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학통신

향토학통신 : 신간 - 마을로 간 학국전쟁 수정증보판, 박찬승 저

향토학인 2025. 6. 28. 09:15



저자 박찬승교수 페북글

한국전쟁 발발 75주년을 앞두고, 이번에 2010년에 낸 <마을로 간 한국전쟁>의 수정증보판을 냈습니다. 15년 만에 초판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고, 두 편의 글을 추가하여 만든 것입니다. 이번에 새로 들어간 원고는 완도군의 소안면의 사례와 해남군의 민간인 학살 사례들입니다.  

초판이 나온 뒤, 2011년 한국일보사의 '한국출판문화상', 한길사의 '단재상' 등을 수상했고, 함한희, 김영미, 김정인, 강정인 교수님께서 서평을 써주셨습니다. 모두 부족한 책에 대한 지나치게 과분한 평가였습니다. 책은 8쇄까지 찍었는데, 항상 뭔가 모자라는 듯한 느낌이 있어 이번에 이를 최대한 수정하고, 또 완도와 해남의 사례를 추가하여 수정증보판을 만들었습니다. (수정증보판 발행을 위해 애써주신 돌베개 측에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제가 쓴 책 가운데 아마도 가장 많이 읽힌 책이 아닐까 생각됩니다만, 혹시 아직 읽지 못하신 분은 이번 기회에 한 번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이미 읽어보신 분은 주위에 많이 권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수정증보판의 책값은 20,700원이고, 교보와 알라딘 등에서 이미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
그리고 이 책의 출판을 기념하여 알라딘에서 아래와 같이 작은 북토크 행사를 갖기로 했습니다.
[북토크 안내]
1. 일시 : 6월 28일(토) 오전 11시 30분
2. 장소 : 노무현시민센터 다들려강의실(서울 종로구 창덕궁길 73)
3. 출연 : 박찬승
4. 모집 인원 : 선착순 30명
------------------------------
수정증보판의 차례

수정증보판 서문 4
초판 서문 7

총론 : 마을에서 바라본 한국전쟁 21

1. 프롤로그 21
2. 전쟁과 마을 주민 간의 갈등구조 27
신분·계급 간의 갈등 27 | 친족·마을 간의 갈등 33 | 종교와 이념 간의 갈등 38
3. 마을 지도자·국가권력과 전쟁 42
마을 지도자의 영향력 42 | 국가권력의 마을 개입 47
4. 전쟁 이후의 마을 54
5. 에필로그-복합적 갈등구조론 58
.

1 친족 간 학살의 비극, 진도 동족마을 X리 63

1. 진도에서 X리는 어떤 마을인가 65
진도의 주요 성씨와 X리 곽씨 문중의 위상 65 | 진도와 X리 주민들의 토지 소유 71
2. 1930년대 X리 청년들의 민족·사회 운동 참여 80
1933년 자각회의 결성과 해산 81 | 진도적색농민조합의 결성과 해체 87
3. 해방 직후 X리 현풍 곽씨의 동향 98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 참여 98 | 경찰 입문과 우익청년단 결성 104
4. 한국전쟁기 친족 내 갈등의 폭발과 학살의 반복 105
전쟁의 내습과 거듭된 학살 105 | 계파별 희생자 112 | X리 비극의 특징 115 | 전쟁 이후 현풍 곽씨의 위상 변화 119
5. 맺음말: 친족 내 갈등과 배후의 국가권력 122
.

2 ‘영암의 모스크바’, 한 양반마을의 시련 130

1. 두 양반가 전주 최씨와 거창 신씨 133
2. 한말·일제강점기 영보마을의 민족·사회 운동 138
한말 영보마을의 의병전쟁 138 | 신간회 영암지회의 해산과 영암농민조합의 탄생 140 | 영암공산주의자협의회와 영보농민시위사건의 전모 145
3. 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 격동의 영보리 158
해방 직후 송석정 사건과 ‘반동 3인’ 처단 사건 158 | 전쟁기 마을 주민들의 ‘총피란’과 ‘총자수’ 162
4. 맺음말: 전쟁은 마을에 무엇을 남겼나 172
.

3 양반마을과 평민마을의 충돌, 부여군의 두 동족마을 177

1. 부여군 두 동족마을의 역사와 흔들리는 신분제 178
항일민족운동의 요람, 진주 강씨 민촌마을 178 | 400년 전통의 명문가 풍양 조씨 반촌마을 188 | 신분제의 해체와 두 동족마을의 대립 191
2. 한국전쟁기 두 동족마을의 충돌 195
부여군 남로당과 대한청년단의 설립 195 | 금강변 구드레나루 학살과 보복 인민재판 199 | 인공 치하 두 마을의 토지개혁 205
3. 전쟁의 상처와 강호동지회의 발족 207
4. 맺음말: 신분 간 투쟁으로서의 마을 전쟁 215
.

4 땅과 종교를 둘러싼 충돌, 당진군 합덕면 사람들 220

1. 전쟁 이전 지주·마름과 소작인 간의 갈등 222
합덕면은 어떤 마을인가 222 | 합덕면의 토지 소유자 분포 225 |
합덕리소작회의 결성과 마름-소작인 간의 갈등 231
2. 한국전쟁기 마을 주민 간의 갈등 237
인민군의 토지개혁과 박명렬가 습격 사건 242 | 인공 치하 합덕성당의 수난 245 | 합덕면 남씨가와 오씨가의 충돌 252
3. 맺음말: 계급·이념 간 대립으로서의 마을 전쟁 254
.

5 두 명문 양반가의 충돌, 금산군 부리면의 비극 258

1. 금산군 부리면의 명문가 해평 길씨와 남원 양씨 259
2. 두 가문의 좌우 분화 267
금산청년동맹과 전북조선공산당재건 사건 267 | 해방 직후 부리면 길씨와 양씨의 좌우 분화 270
3. 한국전쟁기 두 가문의 동향과 11·2사건 272
4. 끝나지 않은 이야기: 전쟁을 기억하는 사람들 279
5. 맺음말: 좌우 이념 대립으로서의 마을 전쟁 285
.

6 분단과 전쟁, 그리고 완도군 소안면 사람들 288

1. 머리말 288
2. 분단과 전쟁에 의한 완도군의 민간인 희생 289
해방~1946년 완도군의 정치사회적 동향 289 | 1947~1949년 완도 경찰의 좌익 소탕작전 292
3. 한국전쟁 발발 이후 완도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294
국민보도연맹원 학살 사건 294 | 나주부대의 학살 사건 296 | 경찰·인민군 대치기 경찰의 좌익혐의자 학살 298 | 인민군의 완도 진주 이후 인민군과 좌익 측의 민간인 학살 299 | 인민군 철수 이후 경찰의 민간인 학살 301
4. 소안면 A마을 주민들의 희생 303
A마을의 주요 인물 303 | 전쟁 이전 좌파 청년들의 희생 305 | 한국전쟁기 A마을 주민들의 희생 308
5. 소안면 B마을 주민들의 희생 312
전쟁 발발 이전 B마을 두 집안의 갈등 312 | 전쟁 발발 이후 B마을 주민들의 희생 314
6. 맺음말 316
.

7 한국전쟁 전후 해남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319

1. 머리말 319
2. 한국전쟁 이전 해남군의 상황 321
일제하~해방 직후 해남군의 상황 321 | 1946년 11월 봉기와 가담자 학살 326
3. 한국전쟁기 해남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330
보도연맹 관련자의 학살 | 나주부대의 마을 주민 학살 332 | 인민군·좌익의 우익 세력 학살 336 | 경찰·청년단의 부역혐의자 학살 341
4. 맺음말 351
.

.미주 354/ 참고문헌 383 /찾아보기 389