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학통신

향토학통신 - 1798년 광주목 과거시험[道科] 강좌, 2025.03.05.

향토학인 2025. 3. 5. 01:17

향토학통신
 
1798년 광주목 과거시험[道科] 강좌, 광주전남사료조사위원협의회, 2025.03.05.
 
일시 : 2025.03.05.(수요일) 강좌 11:30 / 답사 -송월당 유물관 13:00
*정기총회 11:00 *12:10 점심식사
장소 : 양산동 백년한우 회의관(북구 연양로 67번길 5)
 
주제 : 1798년 광주목 과거시험[道科]
강사 : 김희태
 
주최 : 국사편찬위원회사료조사위원광주·전남협의회(회장 박정하, 사무처장 김천식)
협조 : 하동정씨 송월당공파 양지문중(고문 정환동, 회장 정윤철, 총무 정덕규)
 
참석 
김기홍(고문), 김학근(고문), 이종일(고문)
박정하(회장), 윤여정(부회장), 최성은(부회장)
나홍채(감사), 김천식(사무처장), 최순희(사무차장)
김상찬(운영위원), 변동강(운영위원)
김인창, 김태영, 김희태, 문의식, 임성춘, 이종인
 

1798년 광주목 도과 어제(御製) 시제(試題)(담양 면앙정 현판)
1798년(정조 22) 광주목 도과 어고방(御考榜/정조임금이 채점한 합격자 명부, 69명 응시, 53명 합격)(광주역사민속박물관 소장, 길이 28.2m)

 

1798년 광주목 도과 어고 시권(詩/荷輿俛仰亭)(광주 상산김씨 김재박, 개인 소장)

-시해(詩解)에 면앙정에서 가마를 메는 회방연에 기대승도 참여한 것으로 나오는데, 기대승은 당시 별세한 이후였다. 그런데 김재박의 시권에 고경명과 기대승의 자(字)인 이순(而順, 고경명)과 명언(明彦, 기대승)이 나온다. (위 시 5행 6행). 이로 미루어 보면 시해에 기대승이 나온 것은 오류라기 보다는 호남선비의 상징성 차원에서 정조임금이 어제(御製) 시제(試題)를 할 당시에 들어 갔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송월당유물관(하동정씨 송월당 정윤길 1798년 어고 시권(賦, 策問) 등 전시, 북구 자라봉로 15/양산동 125-5)
 

1798년 광주목 도과 어고 시권(賦/將軍樹)(정윤길, 송월당유물관)

 

응시자응시과목 평가본관거주
奇商履三下    幸州광주
奇學敬三下 草三下 草三下幸州광주
金相徽三中 次上 次上光山장흥
金在博三上 草三下  商山광주
金致福次上  次上 光州광주
金致儀次上 草次上  光州광주
朴定源三中  三中魁次上潘南나주
朴宗民二下一  三中 潘南나주
朴宗學三上  三下 潘南나주
朴重源次上 三下  潘南나주
朴孝德三中    忠州광주
申輔權次上 草次上  高靈순창
楊得熙次上 草次上  南原순창
楊宗楷三上一    南原순창
尹 㥠次上  草次上草三下海南보성
尹致彥次上  草次上次上南原순창
李一成三中   次上延安순창
李志文三下    全義광주
林煥遠三上  三下次上羅州나주
鄭義燦次上    河東광주
鄭在勉次上  草三下草三下迎日창평
鄭胄煥二下  三下草三下迎日창평
韓啓斗次上    淸州순창

1798년 광주목 도관 시 과목 응시자 명록[초성의 가나다 순으로 정리]
-69명 증 23명이 시 과목 응시, 시권은 2점(김재박, 기은 종가 소장본[기상리로 추정])이 확인되었으나 기은 종가본은 <지산향토지리지>(2018)에 실렸으나 지금은 소재 확인이 어렵다. 문집에서도 1편(기학경, 겸재집)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자료를 찾고 알리는데 지혜가 모아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