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즐거움317
동학농민혁명군의 나주로의 압송과 처형
김희태
동학농민혁명군 지도자와 동학농민군의 체포와 압송, 그리고 처형 학살당한 내용에 대해서 나주를 중심으로 살펴볼 기회가 있었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호남초토영 문서, 일본 토벌대 기록 등 세가지 관점에서 살폈다. 한정된 자료이지만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당대의 사회상을 이해하고 시대정신을 읽어 보려 한 것이다.
『나주 동학농민혁명 재조명과 세계시민적 공공성구축』-자료구축을 중심으로-(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나주시, 2020.10.28.)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나주 동학농민혁명의 재조명』-나주학총서 2집-(나주시, 2022)에 실었다. 이 글의 맺음말에 일부 자료를 덧대어 옮긴다.
본고는 동학농민혁명군이 피체되어 나주로 압송당한 내용과 포살이나 처형 등 학살 당하여 순국(殉國)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피체’와 ‘순국’이라는 용어를 써야 할 것 같다. “보국안민(輔國安民)” 용어와 관련해서이다. “동학(東學)”과 관련해서는 ‘순도(殉道)’도 검토할만하다. 진전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이 글에서는 학술대회 때 발표 제목을 그대로 쓴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된 동학농민군은 모두 3,696명이다. 이 가운데 1894년 당시 전라도 56관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나주를 중심으로 살폈다. 군현 단위로 가장 많은 곳은 장흥으로 386명이고 나주가 254명으로 두 번째로 많다.
<표 1> 조선후기 전라도의 군현 편제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누리집 참고하여 정리, 2022.10.20)
구분 | 府尹 (종2품) |
牧使 (정3품) |
都護府使 (종3품) |
郡守 (종4품) |
縣令 (종5품) |
縣監 (종6품) |
계 | |||||||
군현 | 참여 | 군현 | 참여 | 군현 | 참여 | 군현 | 참여 | 군현 | 참여 | 군현 | 참여 | 군현 | 참여 | |
전라좌도 (호남좌도) |
광주 | 59 | 장흥 | 386 | 보성 | 67 | 창평 | 14 | 광양 | 134 | ||||
능주 | 25 | 남원 | 128 | 순창 | 25 | 용담 | 6 | 임실 | 84 | |||||
순천 | 68 | 낙안 | 8 | 흥양 | 37 | |||||||||
담양 | 16 | 구례 | 15 | |||||||||||
운봉 | 15 | |||||||||||||
화순 | 15 | |||||||||||||
무주 | 13 | |||||||||||||
장수 | 12 | |||||||||||||
곡성 | 12 | |||||||||||||
동복 | 10 | |||||||||||||
진안 | 10 | |||||||||||||
남평 | 7 | |||||||||||||
옥과 | 7 | |||||||||||||
소계 | - | - | 2 | 84 | 4 | 598 | 3 | 100 | 2 | 20 | 13 | 371 | 24 | 1,173 |
전라우도 (호남우도) |
전주 | 147 | 나주 | 250 | 익산 | 64 | 고부 | 85 | 금구 | 35 | 함평 | 97 | ||
제주 | - | 영광 | 41 | 만경 | 16 | 장성 | 92 | |||||||
금산 | 35 | 임피 | 10 | 태인 | 79 | |||||||||
김제 | 32 | 강진 | 82 | |||||||||||
여산 | 26 | 무안 | 74 | |||||||||||
영암 | 16 | 무장 | 72 | |||||||||||
진도 | 11 | 정읍 | 46 | |||||||||||
진산 | 9 | 부안 | 45 | |||||||||||
고창 | 48 | |||||||||||||
해남 | 41 | |||||||||||||
고산 | 33 | |||||||||||||
흥덕 | 24 | |||||||||||||
옥구 | 5 | |||||||||||||
함열 | 3 | |||||||||||||
용안 | 1 | |||||||||||||
대정 | - | |||||||||||||
정의 | - | |||||||||||||
소계 | 1 | 147 | 2 | 250 | - | - | 8 | 255 | 3 | 61 | 17 | 742 | 32 | 1,519 |
합계 | 1 | 147 | 4 | 334 | 5 | 662 | 11 | 355 | 6 | 106 | 30 | 1,113 | 56 | 2,692 |
나주 254명 가운데 출생연도가 확인된 사람은 72명이다. 나주권 전투 참전자는 63명, 나주로 압송되어 처형당한 동학농민혁명군은 9명이다. 순국 연도가 확인된 사람은 118명이다. 이 가운데 5명은 ‘1894년’, 1명은 ‘1895년’으로 연도만 확인된다. 1894년의 순국자는 86명으로 나주권 전투 참전자가 12명, 나주로 압송되어 처형 된 자는 74명이다.
나주 지역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순국’ 유형은 참전자는 전투 중에, 압송자는 처형당한 것이 대부분이다. 나주의 경우에는 참여자 등록 254명 가운데 처형자는 86명으로 33.9%에 이른다. 이 가운데 총살 67명, 처형 16명, 효수 1명, 화형 1명, 살해 1명 등이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된 3,696명 가운데 총살로 처형된 참여자는 641명으로 17.3% 비율인데 나주의 경우는 33.9% 비율로 두배나 높다. 날짜가 밝혀진 나주 압송자가 81명인데 이 가운데 66명, 81.4%가 같은 날 총살형으로 처형되어 순국하였다.
다음으로 호남초토영의 동학농민군 포착[포살] 관련 문서는 1894년 11월과 1894년 12월, 그리고 1895년 1월에 보고한 3종이 있다.
첫 번째 문서는 4월 6일부터 11월 26일까지의 동학농민혁명군 포살과 노획한 즙물, 전투에 참여한 출전 장령 성명질 등을 정리한 문서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나주 지역 내에서 동학농민혁명군의 접전에 대한 기록은 있었으나 포살 수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문서를 통해서 765여명의 동학농민군의 희생되었음을 처음 확인한 것이다.
4월 26일 무안 경계에서 생금 30명 중 3명 우진영 효경(梟警), 27명 자읍결과(自邑結果), 7월 5일 서문 포살 109명, 10월 21일 광주 침산, 사창 포살 23명, 11월 11일 적량 용진산 포살 21명, 11월 17일 수다면 호장촌 포살 86명, 천답사(踐踏死) 43명, 고막포교변 낙수사(落水死) 수백명, 11월 24일 금안면 남산촌과 이로면 하촌 포살 353명 등이다. 이 765여명의 희생자는 일본토벌대가 나주에 오기 전의 일이다. (*고막포의 ‘수백’을 최소단위인 ‘100명’으로 합산)
<표 2> 1894년 4월~11월 나주 지역 동학접전지 일자별 장소와 처형 순국 현황
일시 | 접전지 | 거리 | 右鎭官 梟警 | 砲殺 | 踐踏死 | 落水死 | 自邑結果 | 계 |
4. 6 | 무안계 | 서30리 | 3 | 27 | 30 | |||
7. 5 | 西門 | 109 | 109 | |||||
10.21 | 광주 砧山, 社倉 | 동 30리 | 23 | 23 | ||||
11.11 | 赤良 聳珍山 | 북 40리 | 21 | 21 | ||||
11.17 | 水多面 虎藏村 | 서 30리 | 86 | 43 | 129 | |||
古幕浦橋邊 | 數百 | 數百 | ||||||
11.24 | 金安面 南山村 伊老面 下村 |
북 10리 | 353 | 353 | ||||
계 | 3 | 592 | 43 | 數百 | 27 | 765 |
그리고 이 문서에는 1894년 4월~11월 나주 지역 동학농민혁명군이 소지한 즙물 현황을 알 수 있다. 동경대전이나 염주 등 교리류, 식기, 각항문축상자와 명록성책 등 문서류, 의류, 휴대용구, 천보총과 화약 등 무기류, 형벌구, 운송구, 각색기(各色旗)와 대기(大旗) 등 군례류, 농악기, 농기구 등 50종에 이른다.
<표 3> 1894년 4월~11월 나주 동학농민혁명군이 소지한 즙물 현황(호남초토영 노획즙물))
구분 | 종별 | 4.6. 무안계 |
5.7. 西門 |
10.21. 砧山, 社倉 |
11.11. 赤良 聳珍山 |
11.17. 水多面 虎藏村 |
11.17. 古幕浦橋邊 |
11.24. 金安面 南山村 伊老面 下村 |
교리 | 渠所謂東經大全 | 1 | ||||||
염주 | 5건 | 1 | 1 | |||||
詩傳 | 2 | |||||||
將鑑 | 1 | |||||||
책자 | 5권 | |||||||
식기 | 발우 | 7 | ||||||
문서류 | 각항문축상자 | 1 | ||||||
負擔箱子 | 1 | |||||||
문서축 | 1 | |||||||
명록성책 | 2 | |||||||
賊魁名牌 | 1 | |||||||
各項廢文通軸 | 2 | |||||||
통문축상자 | 1 | |||||||
印櫃 | 1 | 2 | ||||||
白紙 | 49속 | |||||||
의류 | 草綠明紬衾 | 1 | ||||||
紅苧兒小周衣 | 1 | |||||||
靑木衾 | 1 | |||||||
휴대용구 | 帒連 | 1 | ||||||
皮紙匣 | 1 | |||||||
鉢囊 | 3 | 2 | ||||||
무기류 | 衫丁 | 1 | ||||||
총 | 11柄 | |||||||
조총 | 1 | 3 | 5 | 30 | ||||
천보총 | 1 | 1 | ||||||
창 | 2 | 2 | ||||||
화약 | 9근 | 1封 | 3봉 | |||||
연환 | 380개 | 300 | ||||||
片箭 | 660개 | |||||||
木丸砲 | 3 | |||||||
環刀 | 2 | 1 | ||||||
朱錫三枝槍 | 2 | |||||||
木弓 | 2 | |||||||
鐵鞭 | 1 | |||||||
형벌구 | 棍杖 | 2 | 1 | |||||
운송구 | 馬 | 16필 | ||||||
馬鞍 | 1 | |||||||
군례류 | 各色旗 | 11 | ||||||
大旗 | 1 | |||||||
令旗 | 1 | 1 | 2 | |||||
肅靜牌 | 1 | 2 | 3 | |||||
軍令板 | 1 | 1 | ||||||
稚長毛 | 5 | |||||||
농악기 | 鞭橙 | 1 | ||||||
鼓 | 2 | 2 | ||||||
鉦 | 1 | 3 | ||||||
喇叭 | 1 | 6 | ||||||
錚 | 3 | |||||||
농기구 | 推鐮 | 1 | ||||||
斧子 | 1 |
또 한가지 특기할 사항은 동학농민혁명군을 토벌하기 위해 초토군으로 나선 출전 장령 성명질이 전투지별로 기록되고 있다. 나주목의 수성군과 호남초토영군, 호장 등 이서집단, 면 의거소 영수 등 23종의 직임과 함께 성명이 기록되어 있다.
<표 4>1894년 4월~11월 나주 지역 동학접전지 출전 장령 직임 현황
일시 | 접전지 | 戶長 | 吏房 | 戶房 | 中軍 | 退校 | 座首 | 千摠 | 攔後別將 | 首校 | 討捕首校 | 將校 | 下吏 | 執事 | 公務軍官 | 좌별장 | 우별장 | 남문별장 | 哨官下吏 | 山砲手 | 千步隊長 | 別軍官 | 軍官 | 面義擧所領首 | 계 | |
4. 6 | 무안계 | |||||||||||||||||||||||||
7. 5 | 西門 | 1 | 1 | 1 | 1 | 1 | 1 | 1 | 7 | 1 | 1 | 1 | 1 | 1 | 17 | 1 | 37 | |||||||||
10.21 | 광주 砧山,社倉 | 1 | 1 | 1 | 1 | 1 | 2 | 7 | ||||||||||||||||||
11.11 | 赤良 聳珍山 | 1 | 1 | 1 | 1 | 1 | 1 | 7 | 1 | 2 | 7 | 23 | ||||||||||||||
11.17 | 水多面 虎藏村 | 1 | 1 | 1 | 1 | 1 | 4 | 1 | 15 | 25 | ||||||||||||||||
古幕浦橋邊 | ||||||||||||||||||||||||||
11.24 | 金安面 南山村 伊老面 下村 |
1 | 1 | 1 | 1 | 1 | 1 | 1 | 1 | 12 | 2 | 1 | 1 | 3 | 27 | |||||||||||
5 | 5 | 1 | 5 | 3 | 1 | 4 | 3 | 2 | 1 | 1 | 32 | 1 | 1 | 1 | 1 | 1 | 17 | 3 | 4 | 1 | 1 | 25 | 119 |
두 번째 문서는 12월 15일 경 작성한 문서로 12월 2일부터 12월 15일까지 17개 관에서 포착한 동학농민군의 수효와 처리과정을 기록한 문서이다.(규장각 소장) 유형을 살피면 착득포살(捉得砲殺)이나 임착포살(臨捉砲殺), 즉 잡으면 바로 포살하는 경우가 232명으로 가장 많고 임전포살 16명, 착득장살 3명, 효수가 5명이다. 경폐(徑斃)는 15명이다. 경군 장위대관(壯衛隊官)으로 압송된 농민군은 24명이다. 해당 고을의 감옥에 구금되는 경우는 142명으로 이 가운데 139명은 죄의 경중을 참작하여 처리하도록 했다고 적고 있다.
나주 관련 내용은 전라우영 4명, 나주 41명, 남평 10명 등 55명이 포착 되었다. 전라도 각읍 포착 농민군의 11.3%에 해당한다. 전라우영으로 압송된 동학농민혁명군은 33명이다. 17개 관 평균 29명을 상회하고 있다. 나주권 55명 가운데 포살 27명, 경폐 1명 등 사망이 29명이다. 나주권 포살 농민군 가운데 16명은 임전포살이다. 전라도 각읍 총 포착 486명 가운데 임착포살[착득포살]이 232명으로 47.4%에 이르는데, 나주만 임전포살이라는 점에서 나주 지역에서는 동학농민군과 나주수성군 사이에 전투가 치열하게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표 5> 1894년 12월 전라도 각읍의 동학농민군이 포착당한 현황
군현 | 鎭營押送 | 砲殺, 杖殺, 梟警 | 徑斃, 物故 | 京軍所押送 | 日軍[兵] | 牢囚該邑 | 계 | |||||||||||
梟首 | 使之分輕重酌處 | 使之嚴覈得情 | 徑斃 | 臨戰砲殺 | 捉得砲殺 | 捉得杖殺 | 梟警 | 徑斃 | 經訊後徑斃 | 押上中路徑斃 | 物故 | 砲殺 | 押去 | 仍囚 | 使之分輕重酌處 | |||
광주 | 1 | 3 | 6 | 3 | 2 | 2 | 17 | |||||||||||
담양 | 4 | 2 | 1 | 15 | 22 | |||||||||||||
동복 | 157 | 1 | 4 | 3 | 1 | 59 | 225 | |||||||||||
창평 | 1 | 11 | 12 | |||||||||||||||
화순 | 4 | 2 | 10 | 16 | ||||||||||||||
순창소모관 | 2 | 2 | ||||||||||||||||
함평 | 1 | 26 | 8 | 35 | ||||||||||||||
무안 | 2 | 6 | 18 | 26 | ||||||||||||||
능주 | 7 | 10 | 6 | 23 | ||||||||||||||
영광 | 10 | 3 | 10 | 23 | ||||||||||||||
무장 | 3 | 2 | 18 | 23 | ||||||||||||||
우진영 | 3 | 1 | 4 | |||||||||||||||
남평 | 5 | 5 | 10 | |||||||||||||||
망운목 | 4 | 4 | ||||||||||||||||
고창 | 2 | 1 | 3 | |||||||||||||||
나주 | 5 | 14 | 16 | 6 | 41 | |||||||||||||
계 | 1 | 21 | 14 | 1 | 16 | 232 | 3 | 5 | 1 | 10 | 3 | 2 | 24 | 1 | 10 | 3 | 139 | 486 |
세 번째 1895년 1월 보고문서(규장각 소장)는 1894년 12월에 보고하지 못한 3회(12.22., 12.25., 12.29)와 1월 3일부터 1월 22일까지 처리한 내용으로 16개관에서 모두 188명이 포착되었다. 남평, 능주, 동복, 무장, 함평 5개 군현은 1895년 12월 1896년 1월 등 2종의 문서에 함께 나타난다. 벽사역이 62명으로 가장 많고 광양 49명, 부안 18명, 능주 15명, 함평 12명 순이다. 나주권은 나주 우영 압송은 7명, 남평 3명이다.
유형을 살펴보면 해당 군현에서 착득(捉得)한 농민군이 63명으로 가장 많다. 그리고 해읍(該邑)에서 감옥 가두고 ‘죄의 경중을 참작하여 처리[使之分輕重酌處]’하는 경우와 ‘엄정하게 조사해서 실정을 알아서 처리[使之嚴覈得情]’하는 경우가 각각 3명과 33명이다. 경군으로 압송된 경우는 1894년 12월에 비해 늘어나 순영(巡營)과 선봉진(先鋒陣)이 보인다. 특히 벽사역에서는 우선봉의 지시에 따라 39명이 포살된다.
<표 6> 1895년 1월 전라도 각읍의 동학농민군이 포착당한 현황
군현 | 鎭營押送 | 砲殺 | 徑斃 | 京軍 | 召募所押去 | 日軍所[兵] | 牢囚該邑獄 | 계 | ||||||||||||
使之分輕重酌處 | 使之嚴覈得情 | 臨戰砲殺 | 捉得砲殺 | 捉得物故 | 經訊後徑斃 | 押上中路徑斃 | 砲殺 | 押送 | 巡營 | 先鋒陣 | 砲殺 | 梟警 | 押去 | 捉得 | 使之分輕重酌處 | 使之嚴覈得情 | 懲放 | |||
광양 | 49 | 49 | ||||||||||||||||||
무장 | 1 | 1 | ||||||||||||||||||
부안 | 2 | 3 | 1 | 3 | 9 | 18 | ||||||||||||||
금구 | 5 | 5 | ||||||||||||||||||
장성 | 1 | 1 | ||||||||||||||||||
능주 | 1 | 4 | 8 | 1 | 1 | 15 | ||||||||||||||
남평 | 1 | 2 | 3 | |||||||||||||||||
만경 | 1 | 1 | ||||||||||||||||||
동복 | 2 | 2 | ||||||||||||||||||
함평 | 1 | 11 | 12 | |||||||||||||||||
보성 | 3 | 3 | ||||||||||||||||||
무주 | 5 | 5 | ||||||||||||||||||
법성진 | 2 | 3 | 5 | |||||||||||||||||
벽사역 | 39 | 1 | 22 | 62 | ||||||||||||||||
경양역 | 1 | 1 | ||||||||||||||||||
임자진 | 5 | 5 | ||||||||||||||||||
계 | - | 7 | 1 | 4 | 1 | 2 | 3 | 5 | 40 | 1 | 3 | 63 | 3 | 33 | 23 | 188 |
일본 동학토벌대로 동학농민혁명군 학살에 참여했던 일본군 후비보병 부대의 쿠스노 비요키치[楠美代吉] 상등병이 남긴 『종군일기』는 1894년 7월 23일부터 1895년 12월 9일까지의 일기이다. 체포한 동학농민군을 현장 ‘총살’, ‘돌살(突殺)’과 ‘타살(打殺)’, ‘소살(焼殺)’을 자행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같은 학살 방법은 역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잔인성이 있다.
동학토벌대에 의한 동학농민군의 희생은 전체 1,600명 이상이고 체포구금이나 추방을 제외 하면 1,300명 이상이 처형되거나 전사한다. 이 가운데 총살은 900여명에 이른다. 소살은 46명, 돌살은 7명, 타살은 51명이다. 전사는 328명으로 집계 된다. 나주의 경우는 1895년 2월 4일에서 2월 7일 사이 머무는데 남문 부근의 작은 산에 시체가 산을 이룬다고 적고 있다. 장흥 전투(1.8.~1.10)의 중죄인을 죽인 것이 매일 12명씩 103명을 넘었다고 하였다. 시체를 버린 것이 680명이라 하여 수치상으로 783명이 학살된 현장을 기록하고 있다. 2월 6일에는 동학농민전쟁이 진정되기에 이르러 토벌대의 장교와 병사들이 조선군대와 나주목사가 참여하는 이별회를 하는 내용을 적고 있어 학살의 주체를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이 글이 앞으로 경군이나 일본군의 문서, 유학자 등의 기록과 비교 검토하여 동학농민혁명군의 희생과 순도(殉道), 순국(殉國)에 대해서 더 자세히 밝힐 수 있는 한 계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출전 : 김희태, 「동학농민혁명군의 나주로의 압송과 처형」, 『나주 동학농민혁명의 재조명』-나주학총서 2집-,나주시, 2022, 127~157쪽.
* 이 글은 『나주 동학농민혁명의 재조명』-나주학총서 2집-(나주시, 2022, 127~157쪽) 3부에 실린 ‘나주 동학농민혁명군 관련 연표와 참여 인명록’(347~368쪽), ‘나주 동학농민혁명기 호남초토영군 출전장령성명질(出戰將領姓名秩)’(369~381쪽)과 관련이 있음으로 참고 바란다.
*<표 1> 군현별 등록 참여자(위 논문 126쪽) 가운데 능주는 현령에서 목사로, 여산은 군수에서 부사로 수정하였다.(이재두님 제보, 2023.12.18./2024.04.24.)
'인지의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의 즐거움319 - 나주 동학농민혁명 관련 문화유산 활용방안 (2) | 2023.12.04 |
---|---|
인지의 즐거움318 -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단상 (2) | 2023.12.04 |
인지의 즐거움316 - 1881년 돌에 새긴 윤음, 장흥 향교 앞 척사윤음비 (1) | 2023.12.03 |
인지의 즐거움315 - 강진 남강사 주자갈필 목판, 경재잠(敬齋箴)과 대우수전(大禹手篆) (1) | 2023.10.25 |
인지의 즐거움314 - 강진 남강서원, 우암 송시열과 손재 박광일 배향 (1)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