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59

인지의 즐거움377 - 작은 뜰 단풍 잎에 비 내리고, 백련사를 찾은 이들이 남긴 시문

인지의 즐거움377 작은 뜰 단풍 잎에 비 내리고, 백련사를 찾은 이들이 남긴 시문 김희태 백련사 경치도 좋고, 만덕산 맑기도 하여라, 혜일·성임·김뉴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강진현 불우조 백련사(白蓮社)항에 혜일(慧日), 성임(成任, 1421~1484), 김뉴(金紐, 1436~1490)의 시가 실려 있다. 모두 4수로, 혜일의 시가 2수, 전인(前人)으로 표기된 시 1수, 그리고 성임과 김뉴의 시이다.  혜일이 두 번째 백련사를 들렀을 때의 시를 보면, 어느 해 가을 지금쯤인 듯 싶다. ‘작은 뜰에는 단풍 잎에 비 내리고[小庭紅葉雨]’라 읊었다.  머물고 떠나감이 다만 인연에 달렸으니 去住但隨緣(거주단수연)도 한 해를 이럭저럭 보내고 騰騰又一年(등등우일년)작은 뜰에는 단풍 잎에 비 내리고 小..

인지의 즐거움 2024.12.27

인지의 즐거움376 - 전통시대 통신체계, 제5로 직봉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인지의 즐거움376 전통시대 통신체계, 제5로 직봉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김희태  조선 후기 군사 통신시설인 봉수유적이 연속유산 형태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은 순천(여수) 방답진 돌산도~한양 목멱산(남산) 간 제5로 직봉 61개소 가운데 들어 있고, 사적 지정은 전남 10개소를 포함해 16개소이다. 직봉(直烽)은 조선 후기 변방과 한양을 연결하는 5개의 간선로 상에 위치한 봉수를 말한다.  장흥 전일산봉수는 여수[순천] 방답진 돌산도봉수(突山島烽燧)에서 초기(初起)하는 제5로 직봉노선의 일곱 번째이자, 장흥 억불산봉수(億佛山烽燧)와 보성 진흥산봉수(眞興山烽燧) 에 응하였던 제5로 간봉노선의 초기 연변봉수이다. ‘제5로 직봉 -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으로..

향토학통신 2024.12.26

인지의 즐거움375 - 1690년대의 강진 한천동과 영모당-『지암일기』를 통해 본 보물 영모당-

인지의 즐거움375 - 1690년대의 강진 한천동과 영모당 -『지암일기』를 통해 본 보물 영모당- 김희태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永慕堂)은 1990년 2월 24일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가, 2022년 11월 25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영모당은 해남윤씨의 중시조인 8세 윤광전(尹光琠)선생과 9세 윤단봉(尹丹鳳), 윤단학(尹丹鶴) 형제 등 세 분의 제향을 하는 재실로 1687년에 건립되었다. 1737년에 중건되었고, 1813년에 크게 수리되었다.영모당은 전체가 마루방으로 되어 있는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강당(講堂)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재실(齋室) 건축 형식의 하나인 ‘강당형’의 모범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문화재)은 지금 남아..

인지의 즐거움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