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학통신

향토학통신 신간 - 조선후기 읍지편찬의 계보(이재두)-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2023년 선정-

향토학인 2023. 12. 21. 12:32

향토학통신-신간

 

조선후기 읍지편찬의 계보, 민속원, 이재두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2023년 선정-

 

 

책소개(교보문고, 알라딘)

조선후기 읍지편찬의 계보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반출한 대한제국 제실도서인 읍지74책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읍지편찬의 계보를 추적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의 읍지74책은 2011년 일본 정부로부터 반환받은 것이다. 저자가 처음으로 학계에 소개한 국립고궁박물관의 읍지는 한성부를 제외한 전국 모든 고을의 읍지를 포함하고 있다. 영조, 정조, 순조, 고종 시기의 읍지를 포함하고 있어, 조선후기 중앙정부와 지방감영이 주도한 읍지편찬의 계보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자료이다.

 

이 책은 원형을 잘 갖춘 18, 19세기의 읍지를 많이 소개하고 있다. 이마니시문고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소장 후사본 읍지의 원본인 경우가 많다는 점도 밝혔다.

 

저자는 선행연구에서 검토한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의 읍지만이 아니라, 국립고궁박물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덴리대학 이마니시문고 등 국내외 각 기관 소장 읍지를 섭렵하였다. 각 시군에서 조선후기 읍지를 영인하거나 번역하여 출판하려고 한다면, 이 책에서 수록된 읍지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I. 머리말

 

1. 선행연구 검토

2. 문제제기와 내용구성

3. 연구 자료와 방법

 

II. 숙종대의 여지승람증보개간 시도

 

1. 여지승람증보개간의 배경

2. 행정과 재정 상황의 반영

3. 수록인물의 범위 확대

4. 고례의 존중과 시문ㆍ인물의 신증

 

III. 영조대의 여지도서완성과 보완

 

1. 영조대의 사찬읍지와 관찬읍지

2. 전국읍지 수집의 실태

3. 여지도서의 편찬

4. 여지도서대체유형의 개발과 보급

5. 여지도서로의 회귀와 보완

 

IV. 정조대 해동여지통재편찬의 실제

 

1. 정조 전반기의 전국읍지 편찬

2. 정조 후반기의 전국읍지 편찬

 

V. 19세기 각도읍지집성과 도별읍지의 편찬

 

1. 순조 말의 각도읍지전질 집성

2. 헌종대에 편찬한 도별읍지와 후사본

3. 철종 후반기에 편찬한 도별읍지와 후사본

4. 고종대에 편찬한 도별읍지와 전국읍지

 

VI. 대한제국의 읍지 편찬과 일제의 읍지반출

1. 전국 읍지수상령의 실제

2. 각도읍지보유편과 일제의 읍지반출

 

VII. 맺음말

 

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이재두(李在斗)

 

문학박사. 19853월 경북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입학하여 19918월 졸업하였다. 20023월 같은 학교 사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하여 20058월 문학석사를, 20153월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20218월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420일부터 199439일까지 교학사 편집부에서 일하였으며, 1994311일부터 영남중ㆍ고등학교 역사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주변 교사들과 향토사교육연구회 이름으로 대구역사기행(1996, 나랏말)새로 쓴 대구역사기행 Ⅰ』(2002, 영한), 대구역사교사모임의 이름으로 선생님들이 들려주는 근현대 대구이야기(2010, 영한)를 출판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효자편의 효행 사례와 정표 유형, 「『헌산지에 실린 여지도서의 목차와 편찬 규정, 2011년 환수한 국립고궁박물관 읍지74책의 유래와 특징, 1798년에 편찬한 영남인물고와 그 위상, 일제강점기 독도의 조선 영토 인식의 배경과 영향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