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인지의 즐거움161 - 돌다리(石橋)를 만들자 - 흙으로 만들면 무너지고 판자는 썩어버리니

향토학인 2018. 9. 12. 01:32

인지의 즐거움161

 

돌다리(石橋)를 만들자 - 흙으로 만들면 무너지고 판자는 썩어버리니

 

김희태

 

최근 17세기 후반 교량석비 2기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전남지역의 다리 관련 기록유산 12종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건립비, 중수비, 권선문 등인데 추가로 확인하여 23종에 이른다. 15종이 사찰 관련 기록유산이다. 이들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전라도 지역 석교 기록을 검토해 보았다.

 

교량 관련하여 지정된 문화재는 53점이다. 지정별로는 국보 2점, 보물 9점, 사적 1점 등 국가지정문화재가 12점, 시도 유형문화재 15점, 시도 기념물 6점 등 시도지정문화재 21점, 문화재자료 7점, 등록문화재 13점 등이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12점으로 가장 많고 서울 6, 경남 5, 충남 7, 충북 5점 따위이다. 시대별로 보면 통일신라 2, 고려 4, 조선 30, 근현대 17점이다. 교량 기록유산은 9점, 유적과 기록유산이 함께 지정된 경우는 1점이다. 교량 유적이 43점에 이른다.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유산으로는 1650년(효종 1) 연기가 있는 나주 사마교비와 영암향교에 있던 침향교 신창비이다. 나주 사마교비는 사마교를 개수하고 지방관 정지호가 건립한다. 그 다음으로는 1653년(효종 4) 건립한 영암 도갑사 쌍교 석비이다. 조계곡이라는 지명이 표기 된 점, 쌍교로 세웠다는 점, 도갑사의 통행 입로를 알려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7세기 후반 보성에 건립된 두 개의 교량비(1674년 마천석교비, 1686년 동원석량비)는 역사적, 학술적 의미가 크다. 무엇보다도 자세한 기록이라는 점, 참연 인명록까지 온전히 전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시기와 장소가 다르지만 개흥사 계수스님이 주력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마천석교 건립을 위하여 10여년을 물력을 홀로 모으고, 유학자가 권선문을 지어 석교가 건립된다. 동원석교는 보성의 동서를 잇는 간선도로에 건립된 것으로 보성군수의 조력이 있었다.


마천석교에는 173인, 동원석교에는 168인 명록이 있는데, 동원석교가 9칸으로 규모가 더 크고 읍내와 가까운 지역이지만 오히려 마천석교 건립에 참여한 인원이 더 많다. 두 석교가 소재한 면은 호구수는 마천석교가 소재한 도림면이 훨씬 많은 점과도 연계될 수 있겠다. 마천석교 권선문, 동원석교비문은 청광자 박사형이 짓는다. 특히 동원석교비는 당시 군수 박림이 박사형을 찾아가 계수스님의 공적을 기록으로 남겨 달라는 부탁도 한다. 조선 후기 향촌사회에서 지방관, 유학자, 불교 승련 등의 사회활동에 대해서 알 수 있다.

 

보성 벌교 단교(홍교)비는 1705년, 1737년, 1777년, 1844년, 1899년 5기가 전하고 있다. 1705년 초창한 단교비는 비제만 전하지만, 박사형이 지은 낙안군단교비문을 통하여 내용을 알 수 있다. 벌교 단교 건립과 관련하여 승려들이 지은 권선문이 3종이나 전하는 것도 특기할만하다.


낙안군단교비문에는 낙안에서 보성 ․ 흥양 ․ 순천으로 통하는 교통 요지에 대광사 초안대사가 다리를 설치했고 다리 주변에는 날마다 상선들이 무수히 정박해 있었다고 했다. 그리고 큰물이 치면 다리가 끊어져 ‘단교’라 하고, 다리가 끊어지면 사람의 통행도 끊어진다 하여 그렇게 부른다고 했다. 또한 일대가 갯벌밭이라 농사를 지을 수가 없었으므로 현지 사람들이 다리 주변에 시장을 개설하여 장사로 생업을 영위한 사실도 기록하였다. 음기에 외명부의 품계를 가진 사대부가의 여자들도 기록된 점이나 평신분의 인물들도 참여한다는 점도 알 수 있다.


보성 도마교비는 1705년, 도마교 중수비는 1802년에 세워진다. 도마교는 지역의 사족이 주도하는데, 같은 시기에 건립된 이웃한 벌교 홍교와 비교된다. 1802년 도마교 중수비를 통하여 당초 건립에 참여한 지방 사족의 손자와 증손자가 참여하는 것이 확인된다. 도간(都幹)은 전시주은 정창락(鄭昌樂)의 증손 유학 재순(在舜), 화주(化主)는 전시주 장선룡(張公善龍)의 손자 가선대부 익순(翼純)이다. 그리고 지방관의 조력도 나타난다.

 

선암사 승선교비는 중수비이지만 초창과 중수에 관한 내용이 함께 기록이 되었다. 중수는 약 한달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1713년(숙종 39)에 세웠다.

 

직임  초창                   중수

化主  護巖堂 若休          典一

別座  會元

片首   太素                  朴論立

監役  可呵 可超            七卓

三綱  興義 執太 任亘     義岑 允海 興察

書記  全                   習遠

住持  丹蓮                   規釋

冶                              朴守全

書                              典炯

(時) 赤猪[정해]之季冬 黑蛇[계사]之仲春

 

앞으로 기록과 자료의 분석을 더 진행하여 건립자(주체), 참여자(화주 등), 기술인, 시기 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나아가 다른 지역의 사례와도 비교할 것이다.

<표> 전라도지역 조선시대 석교관련 기록유산 목록

연번

명 칭

소재지(문헌)

연 대

찬, 서

크기(cm)

내 용

참고

높이

너비

1

영암 침향교 신창비(枕香橋 新創碑)

전남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 356 영암향교

1650(효종1)?

 

 

168

50

군수 이인(李璌) 때 침향교 신창 비. 27자 12행

영암군 문화유적

2

나주 사마교비(駟馬橋碑)

전남 나주시 과원동 109-5

1650(효종1)

 

 

100

38

나주 사마교를 만들고 쓴 기록. 당시 지방과 정지호

금석문

3

영암 도갑사 석교 신창비(道岬寺 石橋 新創碑)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1653(효종4)

 

 

 

 

도갑사 입구 쌍교 돌다리 건립 기록

금석문

4

보성 마천석교권선문(磨川石橋勸善文)

전남 보성군 보성읍 득량면(청광집)

1673(현종14) 1

박사형

朴士亨

 

 

 

보성 득량면 마천석교 건립 시주 권선문. 淸狂子 朴士亨(1635~1706, 보성출신)

청광집

5

보성 마천석교비(磨川石橋碑)

전남 보성군 득량면 역전길 13

1674(현종15)

 

 

 

 

보성 득량면 마천석교 건립 기념비. 개흥사 승려 계수 (戒修) 주관. 원위치 : 득량면 해평리 득량천변, 발견위치 : 해평리 노계 산99-2

전남유형

6

보성 동원석량비(東院石梁碑)

전남 보성군 보성읍보성리4-2(청광집)

1686(숙종12) 윤4

박사형

 

239

88.5

보성 동원석량(석교) 건립 기념비. 개흥사 승려 계수 (戒修) 주관. 보성군수 박림(朴琳) 공양자(供養者)․화주질(化主秩)․석공질(石工秩)․ 장방청(長房廳) 등 참여자 명록

전남유형

청광집

7

보성 낙안치남 단교가교량 권선문(樂安治南斷橋架橋梁勸善文)

전남 보성군 벌교읍(<백암집>)

*1631~1700

백암 성총

栢庵性聰

 

 

 

자연재해로 훼손된 홍교를 다시 복구하려는 권선문

<백암집>

8

보성 부사현 단교 권선문(浮槎縣斷橋勸善文)

전남 보성군 벌교읍(<설암잡저>)

*1651~1706

설암 추붕雪巖 秋鵬

 

 

 

낙안(浮槎) 단교(홍교) 건립 권선문.

<雪巖雜著>권2

9

장흥 예강석교 권선문(汭江石橋勸善文)

전남 장흥군 장흥읍(<만수재집>

*1646~1704

이민기李敏琦

 

 

 

장흥군 장흥읍 예양강 석교 권선문

만수재집

10

보성 단교모연문(斷橋募緣文)

전남 보성군 벌교읍(<무용당집>)

*1651∼1719

 

무용수연

無用秀演

 

 

 

단교(斷橋)는 부차의 동문(浮槎之洞門)으로 대천 깊이가 1장에 이르러 다리를 놓고자 성습상인(性習上人)이 발원하는데 모연문

<무용당집>

11

보성 단교비기(斷橋碑記)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4-1(청광집)

1705년

박사형

 

 

 

벌교 홍교 초창(1705년)비, 비제(碑題) 부분만 남아 있음. 청광 박사형 찬(낙안군단교비문)

*보물

12

순천 환선정 석교비문

전남 순천 (청광집)

1705(숙종31)

박사형

 

 

 

환선정 석교 기념비

<청광집>

13

보성 도마교비(逃馬橋碑)

전남 보성군 벌교읍 고읍길 1

1705(숙종31, 崇禎紀元後再乙酉)

 

진섭

震涉

 

 

도마교 초창비

전남유형

14

순천 조계산 선암사 홍류동 승선교비명(洪流洞昇仙橋碑銘)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48-1

1713(숙종19).3

 

전형

典炯

 

 

선암사 승선교 초창 1707.12. 중수 1713.2~3 전말, 초창과 중수 참여 직임 명록, 화주 초창 호암당 약휴 중수 전일(典一) 전형(典炯) 글씨

*보물

15

보성 낙안단교중수비(樂安斷橋重修碑)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4-1

1737(영조13) 9월

이조

李澡

김이서金履瑞

275

110

호남 부사군 단교 중수기비명南浮槎郡斷橋重修記碑銘) 선암사 초안(楚安), 습성(習性)스님이 군민 6인과 3칸 홍교로 건립 기록

*보물

16

보성 (단교)중수비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4-1

1777(정조1)

 

 

 

 

벌교 홍교 중수비

*보물

17

전주 남천교 신설 경찬소(全州南川橋新設慶賛䟽)

전북 전주시(<연담대사 임하록>)

1720~1799

연담 유일

蓮潭 有一

 

 

 

전주부 남천에 5가의 홍교를 새로 세운데 대한 경찬소. 순찰사 윤공과 본주 사원, 53읍 조력.

<蓮潭大師 林下錄>3

18

보성 도마교중수비(逃馬重修橋碑)

전남 보성군 벌교읍 고읍길 1

1802(순조2)

권우인權友仁

김주원金柱元

 

 

도마교 중수비. 권우인(1761~?) - 낙안군수. 都幹 전시주 鄭昌樂 증손 유학 在舜, 化主 전시주 張善龍 손자 가선대부 翼純

전남유형

19

보성 (단교)중수비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4-1

1844(헌종10)

 

 

 

 

벌교 홍교 중수비

*보물

20

고흥 서문리 홍교 명문

전남 고흥군 고흥읍 서문리270

1871(고종10)

 

 

 

210

1870(동치10) 4월 고흥읍성 서수구 홍교 창건 기문(암각)

*유형

21

보성 (단교)중수비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4-1

1899(광무3)

 

 

 

 

벌교 홍교 중수비

*보물

22

장흥 이장용 만세불망비(李章鎔 萬世不忘碑)

전남 장흥읍 행원리 부산교 옆

1906

 

 

112

44

장흥군수 이장용(1905.2~1907.4 재임)의 부산교(행원교) 건립 기념 불망비. ‘惠施石矼’이라 해 돌징검다리 형태.

장흥분포지도

 

해남 백방교중수기적(百房橋重修記蹟)

전남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 신방

1909(隆熙3) 12.

 

尹柱斗

70

44

건륭연간 세운 다리를 1909년 11월 15일 걸려 중수. 간사원, 화주, 시주, 석공 등.

해남금석문

23

순천 승평군 조계산 극락교기(昇平郡曹溪山極樂橋記)

전남 순천시(다송문고)

1917丁巳七月 初七日開通

錦溟 寶鼎

 

 

 

1730년(영조6, 雍正8) 化主 卓勤이 창건해 1854(철종5, 咸豊4) 가을 홍수로 무너져 나무로 지탱하다가 1916년 가을에 승려 한붕(漢朋)이 공장을 불러 1917년 칠석일에 준공해 극락교로 명명 기록

<茶松文稿>卷第二


* 남도불교문화연구회 월례발표회,  2018.9.1(토) 광주 차생원


보성 도마교중수비

보성 단교(벌교 홍교) 중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