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인지의 즐거움309 - 나주 보산정사의 역사와 인물, 자료(연표)

향토학인 2023. 8. 2. 09:58

인지의 즐거움309

 

나주 보산정사의 역사와 인물, 자료(연표)

 

김희태

 

나주 보산정사는 조선 중종 때부터 선조 때까지 보산팔현이 학문을 닦고 후진 양성에 힘쓴 문화공간으로 1575(선조 8)에 세운 것으로 전한다.

 

보산팔현은 죽담 이유근(1523~1606)선생, 야우 장이길(1529~1595), 창주 정상(1533~1609), 한천 유주(1536~1588), 삼주 최희열(1536~1607), 금애 이언상(1536~1579), 남호 유은(1540~1590), 사촌 최사물(1544~1587)이다.

 

보산정사는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영동리 영촌마을에 있다. 보산정사가 건립될 무렵 조선 중기에는 전라도 나주목에 속했다. 면리 편제가 확립되는 시기의 자료에 따르면 수다면(水多面) 영촌이다. 1914년에 수다면, 시랑면, 북포면이 합해져 다시면 영동리가 된다.

 

보산정사는 원래 언제 어떤 형태로 조성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자료가 많지 않다. 그 실마리가 되는 기록이 송치규의 초동팔현행록서(草洞八賢行錄序)보산정사중수기(寶山精舍重修記)이다.

 

한마을의 선현들이 정사를 지어 강습하고 토론하고 후진을 훈도하는 장소로 삼았다는 내용이 있다. 그리고 훌륭한 인물이 무리지어 나와 조정에서 재주를 드날리거나 동산에 숨어 몸을 닦았으니 풍류와 덕업이 한 때에 모범이 되었고 후세에까지도 규범을 남기기에 충분하였다고 하였다.

 

보산팔현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생원 합격이 이유근으로 1546(명종 1)이다. 사마시를 준비할 무렵으로 보면 1540년대부터 강학의 공간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보산팔현 당대로 보면 1540년쯤부터 강학 장소가 되었고 1575년에 정사가 세워져 1609년까지 운영되었다고 하겠다.

 

보산정사를 중심으로 보산팔현의 뜻을 받들어 후학을 위해 학문을 가르치며 향약을 실시하여 마을의 기풍이 날로 좋아져 갔다. 그리고 사우를 세워 팔현에게 제향을 올리는데 1798년의 보산사이다.

 

보산사 예성시 고유문은 나주목사 서하 임육(1795.09~1800.04 재임), 예성 축문은 존재 위백규(1727~1798)가 지었다. 1868(고종 5 무진) 서원훼철령에 따라 헐리게 되었다가 1905(光武 9 을사)에 설단하고 1920년에 조두를 설치하였다.

 

보산정사의 운영과 후대의 계승 등에 대해서는 1601(선조 34) 사동십호 동계(莎洞十皓洞契)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보산팔현 후학들이 십호계를 조직하여 강학을 지속하고 향약을 마련하고 실천하였다.

 

사동십호동계 창계 때 좌목은 정인심(鄭仁諶), 정인근(鄭仁謹), 전여수(田汝需), 오봉종(吳奉宗), 이유회(李惟誨), 배경복(裵景復), 김언곤(金彦鵾), 최희열(崔希說), 이우춘(李遇春), 장이경(張以慶)이다.

 

1603년의 규약문은 41개 조목이다. 이후 동계는 최근까지 지속되고 좌목의 명안은 900여명에 이르면서 면면히 이어져 온다.

 

보산팔현은 1561(명종 16)~1576(선조 9)년 사이 문과에 급제한다. 15년 사이에 한마을 출신 8명이 연달아 문과 급제하는 일은 전국적으로 드물다.

 

<> 나주 보산팔현 생원진사시 합격과 문과 급제 현황[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에서 개인별로 검색하여 정리하였다. 이 웹사이트에 방목의 원본 디지털 이미지가 등재되어 있다.]

인물 재세 본관 사마시 문과 ()
진사 생원 종별 연대 등위
이유근
(李惟謹)
1523~1605 택가(擇可) 죽담(竹潭) 함평(咸平) 1546 명종1 병오 식년   식년시 1561 명종16 신유 을과6
(09/36)
한성([])
장이길
(張以吉)
1529~1595 천응
(天應)
야우
(野憂)
흥덕(興德)   1555 명종10 을묘 식년 별시 1560 명종 15 경신 병과7
(11/18)
나주
(羅州)
정상
(鄭詳)
1533~1609 중신(仲愼) 창주
(滄洲)
나주(羅州)     별시 1574 선조 7 갑술 1[壯元]
(01/15)
미상
(未詳)
유주
(柳澍)
1536~1588 시숙(時叔) 한천
(寒泉)
고흥(高興)   1561 명종 16 신유 식년 식년시 1561 명종 16 신유 병과18
(28/36)
한성
([])
최희열
(崔希說)
1536~1607 경뢰(景賚) 삼주
(三洲)
수원(水原) 1573 선조 6 계유 식년   식년시 1582 선조 15 임오 병과2
(12/35)
나주
(羅州)
이언상
(李彦詳)
1536~1579 경지(景智) 금애
(錦崖)
양성(陽城)     별시 1577 선조 10 정축 을과 4
(05/17)
나주
(羅州)
유은
(柳溵)
1540~1590 원보(源甫) 남호
(南湖)
고흥(高興)   1570 선조3 경오 식년 별시 1576 선조 9 병자 병과15
(18/19)
나주
(羅州)
최사물
(崔四勿)
1544~1587 희구(希具) 사촌
(莎村)
탐진(耽津)     별시 1576 선조 9 병자 병과6
(09/19)
나주
(羅州)

 

 

나주 출신으로 문과 급제자는 72*이 확인되는 것에 비교해 보아도 보산정사의 보산팔현은 8명이 한 지역 출신이라는 점, 비슷한 특정 시기에 급제했다는 점은 인문학적 뿌리가 그만큼 깊다고 할 수 있다.

 

죽담 이유근과 삼주 최희열은 진사시, 야우 장이길과 한천 유주, 남호 유은은 생원시에 합격했다. 문과에는 세분이 식년시, 다섯 분은 별시에 급제하였다. 창주 정상은 장원급제하였으며, 남호 유은과 사촌 최사물은 같은 해 급제한 동방(同榜)이다.

 

보산정사 자료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연표식으로 정리하면서 간략한 해제를 곁들였다.** 자료는 여러 문헌이나 전적류, 시기문, 현판류, 비석류 등을 정리하거나 발췌하여 연도 순으로 정리하였다. 보산 정사나 보산사의 건립이나 중수에 대한 내용, 보산 팔현의 생원진사시 합격과 문과 급제 연도와 등위도 정리하였다. 일부 연대는 전후 자료와 맞추어 보면서 추정을 하였다.

 

이같은 자료의 정리가 더 진전된다면 보산정사의 역사와 인물, 자료에 대한 것은 물론 보산 팔현과 사호 십현, 그리고 그 후학들의 행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 관련 기록이나 자료의 수집정리, 해설, 홍보 등이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종합적으로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보산정사, 보산사, 보산팔현으로 한정하는 것 보다는 향촌사회의 제반 사회 사정과 인근 문화 유산, 인물 등을 연계해야 할 것이다.

 

생원진사시나 문과의 동방들과의 교류관계 등을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보산정사의 강학자료나 보산사의 의례자료를 통한 전통 문화 교육과 체험, 특히 청소년 등 미래세대의 문화공간으로 활용된다면 보산팔현-사호십현을 통해 전승되었던 인문학 활동과 공동체 정신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갈 것이다.

 

 

-이 글을 정리하는데 자상한 지도를 해주신 죽림 이재홍(竹林 李載洪)선생님께 감사드린다. 2022년 여름과 가을이다. 이재홍선생님은 나주 향토사연구에 평생 진력해 오시고 문화유산 보존에도 선도해 오셨다.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으로 지역 사료발굴에도 힘을 기울이셨다. 나주 다시면지 발간, 소요정과 돈목재 보존, 금성일기 국역(밀양 선비의 송애 이지헌의 나주 나들이, 나주문화원) 등 많은 가르침을 주셨다. 2023724일에도 안부 겸 영산동사무소 비석의 이전에 대한 가르침을 여쭈기도 했었는데, 홀연 이별하시었다.(91세, 2023.07.29.) 삼가 명복을 빕니다.

 

-이 글은 <보산록-보산정사와 초동동계> 책자 발간 관련하여 기고한 원고의 맺음말 부분에 보산팔현 문과 현황과 나주 문과 인명을 덧대었다.

 

*조선시대 문과방목을 정리한 자료(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를 검색해 보면 거주지가 나주로 표기된 급제 인물은 모두 76명이다. 나주 67, 남평 8, 금성(錦城) 1[*1735, 영조 11 을묘 식년시에 급제한 文復亨의 거주지가 錦城으로 나온다.(乙卯式年文武科榜目) 1729(영조 5) 나주목이 금성현으로 강등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승정원일기영조 5823일 기유)]이다. 그런데 나주 인물 가운데 최부(崔溥), 김숭조(金崇祖), 나세찬(羅世纘), 이장영(李長榮)2회 기록되어 72명이다.

 

나주 : 최부(崔溥), 김숭조(金崇祖), 나창(羅昶), 나요(羅曜), 정서(鄭犀), 방귀온(房貴溫), 나의신(羅義臣), 김우석(金禹錫), 나세찬(羅世纘), 안여지(安汝止), 나사선(羅士愃), 이만영(李萬榮), 정인관(鄭仁寬), 김경헌(金景憲), 이장영(李長榮), 장이길(張以吉), 이사영(李士英), (李彦讓), 정심(鄭諶), 최사물(崔四勿), 유은(柳溵), (李彦詳), 임길수(林吉秀), 최희열(崔希說), 홍천경(洪千璟), 신광업(辛光業), 임회(林檜), 나위소(羅緯素), 강봉람(姜鳳覽), 나의소(羅宜素), 양만용(梁曼容), 임담(林墰), 이하(李河), 임호(林濩), 유상진(柳尙軫), 이극형(李克亨), 나만영(羅晩榮), 홍대유(洪大猷), 이삼령(李三齡), 박필흥(朴必興), 이하연(李夏演), 문복형(文復亨)(금성), 김상려(金相礪), 이하익(李夏翼), 오달운(吳達運), 문극효(文極孝), 김필룡(金弼龍), 강세홍(姜世弘), 민영유(閔令儒), 민덕기(閔德基), 민철유(閔哲儒), 임인수(林仁洙), 임병묵(林昺默), 박창수(朴昌壽), 양상기(梁相器), 정방현(鄭芳鉉), 기관현(奇觀鉉), 임용상(林瑢相), 이윤구(李允九), 박영훈(朴泳薰), 최병욱(崔秉煜), 이학상(李鶴相), 나경성(羅經成), 오학선(吳鶴善)

 

남평 : 김수준(金壽濬), 이공인(李公仁), 최공망(崔公望), 정흔(鄭昕), 홍종운(洪鍾韻), 임원(任遠), 송상은(宋相殷), 홍봉주(洪鳳周)

 

실제로는 더 많은 급제자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산팔현의 경우에도 이유근, 정상, 유주는 나주 72인에 들어 있지 않다. 거주지가 경()이거나 미상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이처럼 나주 출신이지만 문과방목 자료를 통하여 거주지 표기가 안된 경우도 많을 것이다.[*나주군읍지과거조에는 37명이 올라 있다., 羅州郡邑誌, 光武3(1899), 규장각소장 10781] 확인 가능한 통계로만 보더라도 72명 가운데 8명이 한 지역 출신이라는 점, 비슷한 특정 시기에 급제했다는 점은 보산과 영촌, 초동 등의 인문학적 뿌리가 그만큼 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산정사 자료(연표) - 1546~2016년 사이 470년간의 자료를 연표로 정리하였다. 여기에서는 1600년대 자료 부분까지 인용한다.

 

1546[명종 1 병오] 죽담 이유근(竹潭) 李惟謹, 1523~1605), 식년시 진사 336(66/100) 합격

1555[명종 10 을묘] 야우 장이길(野憂 張以吉, 1529~1595), 식년시 생원 33(33/100) 합격

1560[명종 15 경신] 야우 장이길(野憂 張以吉, 1529~1595), 별시 문과 병과 7(11/18) 급제

1561[명종 16 신유] 한천 유주(寒泉 柳澍, 1536~1588), 식년시 생원 333(63/100)합격

1561[명종 16 신유] 죽담 이유근(竹潭) 李惟謹, 1523~1605), 식년시 문과 을과 6(09/36) 급제

1561[명종 16 신유] 한천 유주(寒泉 柳澍, 1536~1588), 식년시 문과 병과 18(28/36) 급제

1570[선조 3 경오] 남호 유은(南湖 柳溵, 1540~1590), 식년시 생원 341(71/100) 합격

1573[선조 6 계유] 삼주 최희열(三洲 崔希說, 1536~1607), 식년시 진사 15(5/100) 합격

1574[선조 7 갑술] 창주 정상(滄洲 鄭詳, 1533~1609), 별시 문과 1[壯元](01/15) 급제

 

1575[선조 8 을해] 보산정사 건립

1575[선조 8 을해] 팔현 남호 유은(南湖 柳溵) . 편액있음.

1575[선조 8 을해] 팔현 연구시(聯句詩). 신흥마을 뒤 대박산(大朴山)에서 야우 장이길, 죽담 이유근, 한천 유주, 사촌 최사물 사현이 시를 짓고, 대박산의 동쪽 끝자락 언덕에 있던 삼주정(三洲亭)에서 남호 유은, 창주 정상, 금애 이언상, 삼주 최희열 사현이 연구로 시를 지었음.[보산정사 건립 시기로 비정함.]

 

1576[선조 9 병자] 남호 유은(南湖 柳溵, 1540~1590), 별시 문과 병과 15(18/19) 급제

1576[선조 9 병자] 사촌 최사물(莎村 崔四勿, 1544~1587), 별시 문과 병과 6(09/19) 급제

1577[선조 10 정축] 금애 이언상(錦崖 李彦詳, 1536~1579), 별시 문과 을과 4(05/17) 급제

1582[선조 15 임오] 삼주 최희열(三洲 崔希說, 1536~1607), 식년시 문과 병과 2(12/35) 급제

 

1580년대 삼주공(三洲公)과 남호공(南湖公)의 귀로(歸路), 남호 유은(柳溵, 1540~1590) 지음. 편액 있음.[남호 유은이 1576년 문과 급제하고 1590년까지 활동함으로 1580년대로 추정함.]

1601[선조 34년 신축] 2사동 십호 동계 계첩서(莎洞 十皓洞契 契帖序), 십호 계원 흥성인 송정 장이경(興城 松亭 張以慶, 야우 장이길(張以吉)의 아우) 지음. 편액있음.

1601[선조 34년 신축] 팔현 후학들이 십호계(十皓契) 조직, 강학(講學) 지속하고 향약(鄕約)을 마련하고 실천하면서 보산정사를 보존하는데 성심을 다하였다.

 

사동 십호 동계 좌목(莎洞 十皓 洞契 座目) ; 정인심(鄭仁諶), 정인근(鄭仁謹), 전여수(田汝需), 오봉종(吳奉宗), 이유회(李惟誨), 배경복(裵景復), 김언곤(金彦鵾), 최희열(崔希說), 이우춘(李遇春), 장이경(張以慶).

 

1603[선조 36년 계묘] 8사동 십호 동계 향약문(莎洞 十皓 洞契 鄕約文)

1603[선조 36년 계묘] 8사동 동계 규약문(莎洞 洞契 規約文)41개조

사동 십호계 창립계원 좌목(莎洞十皓契 創立契員座目) 10

 

십호 동계 조직 유사(十皓洞契組織有司)계장, 유사 별유사, 도유사(9), 남화유사(南花有司)(26), 동중 수행 좌목(洞中隨行座目)(17)

 

사동 십호계원 좌목(莎洞 十皓契員 座目)(1258, 2142, 372, 4137, 5183, 6105) 김경선(金景宣, 瑞興), 기효순(奇孝諄, 幸州), 정섭(鄭涉, 光州) 897명의 좌목이 있는데 생년이 확인되는 첫 좌목은 아홉 번째로 실린 최오기(崔五紀, 1556~1623, 耽津)이다. 마지막 좌목은 이민옥(李民玉, 1940년생, 이언상 12대손, 陽城)이고 출생년이 가장 늦은 좌목은 1964년생이다.

 

1620년대? 억 초동보산(憶草洞寶山), 시서 김선(市西 金璇, 1568~1663) 지음. 시서집

1663[현종 4] 초동동계 명칭 향약으로 바뀜.

1687[숙종 13 정묘] 5월 팔현 연구시(聯句詩) 편액 제작.

 

나주 수다면 초동 영촌 부근도(나주목지도, 1872, 규장각)

보산팔현 이유근선생 사마방목

보산팔현 이유근선생 문과방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