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학통신

향토학통신 - 신간 ; 경회당 김영근(1865~1934)의 저술, 《증보역주 경회집(景晦集)》(전5권) 발간 - 출판 고유제, 강진 칠량면,

향토학인 2024. 4. 21. 08:13

향토학통신 신간
 

경회당 김영근(1865~1934)의 저술, 《증보역주 경회집(景晦集)》(전5권) 발간
-증보역주 경회집 발간 고유제, 강진 칠량면, 2024.04.21-

 
저자 김영근, 역주 안동교‧장안영‧조일형‧서한석, 일상출판
 
《증보역주 경회집(景晦集)》 은 조선말기 위정척사와 구국 활동에 헌신했던 강진 출신 유학자 경회당(景晦堂) 김영근(金永根, 1865~1934)의 시(1527수)와 서(序), 명(銘), 비(碑)를 비롯해 편지와 일기, 잡저(雜著)까지를 총 망라한 유고문집 증보 역주본이다.
 
시문과 경학, 예학에 뛰어났던 경회 김영근의 유고는 1950년 한국전쟁 때 멸실되었는데, 그의 문인과 후손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유문을 모아 1987년에 《경회집(景晦集)》으로 영인하였다. 이를 저본으로 하여 2010년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국역 경회집》을 간행하였다.
 
이후 《경회집(景晦集)》에 포함되지 않은 경회당의 마지막 초고 《경회당원고(景晦堂原稿)》를 포함하여, 방대한 양의 유고가 후손(증손 김환균 등)에 의해 10년에 걸쳐 다시 한번 발굴, 수습되었다.
 
이번 《증보국역 경회집(景晦集)》은 《경회집(景晦集)》에 새로운 글들을 증보하여 번역 작업을 시작한 지 6년 만에 문집 형태로 정리, 정본화한 것이다.
 

증보역주 경회집 발간 고유제, 2024..04.21. 일

10:00 심어당 김도순공(경회당 선고, 금갑진 만호 역임) 묘역 참배-장흐군 회진면 진목리 산245
11:00 경회집 출간 고유제, 강진군 칠량면 현평리 산14 경회당 묘소
12:10 식사(강진, K-스테이 호텔 뷰페)
13:30 김충식 선생 묘소 참배(강진군 병영면)
 
 
10년에 걸친 자료 수집과 6년에 걸친 국역·정본화 작업의 결과물!
 
《증보국역 경회집(景晦集)》은 10년에 걸친 자료 수집, 한국학호남진흥원 안동교 박사를 비롯한 번역진의 6년에 걸친 국역과 정본화 작업의 결과이다. 여러 필사본들을 일일이 대조하여 오류를 바로잡고, 전라남도의 강진과 장흥, 해남, 영암, 신안군 지도, 경기도 양평과 포천 등 관련 지역을 답사하고 취재하며 역사적 사실들을 검증하였다.
 
또 경회당과 교유하고 함께 활동했던 인물들의 생애를 추적하여 충실하게 주석함으로써, 글의 의미를 엄밀하게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당시 지식인들의 사상의 지도를 입체적으로 그려내었다.
 
독립운동사의 권위자인 박민영 박사가 집필한 해제는, 시문에 뛰어난 문인이라는 기존의 평가를 넘어, 독립운동사의 관점에서 실천적 유학자로서의 면모를 제시해 준다.
 
망국의 선비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증보국역 경회집(景晦集)》을 통해 독자들은, 경회당의 생애, 학문과 사상뿐만 아니라 조선말기로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우리 역사의 어두웠던 시대에 유림을 비롯한 지식인들이 망국이라는 비극을 당하여 의리와 출처의 문제를 어떻게 생각했으며, 국권 회복을 위해 무엇을 고민하고 어떤 활동을 했는가를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증보국역 경회집(景晦集)》은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도공의소’라는 유림조직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했는가 하는 묵직한 연구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경회당 김영근은 전라도 강진에서 태어난 조선말기-일제강점기의 유학자이다. 명민한 자질을 타고났던 그는 경학, 예학, 역사에 정통했고, 시문에도 뛰어났다.
 
오남(吾南) 김한섭(金漢燮, 1838~1894)과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1819~1891) 두 문하에서 수학하여, 춘추대의적 의리와 명분을 금과옥조로 삼고 존화양이·위정척사의 학문과 사상을 깊이 체득한 화서학파의 적전(適傳)으로 평가된다.
 
국권이 피탈되던 시기에는 두 번에 걸쳐 중국 간도에 망명, 국권 회복을 모색하였으며, 1919년 3·1운동 이후에는 이상규(李相珪), 이상천(李相天) 형제 등 홍주 의병 계열의 인물들과 조재학(曺在學) 등 최익현 계열의 의병 세력, 정안립(鄭安立) 등 만주에서 활동하다 남하한 세력 등과 연합하여 전국적 유림 조직인 인도공의소(人道公議所)를 결성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으로 활동이 여의치 않자, 전라도 강진군 칠량면 현평리에 칩거하여 후학들을 교육하고 민족혼을 일깨우는 저술을 하면서 여생을 보냈다.

목차
〈1권〉
ㆍ  발간사 | 강진군수 강진원
ㆍ  《증보역주 경회집》 해제 | 박민영
 
1. 부(賦)
2. 오언고시(五言古詩)
3. 오언절구(五言絶句)
4. 오언율시(五言律詩)
5. 육언시(六言詩)
6. 칠언고시(七言古詩)
7. 칠언절구(七言絶句)
 
〈2권〉
1. 칠언율시(七言律詩
2. 잡체시(雜體詩
 
〈3권〉
편지[書] 1
편지[書] 2
편지[書] 3
편지[書] 4
편지[書] 5
편지[書] 6
 
〈4권〉
1. 서문[序]
2. 기문[記]
3. 발문[跋]
4. 명(銘)
5. 찬(贊)
6. 상량문(上樑文)
7. 축문 및 고유문[祝文及告由文]
8. 제문(祭文)
9. 애사(哀辭)
10. 비(碑)
11. 묘갈(墓碣)
12. 묘지명(墓誌銘)
13. 묘표(墓表)
14. 행장(行狀)
15. 전기[傳]
16. 어록(語錄)
17. 유사(遺事)
18. 잡저(雜著)
 
〈5권〉
1. 경설(經說)
2. 원유일록(遠遊日錄)
 
부록(上)
- 유사(遺事)
- 만사(挽詞)
- 제문(祭文)
- 애사(哀辭)
- 두 스승이 준 글[兩師遺贈]
 
부록(下)
- 경회당 김해 김공 영근 의 행장[景晦堂金海金公 永根 行狀] | 이성우
- 경회당 김해 김공의 묘갈명[景晦堂金海金公墓碣銘] | 이성우
- 경회당 연보(景晦堂 年譜)
- 문인록(門人錄)
- 《증보역주 경회집》 발간에 부치는 글 | 김희태
- 편역 후기 | 안동교
- 찾아보기(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