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59

새국가유산 - 고흥 봉암사 이여재,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 고시, 2025.02.06.

새국가유산 고흥 봉암사 이여재,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 지정 고시, 2025.02.06. 고흥 봉암사 이여재(高興 鳳巖祠 二如齋)  ○ 종 목 : 민속문화유산 제57호 ○ 소 재 지 : 고흥군 과역면 석봉리 114 ○ 구조/형태 : 재실(정면 5칸, 측면 2칸, 팔작지붕) / 262㎡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 및 관리자 : 김녕김씨 영돈령공파종중  ○ 지정사유  - 이여재는 조선시대 선현 제향 공간인 사우의 강당 겸 재실로서 현 건물은 1905년 상량하였으며, 민간중심의 향촌 사회사 및 공동체(문중) 조직과 운영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민속생활사 유산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 부재의 재사용을 통한 공간의 성격 및 구조를 변용한 뛰어난 결구기법이 확인되며, 결구기법이나 구조를 통해 관아건..

새국가유산 2025.02.07

새국가유산 - 순천 담락재와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새국가유산  순천 담락재와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순천 담락재와 현판(順天 湛樂齋와 懸板)   ○ 소 재 지 : 순천시 주암면 구산2길 3 ○ 시 대 : 조선시대 ○ 구조/형식/형태 : 목조와가 1동(59.35㎡) / 현판 51종 ○ 소유자/관리자 : 옥천조씨담헌종중  ○ 지정 예고 사유  - 순천 담락재(順天 湛樂齋)는 조진익(趙鎭翼, 1788~1858)과 조진룡(趙鎭龍, 1803~1860) 형제가 조선후기 1841년경에 건립하여 효도와 우애의 실천, 후손과 향리 자제의 강학, 문인과 선비들의 교류 공간으로서 일반적인 제향(祭享) 기능의 재실(齋室, 祭閣)과는 구별되는 공동체 문화 공간임 - 담락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에 전후좌우에 툇간을 두었고, 조선후기 교육적..

새국가유산 2025.02.06

새국가유산 - 영광 구 융문당과 융무당,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새국가유산 영광 구 융문당과 융무당,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 2025.02.06 영광 구 융문당과 융무당(靈光 舊 隆文堂과 隆武堂)  ○ 소 재 지 - 융문당 : 영광군 백수읍 길용리 15 - 융무당 : 영광군 백수읍 대신리 36 ○ 시 대 : 조선(1868년) ○ 구조/형식/형태규모 - 융문당 : 정면 5칸, 측면 4칸, 이익공, 겹처마 팔작집, 150.08㎡ - 융무당 : 정면 4칸, 측면 3칸, 무익공, 겹처마 팔작집, 78.35㎡ ○ 소유자/관리자 : (재)원불교  ○ 지정 예고 사유  - 융문당과 융무당은 고종5년(1868년)에 경복궁 신무문 밖 후원 지금의 청와대 일원에 건립하였음  -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1928. 8월 ~ 1929.5월에 건물을 헐어 당시 서울 한강통 11번..

새국가유산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