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문화재 289

새문화재 -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 승격 지정, 2024.05.27.

새문화재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 승격 지정, 2024.05.27.-조선 후기 영산회상도의 다양성과 팔상도의 새로운 전형 제시… 구성, 표현 등 예술적 가치도 탁월- 조선 후기 팔상도를 대표하는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가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승격 지정되었다. 이번 국보 지정은 지난 5월 17일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 출범 이래 첫 사례이다.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8개의 주제로 표현한 불화로, 팔상의 개념은 불교문화권에서 공유되었지만 이를 구성하는 각 주제와 도상, 표현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

새문화재 2024.06.09

새문화재 - 도은선생집, 보물 승격 지정예고, 2024.05.10

새문화재 도은선생집, 보물 승격 지정예고, 2024.05.10 전남대학교도서관 소장 「도은선생집(陶隱先生集)」은 고려 말의 학자인 도은 이숭인(陶隱 李崇仁, 1347~1392)의 시문집이다. 이 책은 처음 1406년(태종 6)경 태종의 명령으로 변계량(卞季良)이 시집(詩集) 3권 및 문집(文集) 2권으로 엮고 권근(權近)이 서문(序文)을 지어 금속활자로 간행하였는데, 지정 예고 본은 그 후 다시 목판으로 판각해 인출한 것으로, 11행 19자 형식이다.  * 서문: 책을 소개하는 글로 대개 책의 앞부분에 실림.  지정 예고 본은 이미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다른 목판본 도은선생집과 달리 권근(權近)을 포함한 주탁(周倬)·정도전(鄭道傳)의 서문과 이색(李穡)·장부(張溥)·고손지(高巽志)의 발문(跋文)을 온전히..

새문화재 2024.05.12

새문화재 -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보물 승격 지정 예고, 2024.05.10.

새문화재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보물 승격 지정 예고, 2024.05.10.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務安 牧牛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은 본존불 바닥면에 있는 조성 관련 묵서를 통해 1614년(광해군 6)이라는 제작 연대, 수조각승 각심(覺心) 등의 제작자, 아미타여래·관음보살·대세지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여래삼존으로 조성되었다는 사실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으로, 17세기 조각사 분야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   본존불의 규모가 186cm에 이르는 대형 불상으로, 왜란 이후 새로운 불교 중흥의 의미를 담아 기백 넘치는 조형성을 담고 있다. 더불어 17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불상 중 아미타여래삼존상으로는 보기 드문 예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인 의의를 갖추고 있다. 또한, 조각승 유파가 ..

새문화재 2024.05.12

새문화재 -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2024.04.11.

새문화재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2024.04.11.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이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되었다. 근대역사문화공간은 근대 시기에 형성된 거리, 마을, 경관 등 역사문화자원이 집적된 지역을 말한다.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은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에 소재한 우리나라 근현대시기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1885년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 사건 이후 각 시기별 항만시설, 군사시설, 수산업관련 시설 등 역사적 흔적이 남아 있다. 등록 예고된 구역(26,610㎡) 내에는 광복 이후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었던 모습을 볼 수 있는 ‘여수 거문도 구 삼산면 의사당’과 19세기 말 이후 동아시아 지역의 근대산업유산으로서 상하이와 거문도를 연결하는 ‘여수..

새문화재 2024.04.22

새문화재 - 나주 보덕공 박이관비 및 석물 일괄 등 3건,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2024.01.17.

새문화재 나주 보덕공 박이관비 및 석물 일괄 등 3건,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2024.01.17. 나주 보덕공 박이관비 및 석물 일괄 소재지 : 나주시 남평읍 광촌리 산1 지벙별 :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62호 시 대 : 조선시대(1799년) 지정일 : 2024.01.17. 박이관(朴以寬)은 본관은 함양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시강원 보덕, 사헌부 장령, 담양부사, 홍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임. 1700년에 세운 비로 거북좌대와 생동감 있는 쌍용문과 화문 비머리 등 양식적으로 특징이 있음. 비문은 당대 문신 학자 도암 이재가 짓고 제액 글씨는 유척기, 비문 글씨는 민우수가 써서 건립연대와 찬서자를 알 수 있으며 당대 서예가의 글씨로서 예술성도 지니고 있음. 충주박씨 삼강문 소재지 : 나주시 동강면 진천..

새문화재 2024.04.10

새문화재 - 신안 만재도 주상절리,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 2024.04.09.

새문화재 신안 만재도 주상절리,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 2024.04.09. 「신안 만재도 주상절리(新安 晩才島 柱狀節理, Columnar Joint in Manjeado Island, Sinan)」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되었다. 주상절리는 뜨거운 용암이나 화산쇄설물의 급격한 냉각에 따른 수축으로 형성되며, 현재 「무등산 주상절리대」,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등 5곳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만재도는 섬 전체가 중생대 백악기 화산활동에 의한 용결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쪽지역 장바위산 주변의 공유수면을 포함한 18만 1,729㎡가 이번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되었다. 이 곳의 주상절리는 응회암이 퇴적될 당시 온도를 알려주는..

새문화재 2024.04.10

새문화재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삼세불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07

새문화재 구례 화엄사 각황전 삼세불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07 - 문화재명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삼세불도(求禮 華嚴寺 覺皇殿 三世佛圖) - 소 재 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 수 량 : 1건 3폭 - 규 격 : 석가모니불도 675×394.5㎝, 아미타불도 670×400㎝, 약사불도 662×400㎝ - 연 대 : 1860년 -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 지정 예고 사유 ‧ 화승 해운당 익찬 일원이 1860년에 제작한 작품으로 19세기 호남 지역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줌 ‧ 조선후기 왕실발원 불교미술의 제작양상을 살펴볼 수 있어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음 * 전라남도, 구례군 보도자료 구례 화엄사 각황전 삼세불도-석가모니불도(사진 성보문화..

새문화재 2024.03.24

새문화재 - 구례 화엄사 구층암 동종,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24.

새문화재 구례 화엄사 구층암 동종,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24. - 문화재명 : 구례 화엄사 구층암 동종(求禮 華嚴寺 九層庵 銅鍾) - 소 재 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 수 량 : 1기 - 규 격 : 전체높이 69.2㎝ 지름 45.5㎝ - 재 료 : 청동 - 연 대 : 1728년 -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 지정 예고 사유 ‧ 1728년 조성연대가 확실하며 당시 대표 주종장인 김성원이 단독 제작한 작품 ‧ 기록을 통해 제작연대, 제작자, 봉안지역과 사찰, 발원자 등을 정확히 알 수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큼 * 전라남도, 구례군 보도자료

새문화재 2024.03.24

새문화재 - 구례 화엄사 대웅전 동종,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07

새문화재 구례 화엄사 대웅전 동종,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07 - 문화재명 : 구례 화엄사 대웅전 동종(求禮 華嚴寺 大雄殿 銅鍾) - 소 재 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 수 량 : 1기 - 규 격 : 전체 높이 92.7㎝ 지름 64.7㎝ - 재 료 : 청동 - 연 대 : 1722년 -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 지정 예고 사유 ‧ 1722년(경종 2) 조성연대가 확실하며 주종장[都片手 金孝建, 副片手 朴白龍] 및 시주자 등을 알 수 있음 ‧ 조선후기 동종 양식과 주종장을 연구하는데 예술적·학술적 가치가 높음 * 전라남도, 구례군 보도자료

새문화재 2024.03.24

새문화재 - 나주 임서 신도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07

새문화재 나주 임서 신도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2024.03.07 -문화재명 : 나주 임서 신도비(羅州 林㥠 神道碑) - 소 재 지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가운리 159-4번지 - 수 량 : 1기 - 규 격 : 전체 높이 342㎝, 비신 너비 86㎝, 비신 두께 47.5㎝ - 재 료 : 석조(화강암) - 연 대 : 1859 - 소유자/관리자 : 나주임씨정자공파 석촌공 종회 - 지정 예고 사유 ‧ 조선 후기 지방 사족의 존재 양상과 활동, 비 건립 과정이 상세히 기록 ‧ 전라남도의 조선후기 유교문화유산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큼 *임서(林㥠, 1570~1625)의 신도비, 청음 김상헌(淸陰 金尙憲 1570~1652) 지음. 이경재(李景在, 1800~1873) 글씨. 임영수(林永洙, 179..

새문화재 2024.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