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74

새국가유산 -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5.01.02

새국가유산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5.01.02- 동백나무 숲의 수려한 경관과 백련사, 정약용이 머물던 다산초당의 역사적 의미가 어우러진 명승  아름답고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이 국가지정자연유산 명승으로 지정 예고되었다.  「강진 만덕산 백련사와 다산초당 일원」은 백련사 초입에 위치한 만경루에서 내다보는 강진만과 가우도의 고요한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경승지로, 자연적인 차나무 자생지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백나무 숲의 붉은 동백꽃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또한, 만덕산 일대에는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역사성을 가진 옛 사찰인 백련사와 다산 정약용이 머물렀던 다산초당이 위치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과 백련사 아암 혜..

새국가유산 2025.01.02

새국가유산 - 통일신라의 탁월한 조형미 간직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승격 지정 예고, 2024.12.30

새국가유산 통일신라의 탁월한 조형미 간직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승격 지정 예고, 2024.12.30-전통 목조건축의 처마곡선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옥개석… 당대 최고 석공 시공 추정-  곡성 태안사(泰安寺)에 위치한 보물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되었다. * 태안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구례 화엄사의 말사(末寺, 본사에서 갈라져 나온 절)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742~765)때 신승(神僧)이 대안사(大安寺)라는 사명(寺名)으로 창건, 조선시대 이후 태안사(泰安寺)로 사용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은 통일신라의 동리산문(桐裏山門)을 세운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785~861)의 부도(浮圖, 승탑)이다. * ..

새국가유산 2025.01.02

인지의 즐거움378 - 충효 실천의 사적지, 양건당 황대중 정려 유적-충효의 양건이여 백세토록 높고도 높으리 / 忠孝兩蹇 百世高仰-

인지의 즐거움378 충효 실천의 사적지, 양건당 황대중 정려 유적-충효의 양건이여 백세토록 높고도 높으리 / 忠孝兩蹇 百世高仰- 김희태 강진 황대중 정려유적(康津 黃大中 旌閭遺蹟)이 2024년 8월 1일 전라남도 기념물[제231호]로 지정되었다. 강진군 작천면 용상리 514-1번지 일원에 있다. 문화유산 지정 가치와 황대중의 행적을 소개한다. 황대중 정려유적은 의병장 황대중(1551~1597)의 충효를 기리기 위하여 1795년(정조 19)에 국가 명정(命旌)으로 건립된 충효정려, 임진왜란 당대에 조성한 의마총 구역, 묘소에 세웠던 묘갈명비(1900년 건립) 등 일괄 유적이다. 정려와, 의마총구역, 묘갈명비 등 일괄 유적 ‘사적지(史蹟地)’인데 ‘정려’를 중심으로 하여 ‘정려유적’으로 국가유산 명칭을 부여..

인지의 즐거움 2024.12.27

인지의 즐거움377 - 작은 뜰 단풍 잎에 비 내리고, 백련사를 찾은 이들이 남긴 시문

인지의 즐거움377 작은 뜰 단풍 잎에 비 내리고, 백련사를 찾은 이들이 남긴 시문 김희태 백련사 경치도 좋고, 만덕산 맑기도 하여라, 혜일·성임·김뉴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강진현 불우조 백련사(白蓮社)항에 혜일(慧日), 성임(成任, 1421~1484), 김뉴(金紐, 1436~1490)의 시가 실려 있다. 모두 4수로, 혜일의 시가 2수, 전인(前人)으로 표기된 시 1수, 그리고 성임과 김뉴의 시이다.  혜일이 두 번째 백련사를 들렀을 때의 시를 보면, 어느 해 가을 지금쯤인 듯 싶다. ‘작은 뜰에는 단풍 잎에 비 내리고[小庭紅葉雨]’라 읊었다.  머물고 떠나감이 다만 인연에 달렸으니 去住但隨緣(거주단수연)도 한 해를 이럭저럭 보내고 騰騰又一年(등등우일년)작은 뜰에는 단풍 잎에 비 내리고 小..

인지의 즐거움 2024.12.27

인지의 즐거움376 - 전통시대 통신체계, 제5로 직봉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인지의 즐거움376 전통시대 통신체계, 제5로 직봉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김희태  조선 후기 군사 통신시설인 봉수유적이 연속유산 형태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은 순천(여수) 방답진 돌산도~한양 목멱산(남산) 간 제5로 직봉 61개소 가운데 들어 있고, 사적 지정은 전남 10개소를 포함해 16개소이다. 직봉(直烽)은 조선 후기 변방과 한양을 연결하는 5개의 간선로 상에 위치한 봉수를 말한다.  장흥 전일산봉수는 여수[순천] 방답진 돌산도봉수(突山島烽燧)에서 초기(初起)하는 제5로 직봉노선의 일곱 번째이자, 장흥 억불산봉수(億佛山烽燧)와 보성 진흥산봉수(眞興山烽燧) 에 응하였던 제5로 간봉노선의 초기 연변봉수이다. ‘제5로 직봉 -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으로..

향토학통신 2024.12.26

인지의 즐거움375 - 1690년대의 강진 한천동과 영모당-『지암일기』를 통해 본 보물 영모당-

인지의 즐거움375 - 1690년대의 강진 한천동과 영모당 -『지암일기』를 통해 본 보물 영모당- 김희태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永慕堂)은 1990년 2월 24일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가, 2022년 11월 25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영모당은 해남윤씨의 중시조인 8세 윤광전(尹光琠)선생과 9세 윤단봉(尹丹鳳), 윤단학(尹丹鶴) 형제 등 세 분의 제향을 하는 재실로 1687년에 건립되었다. 1737년에 중건되었고, 1813년에 크게 수리되었다.영모당은 전체가 마루방으로 되어 있는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강당(講堂)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재실(齋室) 건축 형식의 하나인 ‘강당형’의 모범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문화재)은 지금 남아..

인지의 즐거움 2024.12.26

향토학통신 : 신간 - 향토문화 제43집 발간, 향토문화개발협의회, 2024

향토학통신 : 신간 - 향토문화 제43집 발간, 향토문화개발협의회, 2024 1. 향토문화원형IP 킬러콘텐츠 제작 / 김연수 2. 호남 고인돌 출토유물과 부장풍습 / 이영문·강진표·최성훈 3. 일제강점기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현지 조사와 이전사 / 황호균 4. 면앙정 송순의 관직과 회방연에 대한 일고찰 / 노성태 5. 장흥 반계사 소장 필사본 『진법(陣法)』 해제 / 김희태·김병륜 6. 반곡 정경달선생 관련 조사 연구 현황 / 김희태 7. 통제사영(統制使營)과 진경문(陳景文)의 통제진(統制陣) 검토 / 이수경 8. 화순 국조전(和順 國祖殿) 조사보고 / 심홍섭·성대철·김희태 9. 영암 해주최씨 송남가 자료 소개와 주요 특징 / 조광현

향토학통신 2024.12.25

향토학통신 : 신간 - 동학농민혁명연구 제3호,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발행, 2024.

향토학통신 : 신간 -  동학농민혁명연구 제3호,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발행, 2024. 특집논문 장경호 |미국의 동학농민혁명 및 청일전쟁 관찰- 뉴욕 언론지의 동학농민혁명·청일전쟁 보도를 중심으로 -유바다 | 독일제국 외교관의 동학농민군에 대한 인식김태웅 | 조선주재 프랑스 외교관·선교사의 동학농민혁명·청일전쟁 인식과 대응한동훈 | 청일전쟁 전후 러시아의 조선 정세 인식과 삼국간섭 - 동학농민운동 인식을 중심으로 - 권의석 | 영국의 동학농민혁명 인식과 영일관계의 변화 일반논문녹두팀·박정민 | 데이터로 본 동학농민혁명 연구 동향-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史料) 아카이브 수록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엄찬호 | 『동경대전』 간행터의 기념시설 활용 및 활성화 방안남경국 | 헌법적 관점에서 본 1894년 ..

향토학통신 2024.12.25

향토학통신 : 신간 - 유족 증언을 통해 본 동학농민군의 삶, 동학농민혁명연구소 학술총서1

향토학통신 : 신간 -  유족 증언을 통해 본 동학농민군의 삶, 동학농민혁명연구소 학술총서1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발행, 2024.12. 유족 증언으로 본 전라도 정읍·고부·태인지역 동학농민군의 삶/이병규유족 증언과 자료로 본 전라도 장흥·강진지역 동학농민군의 순국/김희태충청도 내포 지역 동학농민혁명 진압과 농민군의 최후/조재곤유족 증언으로 본 충북지역 동학농민군의 삶/신영우유족 증언으로 본 강원·경기·경상도 출신 동학농민군의 활동/신진희

향토학통신 2024.12.25

새국가유산 - 순천 환선정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새국가유산 순천 환선정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11.28. □ 유산명 : 순천 환선정 현판(順天 喚仙亭 懸板)-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소 재 지 : 순천시 연향동 667-2(환선정)- 구조/형태 : 2점·1613년 현판(배대유) : 가로 130cm × 세로 55cm ·1886년 현판(이범진) : 가로 340cm × 세로 120cm- 시 대 : 조선시대(배대유 현판 1613년, 이범진 현판1886년)- 소 유 자 : (사)환선정- 관 리 자 : (사)환선정- 지정 예고 사유· 환선정은 조선시대(1543) 순천도호부사 심통원 휴식과 정무의 공간으로 지은 것으로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13년 중건 시 배대유, 1886년 순천 부사 이범진이 현판을 씀.· 각 편액은 각 ..

새국가유산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