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국가유산 331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고시, 2024.10.0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고시, 2024.10.04. □ 문화재명 :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海南 防築샘과 重修碑)○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제386호]○ 지 정 일 : 2024.10.04.○ 소 재 지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688○ 수 량 : 우물 1기, 비석 5기○ 시 대 : 조선후기○ 소유자/관리자 : 해남군○ 지정 사유 - 조선후기부터 근현대 이르기까지 사용되어 온 중요한 생활 유적 - 우물의 중수연대와 참여자를 알 수 있어 지역사와 우물 연구에 중요한 자료

새국가유산 2024.10.1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2024.10.0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고시, 2024.10.04. ○ 문화유산명 :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海南 南川橋 및 漁城橋 重修碑와 聽流亭 標石)○ 소 재 지 : 전남 해남군 해남읍 군청길 4○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제387호]○ 지정고시일 : 2024.10.04. ○ 수 량 : 중수비 2기, 표석 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 해남군○ 지정 예고 사유-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 과정과 연혁을 알 수 있어 지역사 자료로서 가치가 큼. - 18세기 교량과 역사지명을 알 수 있어 기록유산으로서 매우 중요함.

새국가유산 2024.10.1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전남 문화유산 변경지정 예고, 강진 윤복신도비와 영모당, 곡성 유팽로 정열각, 진도 칠전리 학계 철비와 노암재 외, 2024.10.04.

새국가유산(문화유산) 전남 문화유산 변경지정 예고, 강진 윤복신도비와 영모당, 곡성 유팽로 정열각, 진도 칠전리 학계 철비와 노암재 외, 2024.10.04.연번종별당초종별변경명칭주소지정면적(㎡)명칭주소지정면적(㎡)지적지정지적면적1기념물강진 윤복신도비용흥리산 23-2377,005300기념물강진 윤복 신도비와 영모당계11,68011,680용흥리 산23-2310,67810,678용흥리1611,0021,0022기념물진도 칠전리학계철비의신면칠전길 28-52645645기념물진도 칠전리학계철비와노암재의신면칠전길 28-526456453기념물용산재 및 덕양사계2,3442,344기념물곡성 신숭겸유적계3,4272,344목사동면 구룡리 180443443목사동면 구룡리 180443443오곡면덕산리 361,9011,901오곡면..

새국가유산 2024.10.13

새국가유산(자연유산) - 여수 영취산 흥국사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4.09.09

새국가유산(자연유산) 여수 영취산 흥국사 일원, 명승 지정 예고, 2024.09.09 여수 영취산 흥국사 일원은 영취산의 기암괴석과 진달래 군락지가 어우러져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도 벚나무 군락지와 남해안 다도해 해상 풍경 및 여수반도 전체가 조망 되어 높은 생태적 경관적, 가치를 지님. 영취산 기슭에 위치한 흥국사(興國寺)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흥국의 염원을 담고 있는 호국불교의 상징적 장소로 보물 「여수 흥국사 대웅전」, 「여수 흥국사 홍교」 등 다수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취산의 지형경관과 어우러져 자연식생군락이 잘 보존되어 있어 높은 역사문화적 가치와 학술적 가치를 갖춘 곳임. ※ 근거기준 「자연유산법 시행령」 별표2 -명승 지정기준 제1호 가목1) 종교, 사상, 전설, ..

새국가유산 2024.09.11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화순 용암사 목조보살좌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화순 용암사 목조보살좌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화순 용암사 목조보살좌상(和順 聳巖寺 木造菩薩坐像)○ 소 재 지 : 전남 화순군 한천면 용암길 149, 용암사○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1구○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용암사○ 지정 예고 사유- 조선후기 대표 조각승인 색난파 작품으로 조각기법과 예술성이 뛰어남.- 조선후기 불상 조성 흐름과 특징을 알 수 있어 불교사 및 조각사적 가치 큼.

새국가유산 2024.09.0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해남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비와 청류정 표석(海南 南川橋 및 漁城橋 重修碑와 聽流亭 標石)○ 소 재 지 : 전남 해남군 해남읍 군청길 4○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중수비 2기, 표석 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관리자 : 해남군○ 지정 예고 사유- 남천교 및 어성교 중수 과정과 연혁을 알 수 있어 지역사 자료로서 가치가 큼. - 18세기 교량과 역사지명을 알 수 있어 기록유산으로서 매우 중요함. 남천교 중수비 청류정 표석

새국가유산 2024.09.0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해남 방죽샘과 중수비(海南 방죽샘과 重修碑)○ 소 재 지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688○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우물 1기, 비석 5기○ 시 대 : 조선시대(후기)○ 소유자/관리자 : 해남군○ 지정 예고 사유- 조선후기부터 근현대 이르기까지 사용되어 온 중요한 생활 유적.- 우물의 중수연대와 참여자를 알 수 있어 지역사와 우물 연구에 중요한 자료.

새국가유산 2024.09.0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여수 한산사 지장시왕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여수 한산사 지장시왕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여수 한산사 지장시왕도(麗水 寒山寺 地藏十王圖)○ 소 재 지 : 전남 여수시 구봉산길 114 한산사○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1점○ 시 대 : 조선시대(1724년)○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한산사○ 지정 예고 사유- 불화의 색감, 인문의 표현, 유려한 필치등 18세기 전반 불화 특징 잘 보여줌. - 조성연대와 봉안처, 참여자 들이 확인되어 불교사 및 미술사적 가치가 큼.

새국가유산 2024.09.0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순천 금룡사 소장 지장보살본원경,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새국가유산(문화유산) 순천 금룡사 소장 지장보살본원경,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8.08. ○ 문화유산명 : 순천 금룡사 소장 지장보살본원경(順天 金龍寺 所藏 地藏菩薩本願經)○ 소 재 지 : 전남 순천시 해룡면 복성길 95-13, 금룡사○ 지정종별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예고일자 : 2024.08.08 ○ 수 량 : 1책○ 시 대 : 조선시대(1558년)○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금룡사○ 지정 예고 사유- 임진왜란 이전 간행본이자 간행처, 간행질을 통해 참여자와 간행 장소 등을 알 수 있음.- 조선전기 지장신앙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불교문화사와 서지학적 가치가 높음.

새국가유산 2024.09.03

새국가유산(문화유산) - 장흥 수의봉 위원량 망곡 암각시문, 전라남도 기념물 지정 예고, 2024.08.01.

새국가유산(문화유산) 장흥 수의봉 위원량 망곡 암각시문, 전라남도 기념물 지정 예고, 2024.08.01. ○ 문화유산명 : 장흥 수의봉 위원량 망곡 암각시문(長興 守義峯 魏元良 望哭 岩刻詩文) ○ 지정종별 : 전라남도 기념물 ○ 지정예고일자 : 2024.08.01. ○ 소 재 지 : 장흥군 부산면 내안리 산27-1(지정예정구역 400㎡) ○ 시 대 : 근대(1910년) ○ 수량/크기 : 일원/가로 85cm * 세로 50cm ○ 소유자(관리자) : 장흥군수 ○ 지정예고 사유 - 1910년에 회은 위원량(晦隱 魏元良, 1882~1945)이 한일병탈로 인한 국망(國亡)의 통한을 칠언절구에 담아 수의봉[守義峯, 수리봉[鷲峰]에 북향으로 새긴 암각문임. - 북향으로 새긴 암각문과 관지의 “망곡서(望哭書)”는 북..

새국가유산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