록이 세간에 알려진 계기가 있다. 청광 양광식 선생께서 전남의 전적(典籍) 조사차 해남 군청 담당자와 함께 해남 대흥사 입구 백화사(白化寺)를 방문하였다. 1983년 9월 5일이다. 백화사 주인이 조사 요청을 하여 간 것인데도 건강을 이유로 다음에 오라 하였지만, 방문 앞 마루에 걸터 앉아 주인과..

인지의 즐거움 2024.09.09

인지의 즐거움361 -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 - 면앙정의 현판과 1798년의 어고(御考) 시권(試卷)

인지의 즐거움361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 - 면앙정의 현판과 1798년의 어고(御考) 시권(試卷) 김희태 불볕 더위, 면앙정에 오른다. 맺힌 땀방울. 솔바람 시원타. 2024년 8월 3일.  세칸 면앙정 둘러본다. 현판이 즐비하다. 그 가운데 동쪽 편에 있는 현판. ‘어제(御製)’란 큰 글씨 다음으로 문장이 보인다. 네 번째 줄에 ‘시 하여면앙정(詩 荷輿俛仰亭)’이라 제하고 설명이 있다. 이를 간추려 본다. 『광주목지』와 『면앙집』에도 실려 있다.  “송순의 호는 기촌(企村)이다. 스무살에 과거시험에 급제했으니 그 문장력은 당대에 으뜸이요 표준이었다. 네 분 임금을 섬기고 관직에서 물러나서 고향의 언덕에 정자를 마련하여 명칭을 면앙정이라 하였으니 대체적으로 면앙(俛仰)이라는 뜻은 우주를 두루 살펴본..

인지의 즐거움 2024.09.09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화순 용암사 목조보살좌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화순 용암사 목조보살좌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화순 용암사 목조보살좌상(和順 聳巖寺 木造菩薩坐像)○ 소 재 지 : 전남 화순군 한천면 용암길 149, 용암사○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1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용암사○ 지정 예고 사유- 조선후기 대표 조각승인 색난파 작품으로 조각기법과 예술성이 뛰어남.- 조선후기 불상 조성 흐름과 특징을 알 수 있어 불교사 및 조각사적 가치 큼.

새국가유산 2024.09.0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海南 南川橋 및 漁城橋 重修碑와 聽流亭 標石)○ 소 재 지 : 전남 해남군 해남읍 군청길 4○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중수비 2기, 표석 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 해남군○ 지정 예고 사유-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 과정과 연혁을 알 수 있어 지역사 자료로서 가치가 큼. - 18세기 교량과 역사지명을 알 수 있어 기록유산으로서 매우 중요함. 남천교 중수비 청류정 표석

새국가유산 2024.09.0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海南 방죽샘과 重修碑)○ 소 재 지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688○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우물 1기, 비석 5기○ 시 대 : 조선시대(후기)○ 소유자/관리자 : 해남군○ 지정 예고 사유- 조선후기부터 근현대 이르기까지 사용되어 온 중요한 생활 유적.- 우물의 중수연대와 참여자를 알 수 있어 지역사와 우물 연구에 중요한 자료.

새국가유산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