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인지의 즐거움091 - 문화유산 원형 찾기2 -장성 필암서원 창건 옛터

향토학인 2017. 2. 21. 11:06

인지의 즐거움091

 

문화유산 원형 찾기2

-장성 필암서원 창건 옛터-

 

김희태

 

문화유산은 원형유지를 기본으로 한다. 그 원형은 여러 가지 면에서 볼 수 있다. 보통 석조유물이나 목조건물의 조성이나 제작 당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시일이 지나면서 변해가기 마련이다. 또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원형을 논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원형 찾기의 한 사례로 위치를 들 수 있다. 형태의 원형도 중요하지만, 장소의 원형도 소홀히 다룰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장성 필암서원 창건 옛터를 찾아본 사례를 예시해 본다.

 

장성 필암서원은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조선시대 長城府 邑西面 外岐山]에 창건되었다. 처음 건립한 위치는 현재의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이다. 기산리기산(岐山)’ 지명에 대해서는 몇 가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기산(岐山) - 기산이라는 산명과 기산리 일대라는 마을이름을 통칭하거나 따로 부르는 지명

 

내기산(內岐山), 외기산(外岐山) - 1789년 기록(<戶口總數>(규장각 소장))에 나오는 장성 읍서면(邑西面) 마을 행정지명

   *1789<호구총수> 장성 읍서면(邑西面)(16)

    교촌(校村) 신기(新基) 구암(九巖) 가마(加馬) 장안(長安) 봉암(鳳巖) 내기산(內岐山) 외기산(外岐山) 수림촌(藪林村) 상남당(上南塘) 남당리(南塘里) 중남당(中南塘) 하남당(下南塘) 상비리(上碑里) 하비리(下碑里) 오리정(五里程)

 

내기(內岐), 외기(外岐) 1872<장성부지도>(규장각 소장)에 나오는 읍서면(邑西面) 마을 행정지명


내기리, 외기리 1912년 기록(<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서 나오는 장성군 읍서면 마을 행정지명

   *1912<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장성 읍서면(22)

    鳳巖里, 月峰里, 水山里, 內岐里, 下草里, 上豊里, 中豊里, 外岐里, 上草里, 安坪里, 壯洞里, 三豊里, 簪岩里, 九岩里, 鳳谷里, 龍岩里, 壽山里, 靑龍里, 校村里, 新基里, 中草里, 太山里


기산리 - 현재의 장성읍 기산리. 1914년에 읍서면의 외기리(外岐里)와 내기리(內岐里), 서일면(西一面)의 상사리(上沙里)와 내장산리(內莊山里) 각 일부가 합해져 장성면(1936년 장성읍으로 승격) 기산리가 된 마을 행정지명[法定里](<조선 전부군면리동명칭일람>, 1917))


기산 1현재의 장성읍 기산리[법정리]에 속한 행정리[行政里]. 내기(內岐)마을과 강변(江邊)마을이 속해 있음.

 

기산 2현재의 장성읍 기산리[법정리]에 속한 행정리[행정리]. 외기(外岐)마을과 부동(釜洞)마을이 속해 있음.

 

내기마을 현재의 장성읍 기산리[법정리] 기산 1[행정리]에 속한 마을 행정지명

 

외기마을 현재의 장성읍 기산리[법정리] 기산 2[행정리]에 속한 마을 행정지명

 

기산’()은 산 이름(자연지명)이면서 기산이 있는 마을을 뜻하는 마을이름(행정지명)이다. 이곳 일대에는 조선시대 후기(1789)에 두 개의 마을 지명이 보인다. 읍서면 내기산과 외기산()이며 1872년 지도에는 내기, 외기()로 표기된다. 이 두 마을은 근대기(1912)에 내기리, 외기리()로 표기(1912)되다가, 1914년에 장성면 기산리)로 합해진다. 현재의 기산리(법정리)는 기산1()와 기산2()로 나뉜다.(행정리) 내기마을()은 기산1구에, 외기마을()은 기산 2구에 속한다.

 

필암서원이 처음 창건된 곳은 다음 사료에서 보는 것처럼 기산(岐山)’(, , , ) 또는 기산아래(岐山之下)’(, , )로 기록이 나온다. <필암서원지>()에는 기산하(岐山下)로 표기하면서 장성부 서쪽 십리(府西十里岐山下)’, ‘본원과 거리가 수후되는 곳(距本院數帿地)’이라 표기하고 있다. ‘(帿)’는 과녁을 말하는데 수후(數帿)’임으로 과녁 몇 개 되는 거리정도를 말하는 것 같다.

 

기산은 장소로서의 마을이름을 지칭하는 것 같고, ‘기산아래기산은 자연지명인 산이름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마을이름 기산은 조선후기 이래 내기산외기산으로 두 개의 마을로 나뉘어 있었다. 기산이라는 산을 사이에 두고 지형에 따라 주거지가 형성되면서 내외로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 지형상으로 보거나 전언에 따르면 필암서원 처음 창건지는 외기산마을로 보인다. ‘기산이라는 산의 외곽이라는 의미도 포함할 수 있지만, ‘외기산 마을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 싶다. ‘서당골이나 샘터등의 지명도 전한다고 한다.

 

*필암서원 초창지와 관련 鰲山 南으로 표기된 자료도 있다 오산은 장성의 별호이면 기산과 가까운 곳에 있는 산 이름이기도 하다. ‘오산이 있는 곳이 장성부의 치소가 있던 적도 있어 오산이라는 산의 남쪽또는 장성 소재지의 남쪽이라는 복합적인 의미가 내포된 것으로 보인다.

 

<하서선생전집> 부록 권1 행장(行狀) (1672[현종 13, 崇禎 4壬子] 10, 潘南 朴世采[16311695] )

그 뒤 삼십년인 만력(萬曆) 경인년(1590, 선조 23)에 문인과 제생들이 서원을 기산 아래에 창건하여 선생을 제향했다.(其後三十年爲萬曆庚寅門人諸生創建書院於岐山之下以俎豆先生)

 

<사우상량문> 현종 임자년(현종 13, 1672) 삼월 기정익(奇挺翼, 1627~1690)

필암이란 액호를 내리신지가 이제 겨우 십년이요 기산(岐山)에다 주춧돌을 놓으면서 벌써 세 번을 옮겼도다. 처음에는 화변의 재앙으로 인하였더니 이제는 또 어찌 수해를 근심해야 하는가?(揭筆巖而賜扁今才十載顧岐山之奠礎曾已三遷 初緣灰燼之作 今何水圮之爲患)

 

<하서선생전집> 부록 권4 연보

선조대왕 이십삼년 경인(宣祖大王 二十三年 庚寅)(1590)

서원을 장성 기산에 건립하였다. 문인 변성온(卞成溫, 15401614) 등이 창건하였다.(建書院于長城岐山 門人卞成溫等刱建)

 

<하서선생전집 속편 외록> 2 연보 별본

(선조대왕) 이십삼년 경인(1590)

장성 선비들이 서원을 기산에 건립하였다가 뒤에 해타리로 옮겼다.(長城章甫建書院于岐山後遷海打里) *<하선선생전집 속집> 연보에는 해타리’, ‘海汀里이다.

 

<하선선생전집 속집> 연보

(선조대왕) 이십삼년 경인(1590)

장성의 기산에 서원을 지었다. 문인 변성온 등이 지었는데 뒤에 해정리로 옮겼다.(建書院于長城之岐山(門人卞成溫等刱建後遷海汀里) *<하서선생전집 속편 외록> 2 연보 별본에는 해타리’, ‘海打里이다.

 

<필암서원묘정비> 송병선(宋秉璿, 18361905)

선생이 세상을 떠나신지 삼십일년에 유림들이 기산 아래에 나아가 사우를 창립하여 갱장(羹墻) 강한(江漢)의 사모를 붙였는데 그 뒤 증산(甑山)에 옮겼다.(先生易簀之三十一年門人章甫就岐山刱立祠宇以寓羹墻江漢之思後移于甑山)

* 묘정비의 전면대자(大字)筆巖書院繫牲碑로 봉사(奉事) 송일중(宋日中)의 글씨임. 묘정비문은 송병선이 지었고 윤용구(尹用求, 18531939)의 글씨이다. 전서(‘筆巖書院廟庭碑’)는 김영한(金寗漢)의 글씨이다. 1905(旃蒙 大荒落, 을사) 건립.

 

<필암서원지>(기축, 鄭春源 序) 4 건치사실(建置事實)

선조 23년 경인(1590)(지금부터 351년전) 선생에 세상을 뜬지 31년이 되었는데 호남 선비들이 (장성)부의 서쪽 10리 거리 기산 아래에 사우를 세우고 제향하였다.[본원으로부터 거리가 수후되는 곳이다. 문인 호암 변성온이 기효간의 금강재를 오가며 함께 글을 협의해 변이중과 창건하였다.](宣祖二十三年庚寅[距今三百五十一年] 距先生歿爲三十一年 而湖南章甫 建祠俎豆於府西十里岐山下[距本院數帿地 門人壺巖卞成溫 往來 奇孝諫 錦江齋 共折書邀 邊公以中創建])

 

필암서원을 창건한 원래 장소는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 외기산 마을로 보인다. 그런데 원래 터가 확실하게 전하지 않은 것은 창건 이후 6~7년이라는 짧은 기간을 존속하다가 피해(정유재란, 1597)를 당하고 다른 곳에 옮겨 세운 때문으로 보인다.

 

* 2016.11.17.


하서 김인후선생 행장(부분)(1672, 박세채 찬)

<호구총수>(1789) 장성 읍서면 – '內岐山', '外岐山'

장성부지도(1872) 읍서면 '外岐', '內岐'

오른쪽에 읍동면(邑東面), 오른족 위에 관아가 보인다. 1914년 읍동과 읍서가 합해져 장성면이 된다. 외기 위에 내기, 그 왼쪽에 필암(筆巖, 현 서원자리)이 보인다.


필암서원 위치도(초창, 재창, )와 하서 관련 유적(생가, 난산 통곡대, 묘소, 신도비, 필암)

장성 필암서원 정비 기본계획팀 작성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