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 22

향토학통신 - 화순 운주사 석불석탑군의 세계유산적 가치 규명을 위한 학술대회, 2024.05.31., 화순

향토학통신  화순 운주사 석불석탑군의 세계유산적 가치 규명을 위한 학술대회, 2024.05.31., 화순 일시 : 2024.05.31. 금요일 09:30장소 : 화순문화원 2층(화순읍 대교로 7/교리 186-1)  제1부 9:30 개회식 제2부 09:40~10:40 사회|최선주(前국립경주박물관장) 09:40 최근 세계유산 등재 사례 및 운주사 유산성격 분석 / 허권(前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10:00 운주사 석불석탑군 불교사상 / 이계표(전라남도 문화유산위원)10:20 운주사 석탑 특징과 가치 / 오호석(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학예연구사) 제3부 10:50~11:50 사회|최선주(前국립경주박물관장) 10:50 운주사 석불석탑군의 세계유산 가치 / 이경화(국가유산청 문화유산감정위원)11:10..

향토학통신 2024.05.27

향토학통신 - 유물로 만나는 나주 – 나주학 유물 기증기탁식, 공개 강좌, 2024.05.29., 나주

향토학통신 유물로 만나는 나주 – 나주학 유물 기증기탁식, 공개 강좌, 2024.05.29., 나주 일시 : 2024.05.31. 수요일 15:00~17:00장소 : 나주시청 대회의실 1부 나주학 유물 기증 기탁식 2부 유물 공개 강좌-강좌1 - 금촌 나학경의 과거시험답안지(試券) / 나천수(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장)-강좌2 - 양산숙의 추증교지와 양만용의 오재집(梧齋集) / 김희태(전 전라남도 문화재전문위원)-강좌3 - 남파고택 나주 근현대 기탁유물의 현황과 가치 / 김덕진(광주교육대 교수) ▶기증 · 기탁자에게 듣는다-이수자·양승주·정우택·박경중·홍기축·이재희·김덕진·김성주

향토학통신 2024.05.27

향토학통신 - 곡성군 문화유산 알아보기 강좌, 2024.05.28./06.25., 곡성

향토학통신 곡성군 문화유산 알아보기 강좌 1.새로운 제도와 곡성의 유산 2.역사 현장과 문화유산을 통한 서사(敍事) 일시 : 2024.05.28. 화요일 18:30~20:30(1회차) *2024.06.25. 화 18:30(2회차) 장소 : 꿈키움마루[곡성읍 곡성로903] 강사 : 김희태 *교재 1,2 내용을 섞어서 설명함. *지역사회연구자 교육[제4기/마을배우기2] *곡성지역사회연구회/곡성군 미래교육재단 교재1 차례 1. 문화재-국가유산, 제도의 전환 1) 문화유산 2) 자연유산 3) 무형유산 4) 근현대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2. 곡성의 지정‧등록 유산 1) 지정‧등록 현황 2) 유형별 현황 3) 특징과 가치 ■ 관음사 원통전은 국보였는가? ■ 문화재 명칭 부여 기준 교재2 차례 1.유형문화유산 보물[..

향토학통신 2024.05.27

향토학통신 - 광주의 문화유산과 돌봄 강좌-2024년 문화유산 아카데미-, 2024.05.27. 월, 서구문화원

향토학통신 광주의 문화유산과 돌봄 강좌-2024년 문화유산 아카데미-, 2024.05.27. 월, 서구문화원 일시 : 2024.05.27 월요일 15:00 장소 : 광주 서구문화원(빛고을 국악전수관 2층, 풍금로182(금호동)) 강사 : 김희태 강의내용(교재) 1. 문화재-국가유산, 제도의 전환 □문화재보호법(1962.01.10.~2024.05.16.) □국가유산기본법(2024.05.17.~ ) 1) 문화유산 2) 자연유산 3) 무형유산 4) 근현대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2024.09.15.~ ) 2. 광주의 지정‧등록 유산 1) 동구의 지정‧등록유산 2) 서구의 지정‧등록유산 3) 남구의 지정‧등록유산 4) 북구의 지정‧등록유산 5) 광산구의 지정‧등록유산 3.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돌봄 □돌봄사업의 ..

향토학통신 2024.05.27

향토학통신 - 탁월한 보편, 진도의 관마청과 신청으로부터-진도학회 학술포럼-, 2024.05.28

향토학통신  진도학회 학술포럼-탁월한 보편, 진도의 관마청과 신청으로부터-, 2024.05.28일시: 2024.05.28(화) 16:00~18:00장소: 진도무형문화재전수관주최: 진도군주관: 진도학회16:00 진도신청 연구- 윤종호(나주시립국악단 감독)16:30 진도목장 유산의 흔적과 역사- 변남주(전 국민대 교수)17:00 19~20세기 진도지역 예술네트워크의 다양성과 신청 걸궁의 향방 - 송기태(목포대 교수)17:30 탁월한 보편, 진도에서 처음 시작한 것들 - 이윤선(진도학회 회장)종합토론좌장: 박주언(전 진도문화원장)토론: 김오현(전 진도군립예술단 감독), 설진석(진도문화원 이사), 이도정(전북대 교수) 외 한국 전통문화의 정수를 보려거든 눈을 들어 진도를 보라! 2013년 한국에서 최초로 민속문..

향토학통신 2024.05.27

향토학통신 ; 신간 - 문헌 속 고흥 송광암

향토학통신 ; 신간 - 문헌 속 고흥 송광암 *문헌 속 고흥 송광암, 최선일·고경 편, 도해 역, 도서출판 온샘, 2024.05 국적으로 천여 곳에 이르는 전통사찰 가운데 개별 사찰 문헌집이 간행된 사찰은 30여 곳에 불과하다. 이는 현실적으로 개별 사찰에서 문헌집을 출판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외세의 침입과 한국전쟁으로 사찰은 많은 피해를 입었다. 피해 회복은 전각・불상・불화 등 성보물 조성이 먼저였고, 문헌기록을 일일이 챙길 여력은 없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사찰 문헌은 역사를 밝히는 흔적이라 그 발자취를 찾아가지 않으면 후세인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물려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고흥 송광암은 보조국사의 창건이라서 송광사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운인 암자이다. 국가에서도 국사에 대한 예..

향토학통신 2024.05.24

인지의 즐거움353 -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대전화상주심경>과 남은 현봉 대종사님의 <선에서 본 반야심경>

인지의 즐거움353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과 남은 현봉 대종사님의 김희태 조계총림 송광사 방장이셨던 남은 현봉 대종사님의 서문을 읽는다. 최근 출판된 개정판 11쇄이다. 문득 눈길이 가는 대목이 있다. 전에도 읽었던 것 같은데 유난히 새롭다. 길지만 옮겨 본다. “몇 년 전 봄에 장흥長興의 탐진강耽津江 가에 있는 용호정龍湖亭에서 팔순이 넘은 어느 노유老儒를 만나, 처음으로 이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注心經)』을 얻어 보게 되었다. 그 분이 말하기를 "6·25전란이 끝난 이듬해 어느 행상이 찾아 와서 몇 권의 묵은 책을 내놓으며 '전화戰禍로 폐허가 되어버린 보림사寶林寺 부서진 불상에서 나온 책인데 사랑방의 벽지壁紙나 될까 하여 팔러 다닌다'고 하기에 아까운 생각이 들어 쌀 한 되를 주고 이 책을 구해 두었..

인지의 즐거움 2024.05.23

향토학통신 - 광양만해전에서 펼쳐진 임진왜란의 재조명 학술심포지엄, 2024.05.23., 광양

향토학통신 광양만해전에서 펼쳐진 임진왜란의 재조명, 2024.05.23., 광양-제36회 향토문화연구 심포지엄- 일시 : 2024.05.23. 목요일 10:00장소 : 여수광양항만공사 국제회의장(광양 항만대로 465/ 황길동 1390) 주최 : 전남문화원연합회주관 : 광양문화원후원 : 전라남도·광양시 10:00 개회식10:10~12:30 주제발표 및 종합토론 – 사회 백숙아(광양학연구소장)•기조발제 : 광양만해전에서 펼쳐진 임진왜란 재조명- 좌장 : 최인선/ 순천대 사학과 교수•제1주제 : 정유재란과 왜교성 전투 - 송은일(전남대학교 이순신해양문화연구소 연구실장)•제2주제 : 임진왜란기 광양지역의 동향과 군사 활동 - 신윤호(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연구위원)•제3주제 : 임진왜란과 광양지역의 의병 활동 ..

향토학통신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