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학통신 484

문화재통신 - 화살통과 장식칼로 엿보는 고대 한·일 대외교류 학술대회, 9.14. 나주

문화재통신 화살통과 장식칼로 엿보는 고대 한·일 대외교류 학술대회, 2018.9.14. 나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고대 한‧일의 화살통과 장식칼’ 학술대회 개최- 9월 14일 오후 1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내 대회의실에서 ‘고대 한‧일의 화살통과 장식칼’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가 열렸다. 2014년 금동신발과 화살통, 장식칼 등이 발견되어 화제가 됐던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 대한 심화연구를 위한 학술마당이었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박종익) 주최. 나주 정촌고분에서는 2014년 발굴조사 때 고대사회 수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금동신발이 화살통‧장식칼 등과 함께 나온 바 있다. 화살통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를 비롯해 중국 일부지역과 일본 지역의 수장급 무덤 대부분에서 확인되고 있어 ..

향토학통신 2018.09.13

향토학통신 - 조선 말기의 강진 풍경, 강진 다산학당 강좌, 9.17.월 10:30

향토학 통신 조선 말기의 강진 풍경-사람, 기록, 유산, 경관- 다산학당 명사초청 대중강연회-내고장 알기, 찾아가는 향토사강좌- 강사 : 김희태(문화재전문위원) 일시 : 2018.9.17.월 10:30 장소 : 강진 농협 농자재마트2층 내용 1. 오남 김한섭과 경회 김영근 2. 오남 김한섭과 사복재 송진봉·직..

향토학통신 2018.09.12

문화재통신 -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 선정 ; 2019년 1월 신청서 제출

문화재통신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 선정 - 2019년 1월 유네스코에 등재신청서 제출 예정 - 「한국의 갯벌」이 8월 17일 열린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회의에서 2019년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으로 선정됐다. 「한국의 갯벌」은 서천 갯벌..

향토학통신 2018.08.21

향토학통신 - 남도민속학회 230회 월례학술 ; 민속음식을 보는 두 가지 시선, 8.25(토)13:00 강진 백운동

향토학통신 남도민속학회 제230회 월례학술발표회 민속음식을 보는 두 가지 시선 2018. 8. 25(토) 오후 1시, 강진 백운동정원 풍경 하나. 묵은쌀 째까 있는디 그놈으로 술 당그면 졸텐디. 강진 김정례(90) 할머니의 말씀이다. 그런 생각은 지금 해 봤자 멋 한다요. 술 맹글 시간 애끼고 사다가 ..

향토학통신 2018.08.20

향토학통신 - 영광 법성진 사적 지정 학술세미나 2018.07.19. 14:00 영광 예술의전당

향토학통신 - 영광 법성진 사적 지정 학술세미나 일시 : 2018.07.19. 14:00 장소 : 영광 예술의전당 소공연장 - 법성진의 연혁과 특징 : 고용규 - 법성진성 발굴조사 현황과 복원 : 최인선 - 법성포 단오제의 가치와 정체성 : 나경수 - 법성진 사적지정과 활용계획 : 김희태 - 토론 : 좌장 최..

향토학통신 2018.07.18

문화재통신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06.30, 대흥사, 선암사 등 7개소

문화재통신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대흥사, 선암사 등 7개소 -우리나라 13번째 세계유산,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지난 6월 24일부터 바레인 마나마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42차 세계유산위..

향토학통신 2018.06.30

향토학통신 - 남도민속학회 제228차 월례학술발표회 - 6.29. 13:00 /김희태 전문위원 정년기념 학술좌담회

향토학통신      남도민속학회 제228차 월례학술발표회 - 6.29. 13:00 /김희태 전문위원 정년기념 학술좌담회   물 냄새 비가 오려나 보다 나뭇잎 쏠리는 그림자 바람결 따라 흔들리고 애기 똥풀에 코를 박은 모시나비 지상은 지금 그리움으로 자욱하다   허형만의 시 ‘초여름’이다. 봄이 이르다 싶었는데, 세월이 이리 빠르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전남도청에서 문화재업무를 전담하던 김희태 전문위원이 정년을 맞이한다. 고락을 같이한 지인들이 모인다. 주제는 “문화재 보존과 정책, 그 현장과 전망”이다. 김위원이 “문화재조사연구와 보존관리 정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기조강연을 하고 무형ㆍ민속분야, 유형ㆍ기념물분야, 문화유산활용분야의 제 전문가들이 좌담회를 연다. 발표자만..

향토학통신 2018.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