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인지의 즐거움350 -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고, 나주 남파고택 소장 유물1

향토학인 2024. 4. 17. 01:48

인지의 즐거움350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고, 나주 남파고택 소장 유물1

 

김희태

 
국가민속문화재 나주 남파고택(羅州 南坡古宅) 소장 유물 가운데 674종 880점을  9개 분야로 나누어 목록작성을 하고 그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남파고택 소장 자료는 1만여점이 넘는다 하고, 여러 분야 조사가 진행중임으로 나주문화원(원장 윤여정)에서 조사한 내용을 "남파고택소장 유물(1)"로 제하여 해제한 글의 맺음말을 소개한다.  

 
남파고택 당주 박경중(朴炅重, 1947년생)은 밀양박씨 청재공파이다. 청재(淸齋) 박심문(朴審問, 1408~1456) 넷째 아들 박원정(元正), 박원정의 셋째아들 박세부(世莩, 羅州公) 대에 나주에서 세거하였다. 남파고택은 박세부의 손자[청재공 박심문 현손] 박종(樅)을 종가조(宗家祖)로 하고 있다.
 
현 남파고택과 관련해서는 박경중의 6대조 박승희(承禧, 1814~1895)로부터 연고가 있다. 나주 왕곡과 공산 일대에서 나주로 먼저 들어온 후 영암군 금정면 한대리에 기거하였던 아들 박성호(聖鎬, 1838~1886)와 함께 나주 성내의 현 집터로 1872년경 이주했다고 한다. 당시 건물로 1884년[고종 21, 光緖十年甲申] 상량문이 있는 초당채가 현존하고 있다.
 
박성호의 아들 남파 박재규(南坡 朴在珪, 1857~1931)가 현 고택을 건립하였다. 박재규의 호를 따서 남파고택(南坡古宅)으로 문화재명칭을 부여하였고, 장흥군수를 역임하여 “박장흥댁(朴長興宅)”으로 불렀다. 벼슬자리를 택호로 썼던 관례를 따른 것이다.
 
나주 남파고택 소장 유물(1)은 남파 박재규-박정업(朴正業, 1884~1936), 박준삼(朴準三, 1898~1976)-박승근(朴承根, 1922~1958)-박경중(朴炅重, 1947년생, 현 당주) 4대에 걸쳐 사용되고 수집되고 오고 간 유물들이다.
 
남파고택 소장 유물(1)은 크게 9개 분야로 대분류를 하였다. 가족관련, 가족경제, 사회경제, 교육, 문화, 사진엽서, 도서, 도서출판, 교과서 등이다.
 
가족관련 자료는 75종 85점이다. 박재규와 부인 강씨 진주강씨, 박정업, 박준삼, 박준채, 박승근, 임점남, 임묘숙 등의 임명자료, 학교자료, 신분자료, 관혼상제 관련 자료, 초상화, 사진류, 행록 등이다. 특히 박재규의 임명 자료는 사령장과 관보, 훈령, 신문자료 등을 함께 갖추고 있어 생애사는 물론 당시 제도사를 알 수 있는 자료로 중요하다. 1905년 정3품 통정대부 가자(加資) 고신(칙명)은 『승정원일기』에서도 확인된다. 장흥군수 재임시의 평근당 앞 사진이나 남파 출상 행렬시(1931.5.20.)의 사진 자료, 지금도 영암 금정(당시 나주 금마)에 전하고 있는 휼민 선정비의 비문 자료도 중요하다.
 
가족경제 자료는 64종 154점이다. 수입 지출을 적은 개인 수첩, 일기부, 구입내역서, 소작관련자료, 영수증, 통지서, 전표, 차용증, 보험증서, 약방문, 법규자료, 광고지, 신고서‧취지서, 설계도), 안내문 등이다. 특히 영수증(동아일보 주식매입, 동양척식회사, 등기수수료, 호남은행 대출금 상환, 남선전기 전등료, 라디오 청취료, 가옥세), 통지서(연부금 상환, 재단법인 양우회 설립, 보험회사 통지문, 식산은행 상환), 전표(나주읍 운반통제조합 운임지불전표, 태비(駄費) 지급 내역), 차용증(동양척식회사 연부상환금, 조선식산은행) 등은 가족-종중을 넘어 나주지역의 경제 사정을 알수 있는 자료이다.
 
사회경제 자료는 50종 63점이다. 근현대 나주 지역 사회와 경제 사정을 알 수 있는 유물이다. 법령류, 광고류, 보고서류, 영수증, 안내문‧통지문, 신청서류, 성명서, 회의서류, 계획서, 포장용지 등이다. 광고판은 나주협동상회, 금성양조장, 금흥상회, 궁기상점, 나주인쇄소, 곡성용재, 목포 대강문구점, 광주 남창상회, 광주 국자, 광주 삼화상회, 경성 대영조, 중앙이화학연구소 등 광주나 경성의 자료도 있다. 그리고 나주비료공장(호남질소비료주시회사)의 건립 추진과정과 건립 이후 운영에 관한 일련의 자료는 나주 지역경제는 물론 우리나라 산업시설에 대한 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교육분야는 93종 109점으로 학교요람, 행사, 교보‧ 교지, 졸업 등에 대한 것이다. 나주국민학교 학교요람, 나주중학교 학교요람, 나주공립보통학교 제24회기념사진(1935), 나주민립중학기성회창립 취지서(1945), 한별고등공민학교 설립인가 신청원(1963년), 나주유학생 친목회 1회 정기총회(1936년)자료도 주목된다.
 
문화는 57종 60점으로 시문, 인물, 독립운동, 문서, 통계, 제문, 홀기, 통계, 민력, 서화, 문자도, 지도, 종교 등이다. 시문은 민병석 한시, 백호 임제 친필 시, 백호 임제의 수성지 필사본, 인물사 자료는 문열공 김천일선생기념사업추진회 요람(1953년), 문열공 김천일선생 기념사업추진회 타합회 통지문(1953년) 등이 있다. 그리고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 자료로 광주고보 학부형에 보내는 서한문, 광주고보와 광주중 충돌사건 경과상황(1926.11.10.), 광주고등보통학교에서 학부형회 위원들에게 보낸 서한문(1929.12.26.) 등은 광주학생독립운동 당대의 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사진엽서는 25종 239점이다. 명소관광지에 대한 엽서가 주를 이루는데, 대구, 금강산, 경주, 제주, 회령, 선암사, 정읍 내장산, 석왕사, 청진 등의 엽서이다. 평화기원 동경박람회 기념엽서, 전라남도 물산공진회 기념 회엽서도 있다.
 
고도서는 36종 69점으로 시집 가사집, 향토지, 문집, 경서류, 소설류 등이다. 도서출판은 74종 92점으로 지리관광, 역사, 교양, 정치, 유교, 산업, 인물, 씨족, 의례 등이다. 교과서는 9종 9점이다. 조선어, 지리, 지도, 역사 등의 분야이다.
 
여러 여건상 소장 유물 전수 조사와 분류, 목록작성에는 이르지 못하여 아쉽지만, 이러한 조사와 정리를 계기로 남파고택 소장 유물이 더 잘 보존 관리되었으면 한다. 앞으로 분류에 대한 검토, 유물의 출처나 관계성, 남파고택 종중인들과의 연고, 나주 지역사회에서의 의미 등, 보다 더 세밀하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 지기를 기대한다.
 
*김희태, 나주 남파고택 소장 유물 해제(1), <남파고택 소장자료조사보고>Ⅰ, 나주문화원, 2023, 2~59쪽(맺음말)
 
참고문헌
󰡔밀양박씨청재공파가승보󰡕(호남문화사, 1988.)
김건태,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역사비평사, 2004.
김광언, 『박장흥댁󰡕, 민속원, 2009.
나주시‧(재)건축문화재연구원, 󰡔중요민속자료 지정신청 조사보고서 –나주 박경중가옥-󰡕, 2009.
나주시, 『나주 근현대 생활유물관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2011.
나주시‧목포대학교박물관, 『나주시의 문화유적』, 1999.
나주시지편찬위원회, 󰡔나주시지󰡕 3, 나주시, 2006.
문화재청‧나주시, 『나주 남파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263호』-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 보고서-. 2017.
박진철, 『조선시대 향리층의 지속성과 변화󰡕, 한국학술정보, 2007.
박찬승, 『일제하 나주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여강출판사, 1993.
박찬승·박만규·김민영·고석규,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나주』, 경인출판사, 2001.
전남문화재연구원‧나주시, 『나주 남파고택 안사랑채 : 나주 남파고택 정비사업부지내 유적』, 2021.
전라남도‧전라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종가Ⅰ』-전통과 가통이 계승되는 공간-, 2017.
하원호·손병규·송양섭·정승진·박진철 외, 『한말 일제하 나주지역의 사회변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김건태, 「한말 일제하 나주지역의 사회변동 ; 한말 일제하 나주 박씨가의 농업경영」, 『대동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김병진‧신치후, 「거주자 면담을 통한 남파(南坡)고택의 주거공간 특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33권 제4호, 한국주거학회, 2022.
김서진, 「종가음식 관광상품화를 위한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 질적 연구 및 컨조인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17.
김선영, 「전통주거건축 벽면의 비례특성에 관한 연구 : 전남지방의 전통주거건축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2003.
김정필‧김현정, 「전통 나주반(羅州盤)의 재현과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2권 1호, 1999.
김홍렬, 「나주 남파고택 소고기 음식문화의 특징 및 유용화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22.
남궁선, 「나주반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마현진, 「전라남도 문화재 전통가옥의 부엌 변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기술창업대학원 석사논문, 2021.
박강철, 「호남지역 전통주거에서 간의 원형에 관한 연구」, 『제주국제심포지움학술발표논문집』, 민속건축학회, 2006.
박경중, 「지방문화원의 사회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8.
박지선, 「한국전통주거건축 평면구성비에 관한 연구 –전남지방의 전통주거건축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박진철, 「한말 일제하 나주지역의 사회변동 : 한말 일제하 나주지역 향리 가문의 동향 -밀양 박씨가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박찬승, 「해방 전후 나주지방의 정치 사회적 동향」, 『지방사와 지방문화』, 1998.
박천우, 「일제하 대지주 연구」, 『장안논총』 14, 장안대학, 1994.
손병규, 「한말 일제하 나주지역의 사회변동 : 19세기 나주지역의 재정운영과 권력관계」, 『대동문화연구』 제44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이경훈, 「한말 일제하 나주지역의 사회변동 : 청년과 민족-『학지광』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남파 박재규(南坡 朴在珪, 在奎, 1857~193) 출상행렬 사진(1931.5.20., 남파고택 박경중원장 소장)
상여 행렬이 북대(현 성북동 나주경찰서 뒤)를 돌아 나가는 전경 사진으로 가운데에 석당간(보물)이 보인다. 주변의 건물과 어울어져 있는 시설물은 나주읍성과 관련될 것으로 보인다. 석당간 앞 도로가 선산이 있는 나주 노안으로 연결되었다.
박재규선생은 1931년 5월 15일에 세상을 떠났으며 5일장을 치루었다고 하니, 사진은 1931년 5월 20일 경관이다. 하얀 기는 공포(功布) 또는 명정(銘旌), 만장(輓章)으로 보이며, 약 100여명의 사람들이 기를 들고 좌측에 상여가 보인다. 깃발은 흰색 또는 흑색 등 약 3종류 정도로 보이며, 사람키의 두배 이상이며, 장대에 기를 매달아 들고 가는 모습이다. 상여 행렬의 뒤로는 작은 초가집이 군데군데 있으며, 큰 소나무들이 도로를 따라 자리한다.
남파 박재규는 밀양박씨이며 장흥군수를 지냈고, 현재의 남파고택(국가민속문화재)을 건립하였다. 남파 고택 소유자 박경중님(전 나주문화원장)은 박재규의 증손자이다.

 

931년 사진의 찍은 위치를 가늠해 보고자 현장으로 나섰다. (2024.03.07)
도시화가 이루어진 현 싯점에서 93년전의 경관 현장을 탐색한다는 것은 어려움 그 자체라 하겠다. 1931년 사진의 석당간과 그 뒤로 보이는 금성산의 산줄기와 맞추어 보면서 저 길다란 행렬은 어느 지점에서 무슨 사진기로 찍었을까. 나주에 그 사진관, 사진사가 있었을까. 아니면 광주나 외부의 전문 직업인들을 불러 왔을까.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면서 석당간과 금성산을 마주하면서 뒤로 뒤로 가 보았는데, 길거리에서만 석당간이 보이고(윗사진). 실제 찍었을법한 자리에서 보니 시장 건물로 막혀서 석당간은 보이지 않고 금성관 산줄기만 아련하다. 시장 지붕의 글자 가운데 "시" 글자가 있는 부분쯤 석당간이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