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인지의 즐거움287 - 나대용장군 무과 급제 동방(同榜) 500명 중 전라도 99명, 1583년

향토학인 2022. 9. 9. 02:36

인지의 즐거움287

 

나대용장군 무과 급제 동방(同榜) 500명 중 전라도 99, 1583

 

김희태

 

1583(선조 16)의 무과(武科) 급제자 명록(무과방목)을 찾아 볼 일이 있었다. (2022.06.30.) 임진왜란시기 거북선을 건조한 공을 세운 전라도 나주 출신 체암 나대용(遞庵 羅大用, 1556~1612)장군 관련 자료를 찾아 보면서이다. 그런데 의외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583년의 무과는 500명을 선발했는데, 무과방목의 거주지를 정리해 보니 전라도 군현 출신이 99명에 이르렀다. 무과 급제자 전체의 20%에 이른다. 이 무과가 치뤄지고 9년 뒤 임진왜란이 일어났고, 나대용 등 1583년 무과 동방(同榜)들이 국난을 극복하는 주역이 되었다. 전라도의 저력이라 할수 있지 않을까.

 

나대용은 선조 16년 계미(1583) 무과 별시(別試)에서 병과(丙科) 28위로 급제하였다. 당시 선발 인원은 500명이다. 갑과(甲科) 1, 을과 36, 병과 463인이다. 나대용은 전체 순위로 보면 65위에 해당한다.(만력11년 계미 9월 초3일 별시방목(萬曆十一年癸未九月初三日別試榜目)(국립중앙도서관[貴古朝26-28-6]))

 

당시 문과 시험일은 1583828, 무과 시험일은 1583828일부터 3일간 치루었다. 문과 장원 급제는 심우정(沈友正)이고 합격인원은 33명이다. 무과 장원급제는 오정방(吳定邦)이고 합격인원은 500명이다. 시험 실시 이유는 별시(別試)이다. 명나라 황태자의 탄생을 축하[황사탄생경(皇嗣誕生慶)]하기 위해 본 시험이다. 선조실록의 기록을 보자

 

상이 인정전(仁政殿)에 나아가 별시 문과(別試文科)의 전시(殿試)에 출제를 하고, 또 홍화문(弘化門)에 나아가 별시 무과(別試武科)의 전시를 치루었는데 무과는 입격자가 5백 명이었으며 모두 3일간에 걸쳐 끝났고, 내금위(內禁衛)의 오정방(吳定邦)이 장원하였다.”.(선조실록17, 선조 16824일 계유/1583)

 

무과방목 기록을 통해서 보면, 나대용의 자()는 시망(時望), 생년은 병진(丙辰, 1556, 명종 11), 본인 본관은 금성(錦城), 거주지는 나주(羅州)이다. 본관 금성(錦城)은 조선시대에 나주로 쓰는 경우가 있었다. 무과방목에 나주로 나온다. 전력은 교생(校生),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로 표기되어 있다. ()는 성명 나항(羅亢), 관직 정로위(定虜衛)이다. 안항(鴈行)은 제() 나경용(羅景用)이다.

 

과거(科擧)는 관리를 뽑을 때 실시하던 시험으로 고려 광종 9(958)에 처음 실시하여 조선 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문과, 무과, 잡과 따위가 있었다. 같은 과거시험에 급제한 사람들은 동방(同榜)이라 하여 서로 우의가 두터워 형제처럼 지냈으며 따로 방회(榜會)를 열어 일생 동안 유대감을 유지하고 교류를 하였다. 방회에 모인 동방들은 시를 짓거나 방회도(榜會圖)를 그려 기록을 남기기도 하였다. 1546(명종 1) 증광시 문과 동방 급제자인 최응룡(崔應龍) 등이 21년이 지난 1567(명종 22)에 광주 희경루(喜慶樓)에서 방회를 열고 그린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 보물, 동국대소장)가 잘 알려져 있다.

 

나대용 무과방목(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 나대용의 본관은 錦城인데 羅州로 표기되어 있다.

 

나대용의 행적을 살펴 보는데 도움이 될수도 있어 동방록을 정리해 본다. 1583년 별시 무과 급제자 500명 가운데 나주출신 나대용과 지역적 연고가 연결될 것으로 볼 수 있는 전라도 출신은 99명으로 전체의 20%가량이다. 별시 후 10년 뒤에 임진왜란이 발발함으로 1583년의 무과 급제자가 일정 역할을 했을 것 같다. 99명 가운데 선무원종공신녹권에 인명표기가 같은 경우는 33명이다. 호남절의록에는 19명이 올라 있다. 진도 조응량(曹應亮)은 명량대첩 해전에서 순절하였고 선무원종신에 녹훈되었고 진도 정유재란순절묘역(전라남도 문화재자료)에 안장되어 있다.

 

나대용과 함께 1583년 무과에 급제한 전라도 출신 99명을 분류해 보면 현재의 전남지역 72, 전북 지역 24, 제주 지역 3명이다. 조선시대의 군현별로 분류해 보면 <표>와 같다.

 

이들의 인적 사항이나 행적, 자료들을 잘 살펴 향촌사회의 교유와 연망을 살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무과방목에는 부()와 안항[형제]의 성명이 나온다. 나주권 등 거주 지역이나 전라도권 연계 지역에서 나대용 또는 나대용 관련인들의 교류관계 등을 함께 살펴 보는 것도 필요하다.

 

우선 나주 출신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해 본다. 기효열(奇孝說, 1539~?, 병과 330)의 경우를 보면, 본관은 행주(幸州), ()는 중화(仲和), 부친은 충순위(忠順衛) 기대유(奇大有), 안항(鴈行)으로 형()은 기효간(奇孝諫), 동생은 기효근(奇孝謹)[]과 기효순(奇孝諄)이다. 기효근은 선무공신, 기효간과 기효열은 선무원종공신에 훈록되었다.

 

기효근(1542~1597)1579(선조 12) 무과에 급제하고 1590년 남해현령(南海縣令)으로 부임하여 전선[戰艦]과 병기를 수리하였고 임란이 일어나자 해전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다.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훈록되었다. 선무공신 정공신 18명 가운데 유일한 전남 사람이다.

 

기효근은 나주 초동출신이라 하며, 나대용의 태생지인 문평면 오룡리 오륜마을 바로 옆마을인 오룡리 복룡(伏龍)마을에 기효근의 부조묘가 있었다. 나주시지에 나온다. 무안 마을유래지에는 1604년에 세워졌는데 종손의 잦은 이사로 여러차례 옮겨 지다가 1997년 나주 다시 초동에서 무안군 운남면 성내4리 도원마을로 옮겼고 매년 920일에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다. 나주 동향의 선후배로서 혹 교류는 없었을까 자료를 찾아 볼 일이다. 특히 남해현령으로서 전선과 병기 수리를 하였다는 기록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묘소와 사우 도산사(桃山祠), 재실 다경재(多慶齋)는 무안군 운남면 성내2리 남촌마을, 부조묘는 성내2리 도원마을에 있다.

 

김급(金汲, 1556~?, 병과 304)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고(思古), ()는 학생(學生) 김팽수(金彭壽)이다. 안항(鴈行)은 제() 김열(金洌)과 김명(金溟)이다.

 

김창(金漲, 1555~?, 병과 299)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심부(深夫), 부는 통례원인의(通禮院引儀) 김정우(金廷佑)이다. 안항은 형 김발(金潑), 제 김관(金灌)이다.

 

나적(羅迪, 1570~1597, 병과 72)의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백길(伯吉), 호는 청류(淸流)이다. ()는 학생(學生) 나덕언(羅德彦)이다. 안항은 제 진사(進士) 나선(羅選), 나형(羅逈), 나원(羅遠)이다. 나대용의 족질(族侄)나적과 나선합천(峽川)에서 순절하였다(호남절의록)

 

나적은 장성현감 겸 나주진관절제도위(長城縣監兼羅州鎭管節制都尉)를 지냈으며 '삼마태수(三馬太守, 청백리의 별칭)'로 칭송받은 나은제(羅殷制)의 증손이다. 합천군수를 지냈는데 군수로 있으면서 '지방의 토호(土豪)를 단속하지 못한 바가 있으나, 근래 주현(州縣)의 관원을 자주 바꾸어 오히려 전임자 보다 못한 이가 부임하는 폐단이 심한 까닭에 벌을 주되 유임시켜야 한다'는 비변사의 보고가 있었다.

 

1597(선조 30) 정유재란 때 전 경상도병마절도사 송진부(宋眞夫), 동생 나선과 함께 전투에 참가하였다. 나적은 동지들과 합천에서 창의하여 일본군을 무찔렀으며, 용성(龍城)과 양성(陽城) 싸움에서 전과를 올렸다. 소사(素砂) 싸움에서도 이겼으나, 무기가 떨어진 가운데 싸우다 힘이 다하여 순절하였다. 아들은 선전관 나익회(羅益繪), 전투에서 순절한 아버지를 위하여 복수군(復讐軍)을 모집하겠다는 상소를 광해군에게 올리기도 하였다. 복수군이란 임진왜란 때 적에게 가족을 잃은 사람들로 구성한 임시 군대를 말한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선무원종공신 1등으로 녹훈되었다.

 

정흥조(鄭興祚, 1545~?, 병과 230)의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경선(慶善), 부는 전참봉(前參奉) 정우(鄭佑)이다.

 

최용(崔勇, 1555~?, 을과 26)의 본관은 탐진(耽津), 자는 성향(盛鄕), 부는 유학(幼學) 최유원(崔有源)이다. 안항은 형 최도(崔濤), 제 최급(崔汲)이다.

 

남평출신 최성준(崔成峻, 1555~1588)은 자는 수부(秀夫), 본관은 경주(慶州), 부친은 최종필(崔宗泌)이다. 1588(선조 21) 평안도 운두리(雲頭里)의 권관(權管)으로 재임하였다.

 

[전남]

康津 : 김대복(金大福), 김윤희(金允熙), 김충질(金忠質), 김충효(金忠孝), 마응허(馬應虛), 신안복(申安福), 조언신(曺彦信), 조홍수(趙弘壽)

光陽 : 강희보(姜姬輔), 김두검(金斗劒)

求禮 : 장업(張嶫)

羅州 : 기효열(奇孝說), 김급(金汲), 김창(金漲), 나대용(羅大用), 나적(羅迪), 정흥조(鄭興祚), 최용(崔勇)

南平 : 최성준(崔成峻)

靈光 : 이대년(李大年), 최원(崔綩)

靈巖 : 김대기(金大器), 김안택(金安宅), 김함(金涵), 유장춘(柳長春), 전몽성(全夢星), 한호인(韓好仁)

務安 : 정기수(鄭麒壽)

寶城 : 문관도(文貫道), 선봉령(宣鳳齡), 선여경(宣餘慶), 선응진(宣應軫), 선의남(宣義男), 임훈(林薰), 정걸(鄭傑), 정홍수(鄭弘壽)

順天 : 유섭(兪灄), 유치령(兪致齡)

玉果 : 허진(許縉)

長城 : 문덕수(文德壽), 이성서(李成瑞)

長興 : 고언기(高彦紀), 김남준(金南俊), 김축(金軸), 김흔(金忻), 노선(魯選), 안극지(安克智), 위대기(魏大器), 이희백(李希白), 정곤수(鄭崑秀), 최계사(崔繼泗)

珍島 : 조응량(曹應亮)

昌平 : 윤홍승(尹弘承)

咸平 : 김몽복(金夢福), 채우령(蔡禹齡)

海南 : 김인영(金仁英), 이대행(李大行), 이봉생(李鳳生), 이숙형(李叔亨)

興陽 : 김몽룡(金夢龍), 김방제(金邦濟), 송덕기(宋德驥), 송덕린(宋德驎), 송덕준(宋德駿), 송두남(宋斗南), 송응민(宋應珉), 송정(宋珽), 송홍렬(宋弘烈), 송희립(宋希立), 신여량(申汝樑), 조윤무(曺允武), 조적(趙籍)

 

[전북]

古阜 : 이석남(李碩男), 한대방(韓大防)

高敞 : 안의(安義)

金堤 : 박형길(朴亨吉)

南原 : 유화춘(柳華春), 홍해(洪海)

礪山 : 남간(南侃), 정개(丁玠)

臨陂 : 장몽현(張夢賢), 최상(崔湘), 최충검(崔忠儉)

萬頃 : 최덕훈(崔德勳)

扶安 : 전륜(田倫)

淳昌 : 최덕영(崔德泳)

沃溝 : 강진문(姜進文), 고천수(高天授)

全州 : 김준계(金遵階), 박명일(朴明一), 임언철(任彦澈), 황해안(黃海晏)

泰仁 : 정윤계(鄭允誡), 허사인(許士仁), 홍지(洪祉)

咸悅 : 신학명(愼鶴鳴)

 

[제주]

濟州 : 고명길(高明吉), 고몽기(高夢麒), 고봉의(高鳳儀)

 

이 자료는 체암 나대용장군 학술조사와 학술대회(11.18. 예정)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초자료를 정리하던 중에 확인한 것이다. 좀더 자세한 자료로 정리되기를 기대한다.

 

<> 1583년 별시 무과 전라도 출신 급제자 군현별 현황

인명 생몰년 본관 ()* 합격등급 선무원종공신** 호남절의록
군현
1 김대복(金大福) 숙응(叔膺) 1558~? 청주(淸州) 전남 康津 153 丙科116
2 김윤희(金允熙) 명중(明仲) 1559~? 광산(光山) 전남 康津 353 병과316    
3 김충질(金忠質) 군후(君厚) 1553~? 청주(淸州) 전남 康津 95 병과58    
4 김충효(金忠孝) 군선(君善) 1548~? 청주(淸州) 전남 康津 342 병과305    
5 마응허(馬應虛) 숙장(叔章) 1539~? 장흥(長興) 전남 康津 459 병과422    
6 신안복(申安福) 사수(士綏) 1549~? 평산(平山) 전남 康津 188 병과151    
7 조언신(曺彦信) 경립(景立) 1548~? 장흥(長興) 전남 康津 218 병과181
8 조홍수(趙弘壽) 덕로(德老) 1564~? 도강(道康) 전남 康津 483 병과446    
9 강희보(姜姬輔) 공망(公望) 1545~? 진주(晉州) 전남 光陽 162 병과125  
10 김두검(金斗劒) 망뢰(望雷) 1551~? 김해(金海) 전남 光陽 195 병과158  
11 장업(張嶫) 사훈(士勳) 1541~? 구례(求禮) 전남 求禮 281 병과244    
12 기효열(奇孝說) 중화(仲和) 1539~? 행주(幸州) 전남 羅州 367 병과330  
13 김급(金汲) 사고(思古) 1556~? 광산(光山) 전남 羅州 341 병과304    
14 김창(金漲) 심부(深夫) 1555~? 광산(光山) 전남 羅州 336 병과299  
15 나대용(羅大用) 시망(時望) 1556~1612 금성(錦城)*** 전남 羅州 65 병과28  
16 나적(羅迪) 백길(伯吉) 1560~? 금성(錦城)*** 전남 羅州 109 병과72    
17 정흥조(鄭興祚) 경선(慶善) 1545~? 광주(光州) 전남 羅州 267 병과230    
18 최용(崔勇) 성향(盛鄕) 1555~? 탐진(耽津) 전남 羅州 27 乙科26    
19 최성준(崔成峻) 수부(秀夫) 1555~1588 경주(慶州) 전남 南平 423 병과386    
20 이대년(李大年) 인숙(仁叔) 1546~? 경주(慶州) 전남 靈光 32 을과31
21 최원(崔綩) 중성(仲誠) 1559~? 수원(水原) 전남 靈光 414 병과377    
22 김대기(金大器) 경실(景實) 1550~? 의성(義城) 전남 靈巖 242 병과205  
23 김안택(金安宅) 언인(彦仁) 1550~? 김해(金海) 전남 靈巖 405 병과368    
24 김함(金涵) 여숙(汝淑) 1562~? 김해(金海) 전남 靈巖 164 병과127  
25 유장춘(柳長春) 인중(仁仲) 1533~? 고흥(高興) 전남 靈巖 297 병과260    
26 전몽성(全夢星) 응상(應祥) 1561~1597 성주(星州) 전남 靈巖 355 병과318  
27 한호인(韓好仁) 경선(景善) 1556~? 익산(益山) 전남 靈巖 69 병과32    
28 정기수(鄭麒壽) 인수(仁叟) 1557~? 나주(羅州) 전남 務安 125 병과88
29 문관도(文貫道) 중기(重器) 1551~? 능성(綾城) 전남 寶城 89 병과52    
30 선봉령(宣鳳齡) 덕로(德老) 1545~? 보성(寶城) 전남 寶城 209 병과172    
31 선여경(宣餘慶) 응원(應遠) 1551~? 보성(寶城) 전남 寶城 36 을과35
32 선응진(宣應軫) 덕여(德輿) 1548~? 보성(寶城) 전남 寶城 189 병과152  
33 선의남(宣義男) 여의(汝宜) 1553~? 보성(寶城) 전남 寶城 328 병과291    
34 임훈(林薰) 방숙(芳叔) 1537~? 보안(保安) 전남 寶城 397 병과360    
35 정걸(鄭傑) 사언(士彦) 1544~? 장기(長鬐) 전남 寶城 386 병과349    
36 정홍수(鄭弘壽) 원기(遠期) 1551~1592 하동(河東) 전남 寶城 292 병과255
37 유섭(兪灄) 이회(而晦) 1566~? 장사(長沙) 전남 順天 139 병과102    
38 유치령(兪致齡) 덕수(德叟) 1535~? 장사(長沙) 전남 順天 331 병과294    
39 허진(許縉) 비승(丕承) 1545~? 태인(泰仁) 전남 玉果 482 병과445    
40 문덕수(文德壽) 인수(仁叟) 1530~? 수원(水原) 전남 長城 301 병과264    
41 이성서(李成瑞) 국진(國珍) 1558~? 용인(龍仁) 전남 長城 323 병과286  
42 고언기(高彦紀) 강중(綱仲) 1540~? 고산(高山) 전남 長興 216 병과179    
43 김남준(金南俊) 시회(時會) 1551~? 광산(光山) 전남 長興 197 병과160  
44 김축(金軸) 백유(伯由) 1553~? 김해(金海) 전남 長興 226 병과189  
45 김흔(金忻) 중엄(仲儼) 1544~? 영광(靈光) 전남 長興 6 을과5  
46 노선(魯選) 택경(擇卿) 1539~? 함평(咸平) 전남 長興 79 병과42  
47 안극지(安克智) 공달(公達) 1550~1607 죽산(竹山[]) 전남 長興 372 병과335  
48 위대기(魏大器) 자용(子容) 1555~? 장흥(長興) 전남 長興 193 병과156
49 이희백(李希白) 상우(尙友) 1548~? 인천(仁川) 전남 長興 259 병과222  
50 정곤수(鄭崑秀) 백옥(伯玉) 1559~? 진양(晉陽) 전남 長興 418 병과381  
51 최계사(崔繼泗) 이원(而源) 1560~? 경주(慶州) 전남 長興 412 병과375    
52 조응량(曹應亮) 경명(景明) 1557~? 가흥(嘉興) 전남 珍島 425 병과388  
53 윤홍승(尹弘承) 대윤(大胤) 1551~? 여주(驪州) 전남 昌平 283 병과246    
54 김몽복(金夢福) 천신(天申) 1553~? 선산(善山) 전남 咸平 351 병과314  
55 채우령(蔡禹齡) 수보(壽甫) 1554~1597 고성(固城) 전남 咸平 450 병과413  
56 김인영(金仁英) 덕부(德夫) 1543~? 선산(善山) 전남 海南 359 병과322  
57 이대행(李大行) 홍도(弘道) 1539~? 원주(原州[]) 전남 海南 345 병과308    
58 이봉생(李鳳生) 거우(巨羽) 1544~? 전의(全義) 전남 海南 284 병과247  
59 이숙형(李叔亨) 선우(善遇) 1559~? 원주(原州[]) 전남 海南 219 병과182
60 김몽룡(金夢龍) () 1560~? 김해(金海) 전남 興陽 140 병과103  
61 김방제(金邦濟) 공망(公望) 1556~? 김해(金海) 전남 興陽 135 병과98    
62 송덕기(宋德驥) 지원(志遠) 1556~? 남양(南陽) 전남 興陽 171 병과134    
63 송덕린(宋德驎) 중서(仲瑞) 1554~? 남양(南陽) 전남 興陽 295 병과258    
64 송덕준(宋德駿) 중일(仲逸) 1551~? 남양(南陽) 전남 興陽 194 병과157    
65 송두남(宋斗南) 경정(景挺) 1556~? 여산(礪山) 전남 興陽 263 병과226    
66 송응민(宋應珉) 사헌(士獻) 1555~? 여산(礪山) 전남 興陽 28 을과27  
67 송정(宋珽) 중온(仲溫) 1550~? 여산(礪山) 전남 興陽 358 병과321    
68 송홍렬(宋弘烈) 대요(大耀) 1550~? 여산(礪山) 전남 興陽 165 병과128  
69 송희립(宋希立) 신중(信仲) 1553~? 여산(礪山) 전남 興陽 196 병과159
70 신여량(申汝樑) 백임(伯任) 1564~1593 고령(高靈) 전남 興陽 424 병과387
71 조윤무(曺允武) 대신(大信) 1551~? 창녕(昌寧) 전남 興陽 468 병과431    
72 조적(趙籍) 방중(邦仲) 1545~? 함안(咸安) 전남 興陽 86 병과49  
73 이석남(李碩男) 기숙(奇叔) 1561~? 고부(古阜) 전북 古阜 222 병과185  
74 한대방(韓大防) 사한(士閑) 1537~? 보안(保安) 전북 古阜 87 병과50    
75 안의(安義) 의숙(宜叔) 1550~? 죽산(竹山[]) 전북 高敞 479 병과442  
76 박형길(朴亨吉) 통중(通仲) 1557~? 함양(咸陽) 전북 金堤 411 병과374    
77 유화춘(柳華春) 인숙(仁叔) 1557~? 영광(靈光) 전북 南原 440 병과403    
78 홍해(洪海) 혼원(混源) 1550~? 남양(南陽[]) 전북 南原 471 병과434    
79 남간(南侃) 정숙(正叔) 1555~? 의령(宜寧) 전북 礪山 272 병과235  
80 정개(丁玠) 경진(景珍) 1553~? 나주(羅州) 전북 礪山 270 병과233    
81 장몽현(張夢賢) 응휴(應休) 1546~? 탐진(耽津) 전북 臨陂 227 병과190    
82 최상(崔湘) 청원(淸源) 1533~? 경주(慶州) 전북 臨陂 453 병과416  
83 최충검(崔忠儉) 군실(君實) 1557~? 경주(慶州) 전북 臨陂 478 병과441    
84 최덕훈(崔德勳) 인중(仁仲) 1561~? 탐진(耽津) 전북 萬頃 446 병과409    
85 전륜(田倫) 이중(彛仲) 1552~? 곤양(昆陽) 전북 扶安 391 병과354    
86 최덕영(崔德泳) 잠중(潛仲) 1557~? 경주(慶州) 전북 淳昌 97 병과60    
87 강진문(姜進文) 국보(國輔) 1553~? 진주(晉州) 전북 沃溝 401 병과364    
88 고천수(高天授) 허연(許然) 1545~? 옥구(沃溝) 전북 沃溝 434 병과397    
89 김준계(金遵階) 언승(彦昇) 1554~? 희천(熙川) 전북 全州 202 병과165    
90 박명일(朴明一) 경윤(景允) 1556~? 나주(羅州) 전북 全州 262 병과225    
91 임언철(任彦澈) 사숙(士淑) 1553~? 진주(晉州) 전북 全州 430 병과393    
92 황해안(黃海晏) 태보(泰甫) 1548~? 옥천(沃川) 전북 全州 179 병과142    
93 정윤계(鄭允誡) 백흠(伯欽) 1539~? 경주(慶州) 전북 泰仁 393 병과356    
94 허사인(許士仁) 영숙(榮叔) 1554~? 태산(泰山) 전북 泰仁 279 병과242    
95 홍지(洪祉) 응번(應繁) 1546~? 남양(南陽[]) 전북 泰仁 316 병과279    
96 신학명(愼鶴鳴) 성원(聲遠) 1544~? 거창(居昌) 전북 咸悅 161 병과124    
97 고명길(高明吉) 대호(大皞) 1550~? 제주(濟州) 제주 濟州 346 병과309    
98 고몽기(高夢麒) 응성(應聖) 1537~? 제주(濟州) 제주 濟州 254 병과217  
99 고봉의(高鳳儀) 의지(儀之) 1552~? 제주(濟州) 제주 濟州 176 병과139    

*거주지를 현재의 전남, 전북, 제주로 구분하고 해당 지역에서 군현별 ㄱㄴㄷ순으로 정리하였다.

**선무원종공신녹권과 인명 표기가 동일한 인물이다.

***나대용(羅大用)과 나적(羅迪)의 본관은 금성(錦城)인데 무과방목에 나주(羅州)로 표기되어 있다.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과거 및 취재/선조(宣祖)16년의 무과 목록) 자료에서 발췌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