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의 즐거움

인지의 즐거움271 - 자연환경과 문화가 녹아 든 현재의 특산물-지리적 표시제, 중요농·어업유산-, 특산물2

향토학인 2022. 6. 2. 04:10

인지의 즐거움271

 

자연환경과 문화가 녹아 든 현재의 특산물

-지리적 표시제, 중요농·어업유산-, 특산물2

 

김희태

농축산물, 수산물, 임산물 - 지리적 표시 등록 제도

 

지리적표시 등록제도는 농축산물, 수산물, 임산물의 품질이 해당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비롯된 경우에 지리적표시를 등록하여 보호하여 지역 특산물 또는 가공품의 품질을 향상하고 지역 특화 산업으로 육성을 꾀하는 제도이다.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이 모법이며, 소금산업 진흥법, 전통주 등의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이 관련되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 산림청장이 지리적 표시 관리 기관장이다.

 

농축수산물은 원료 농산물과 농산물 가공()으로 나눌 수 있는데 2002125일에 등록된 보성 녹차가 1, 현재(20227)까지 106호가 등록되었다. 전북은 7, 전남은 27종 등 34종이 등록되었다. 수산물은 2009225일 보성벌교 꼬막이 등록된 이후 25호가 등록되었다. 전북 1, 전남 22종 등 23종이 등록되었다.

 

임산물은 2006327일 등록된 양양송이 이후 56호가 등록되었다. 전북 6, 전남 8종 등 14종이 등록되었다. 지역 특산물이 기반이 되어 등록된 지리적 표시제는 모두 187종인데 이 가운데 전라도는 71품목이 등록되어 38%에 이른다.

 

<> 전라도 특산물의 지리적 표시제 시군별 종별 목록

시군 농축산물 수산물 임산물
전북 고창(2) 복분자주, 복분자    
군산(2) 찰보리쌀,    
남원(1)   미꾸라지  
무주(6) 사과   머루, 머루와인, 천마, 호두, 오미자
부안(1) 오디    
순창(1) 전통고추장    
장수(1)     오미자
소계(14) 7 1 6
전남 고흥(8) 유자, 한우, 석류, 마늘 미역, 다시마, ,  
곡성(1) 토란    
광양(2) 매실   백운산 고로쇠수액
구례(1)     산수유
나주(1)    
담양(2) 딸기   죽순
무안(2) 양파, 백련차    
보성(4) 녹차, 삼베, 웅치 올벼쌀 벌교꼬막  
순천(1)   순천만 가리맛조개  
신안(2)   , 전복  
여수(5) 돌산 갓, 돌산 갓김치, 거문도 쑥 , 여자만 세꼬막  
영광(3) 고추, 고춧가루, 모싯잎송편    
영암(2) 무화과   대봉감
완도(5)   전복, 미역, 다시마, , 넙치  
장흥(4)   키조개, , 매생이 표고버섯
진도(6) 홍주, 대파, 검정쌀, 울금 전복 구기자
함평(1) 한우    
해남(4) 겨울 배추, 고구마 , 전복  
화순(2)     작약, 목단
소계(57) 27 22 8
합계(71) 34 23 14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 제도도 있는데 상표법상에 따라 특허청이 지역 특산품의 명칭을 권리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장흥표고버섯이 2006년에 처음 등록된 뒤로 2016년 기준 332건이다.

 

주요 품목을 보면, 고창복분자주, 군산찹살보리쌀, 남원목기, 남원지리산고로쇠수액, 무주머루, 무주머루와인, 무주사과, 무주천마, 봉동생강[완주], 전주비빔밥, 순창고추장(전북), 강진청자, 고흥유자, 고흥유자차, 구례산수유, 영암무화과, 보성녹차, 장흥표고버섯, 진도홍주(전남) 따위이다.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에 다른 지리적 표시제가 특산물의 품질에 관한 것이라면, 상표법상에 의한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 제도는 특산품의 명칭에 관한 것이라 하겠다.

 

농업유산과 어업유산, 산수유농업과 뻘배 어업

 

국가중요농업유산은 농업인이 해당 지역의 환경·사회·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 온 유형·무형의 농업자원 가운데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지정한 농업유산을 말한다. 2013년에 청산도 구들장논[완도]을 시작으로 15호까지 지정되었다.

 

전북은 부안 유유동 양잠농업, 완주 생강 전통농업시스템, 전남은 청산도 구들장 논, 구례 산수유농업, 담양 대나무밭, 보성 전통차 농업시스템, 장흥 발효차 청태전 농업시스템 등 7개소가 등재되었다.

 

부안 양잠, 완주 생강, 구례 산수유, 담양 대나무, 보성 전통차, 장흥 청태전 등 지역 특산물의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완도 청산도 구들장논은 생산 시설에 관한 것이고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등재하는 세계중요농업유산에 올라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고유의 유형·무형 어업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가 2015년부터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유산을 말한다. 9종목이 지정되었는데 보성 뻘배어업, 신안 갯벌 천일염업,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등 전남의 보성 꼬막, 신안 천일염, 완도 김, 신안 낙지 등 전라도 4개 지역의 특산물 관련 어업이 지정되었다.

 

토산물이 기반이 되는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3대 이상 전승되어 온 전통 공예나 직물, 향토음식 등에 대하여 문화재청장이나 시·도지사가 지정하는 제도이다. 종목 지정과 보유자(인간문화재) 인정을 하는 제도로 특산물과는 거리가 있는 듯 하지만, 그 기반이 되는 것은 지역의 토산자원이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에 도입되어 1964년부터 종목 지정과 보유자 인정을 하고 있다. 국가지정무형문화재와 시·도지정무형문화재(지방문화재)가 있다.

 

국가지정무형문화재는 백동연죽장, 윤도장, 한지장, 선자장(이상 전북), 나주 샛골나이(무명베짜기), 곡성 돌실나이(삼베짜기), 낙죽장, 채상장, 장도장, 제와장, 옥장, 염색장, 소반장(전남) 11종목이다.

 

·도지정무형문화재는 필장, 청자도공, 악기장, 화류소목장, 대목장, 나전칠장, 남도의례음식장(이상 광주), 향토술담그기(이강주, 죽력고, 송화주), 선자장(단선, 태극선, 합죽선), 목기장, 악기장(단소, , 장구, 거문고, 가야금), 옻칠장, 목가구(소목장), 침선장, 죽염제조장, 사기장(청자), 대목장, 한지발장, 지장, 석장, 전통음식(전주비빔밥), 불교목조각장, 방짜유기장, 우산장(지우산), 전주 나전장, 전주 낙죽장, 부거리옹기장, 진안고원형옹기장, 민속목조각장, 색지장, 지승장, 전주배첩장, 야장, 여산 호산춘(전북), 광양궁시장, 나주반장, 참빗장, 담양죽렴장, 해남진양주, 진도홍주, 청자장, 옹기장, 전남의례음식장, 낙죽장, 보성 강하주, 담양 선자장(접선장), 악기장, 조선장, 초고장(전남) 50종목이다.

 

지리적 표시제로 등록된 장흥 토산의 역사 기록 향심(표고버섯), 해의() 매산(매생이)(신증동국여지승람 장흥 토산조, 1530)

장흥 표고버섯(사진 엄길섭)

장흥 매생이 채취 어업(사진 엄길섭)

지리적 표시제로 등록된 무주 토산의 역사 기록 오미자(신증동국여지승람 무주 토산조, 1530)

지리적 표시 등록된 무주 오미자

지리적 표시제로 등록된 영암 토산의 역사 기록 (, 대봉감)(신증동국여지승람 영암 토산조, 1530)

영암 금정 대봉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