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학통신

향토학통신 - 자료소개,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심경호 지음, 일조각, 2021

향토학인 2022. 7. 19. 13:05

향토학통신 - 자료소개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심경호 지음, 일조각, 2021.05. 960

 

들어가는 말

 

1부 비문과 문학 연구

1. 비문의 문학적 가치

2. 형성기의 석비문·비지문

3. 석비문·비지문의 발전과 문체미학

4. 석비문·비지문의 자료적 가치

(1) 일문 보충과 생애 사실 보완

(2) 인물 행적의 발굴

(3) 역사·문화 해석의 심화

(4) 학맥 혹은 법맥의 확인

(5) 교감 자료의 확장

5. 금석학과 문학 연구 방법론

6. 금석집첩의 탁본 자료

부록〉 『금석집첩금석속첩수록 탁본 2,081

 

2부 석비문·비지문 문체의 역사적 개관

1. 비문과 문체

2. 문언어법 산문의 석비문과 비지문 출현

(1) 고대 비문의 제행·산행 혼합

(2) 고대 비문의 문언어법 한문과 이두식 한문 혼용

(3) 지석의 단형 기서체 산문

(4) 매지권 형식의 잔존

3. 변문 투식 산문의 석비문과 비지문

(1) 신라문무왕릉지비

(2) 변문의 수용

(3) 사산비명

(4) 변문의 발달

4. 한국식(이두식) 한문의 비문

(1) 고대 비문의 이두식 한문

(2) 고려시대 비문의 이두식 한문

(3) 조선시대 한국식 한문의 활용

5. 비문의 용운

(1) 낙랑 비문의 용운

(2) 용운법의 수용

(3) 비명에서의 용운 중시

(4) 고려시대 압운 명() 양식의 발달

(5) 조선시대 비명의 용운과 유희

6. 고려와 조선의 비문 구조

(1) 행문의 첨삭

(2) 대론의 제시

(3) 평어·명과 일화의 조응

(4) 전고와 기실의 균형

(5) 대화문의 활용

(6) 복합 구성

7. 유이민 지문과 신발굴 비문의 문체

(1) 유이민 지문의 문체

(2) 신발굴 비문의 문체 감정

부록〉 「광개토왕비와 사산비명의 구법·평측 분석

 

3부 석비문의 문체

1. 고려 이전의 순수비와 기적비

(1) 영일냉수리신라비

(2) 울진봉평리신라비

(3)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4)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

2. 불교 관련 석비

3. 고려·조선의 기념비와 기적비

(1) 고려의 산천 제사비

(2) 고려 말·조선 초의 기적비

(3) 동래남문비삼전도비

(4) 왕실 사적비

(5) 태실비

(6) 화성기적비

(7) 민간의 기적비

4. 전승비와 토적비

(1) 고려 말·조선 초의 전승 기념비

(2) 임진왜란 이후 전승비

(3) 토적비

5. 사묘비, 고릉비, 묘정비

(1) 기자묘비

(2) 문묘비

(3) 고릉비(古陵碑)

(4) 묘정비

(5) 공신비

(6) 표충비

(7) 유허비

(8) 시사단 비명

(9) 관왕묘비와 무후묘비

6. 영건수축기념비

(1) 축성비

(2) 교량비

(3) 대장각비

7. 정려비와 의열비

(1) 정려비

(2) 의열비

(3) 복수비

(4) 호성비

8. 선정비와 거사비

(1) 목민관 칭송 선정비

(2) 제언비 겸 혜민비

(3) 해운비와 조산비

(4) 간이형 선정비

(5) 명나라 장수 거사비

(6) 조사 거사비

(7) 향리를 위한 불망비

9. 영험비, 약조비, 시비

(1) 영험비

(2) 약조비

(3) 시비(詩碑)

 

4부 비지문의 문체

1. 탑비와 석종비

(1) 신라와 고려 초 화상비

(2) 고려시대 탑비

(3) 고려 말 석종비

(4) 조선시대 탑비

2. 고려시대의 비지문

(1) 권력자의 묘지

(2) 여성 묘주의 묘지

(3) 요절자를 위한 묘지

(4) 자찬 묘지

3. 고려 말 신도비와 묘표

(1) 신도비

(2) 부모 묘표

(3) 사시묘표

4. 조선시대 국왕 및 왕족의 비지문

(1) 조선 초 산릉의 지석

(2) 능지

(3) 사친 추존 비지

(4) 왕족의 비지

(5) 국왕이 작성한 비지

5. 조선시대 사대부의 비지문

(1) 신도비

(2) 묘표

(3) 묘갈

(4) 묘지명

(5) 순절·거의인의 비지

(6) 무인의 비지

(7) 자찬 비지

6. 조선시대 요절자를 위한 비지문

(1) 망아의 묘표와 광지

(2) 요절자의 비지문

7. 조선시대 여성 묘주의 비지문

(1) 사대부 여성의 묘지

(2) 사대부 여성의 묘표와 묘갈

(3) 비빈·후궁의 신도비와 공주의 묘표

(4) 여대사 묘주의 비명

(5) 요절한 여성의 묘표

(6) 기생의 묘표

(7) 만시각자비(挽詩刻字碑)

8. 중인·서얼·군인·평민·내시·노비의 비지문

(1) 중인의 비지, 중인이 찬술한 비지

(2) 서얼의 비지, 서얼 문인이 찬술한 비지

(3) 군인의 묘비

(4) 평민의 묘비

(5) 내시의 비갈

(6) 노비의 묘표

 

5부 비문의 문체미학과 정치

1. 비문의 찬술과 입비

(1) 비문 찬술과 입비 과정

(2) 비문 찬술의 자료

2. 비지문의 찬자

(1) 가족 및 친족의 입언자

(2) 친우와 지인

(3) 대작

3. 복수의 비지문

(1) 신도비문의 신찬

(2) 신도비문의 교체

(3) 후기와 추기

4. 비문 문체의 이론

(1) 이황의 비문 행장 공기론

(2) 송시열과 정호의 주빈 배치론

(3) 김창협의 비지 문체론

(4) 이광사의 순정구문무익론(循情求文無益論)

(5) 박지원의 원방장단론(圓方長短論)

5. 비문의 문체와 정치

(1) 현창과 신원

(2) 생략 혹은 은폐

(3) 비문의 어휘 선택과 정치

(4) 묘주의 위상 변화와 일화 첨가

(5) 비지문의 기능

6. 비문의 서자

(1) 고대 비문의 서자

(2) 조선시대의 대표적 서자

(3) 집자비

7. 근현대 공간의 비문

 

맺는말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